목차
1.판소리란 말의 뜻
2.판소리의 구성
3.판소리의 종류
4. 판소리는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가?
5.판소리의 제
<생각해볼 문제>
참고문헌
2.판소리의 구성
3.판소리의 종류
4. 판소리는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가?
5.판소리의 제
<생각해볼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길게 이러져서 이른바 꼬리가 달렸으며, 부침새의 기교가 많고 계면조를 장식하여 정교하게 부른다.서편제의 창법과 잘 어울리는 창으로는 ㆍ심청가ㆍ를 꼽을 수 있다.서편제의 명창으로는 박유전, 김채만, 이날치, 정창업, 김창환 등이 있다.
▶ 중고제(中高制)
김성옥으로부터 시작되어 김정근, 김창룡 등이 계승한 것으로 경기도 남부와 충청도지역에 전승된 소리인데, 그 개념이 모호하여 ㆍ비동비서(非東非西)ㆍ로 표현된다. 창법은 동편제와 서편제의 절충형인 듯하나, 소리의 특징으로 보아 동편제에 속한다. 반음(半音)을 많이 쓰며, 음정은 단계적으로 치켜 올라가고 있으므로 소리 끝은 동편제 소리와 같이 매우 드높다. 중고제의 명창으로는 염달계,김성옥,모흥갑,김정근,김제철,감창룡,김석창,김정근 등이 있다.
▶ 강산제(江山制)
서편제의 수령 박유전이 만년에 전남 보성군 강산리에서 여생을 보내며 창시한 유파로, 체계가 정연하고 범위가 넓다. 박유전은 젊었을 때 고운 목소리와 뛰어난 기량으로 대원군의 총애를 받아 그의 사랑에 자주 드나들었는데, 그곳에 묵고 있는 많은 유생들과 친밀하게 지내게 되었다. 유생 중에는 판소리에 대한 높은 견식과 일가견을 가진 이들이 있어, 그들이 피력한 조언을 바탕으로 창시한 것이 바로 강산제이다. 강산제란 명칭은 박유전의 호에서 따온 명칭이라고도 하고, 박유전이 말년을 보낸 보성군 강산리라는 지명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이 제의 특색으로는 서편제가 일반적으로 너무 애절한 것을 지양하고, 될 수 있으면 점잖은 가풍(歌風)을 조성하였고, 삼강오륜에 어긋나는 대목은 삭제 또는 수정하였다. 강산제의 대표적 판소리는ㆍ심청가ㆍ이며, 명창으로는 박유전,정재근,정응민,박춘성,성창순,성우향,조상현 등이 있다. 보성소리축제 홈페이지(http://www.boseong.go.kr/sorifastival/index.html) 中 ‘제란?’ 발췌
<생각해볼 문제>
무엇이 우리를 한 맺히게 하였는가? 한(韓)민족이라 불리는 우리는 한(限)민족이라 해도 과하지 않을 정도로 한에 관한 많은 이야기가 있다.
수많은 외침 속에서 내 나라를 위해 참고 견뎌야 했던 고통의 시간들, 양반상놈 나누던 계층사회에서 겪어야만 했던 계급적 멸시, 남존여비 사상에 희생되어야 했던 수많은 우리네 어머니와 아낙들, 그 외 종교적 갈등 등 수많은 억압과 핍박이 우리를 한(限)만족으로 만든 것은 아닐까?
1) 남도로 대표되는 판소리 문화. 판소리가 남도자락에서 발전 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2) 그리고 우리 조상들이 판소리로 이야기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일까?
3)대형화대중화 되어가고 있는 오페라,뮤지컬에 비해 반대의 길을 걷고 있는 판소리의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수업후 과제..카페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우리 전통문화 중 자신이 관심을 갖고 배우거나 소중히 하는 것들은 있나요?
● 트로트를 적절한 우리말로 표현해 본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참고문헌 : 판소리이야기. 최동현(2000) . 도서출판 작가
서편제바로보기. 이태호(1995). 한미디어
▶ 중고제(中高制)
김성옥으로부터 시작되어 김정근, 김창룡 등이 계승한 것으로 경기도 남부와 충청도지역에 전승된 소리인데, 그 개념이 모호하여 ㆍ비동비서(非東非西)ㆍ로 표현된다. 창법은 동편제와 서편제의 절충형인 듯하나, 소리의 특징으로 보아 동편제에 속한다. 반음(半音)을 많이 쓰며, 음정은 단계적으로 치켜 올라가고 있으므로 소리 끝은 동편제 소리와 같이 매우 드높다. 중고제의 명창으로는 염달계,김성옥,모흥갑,김정근,김제철,감창룡,김석창,김정근 등이 있다.
▶ 강산제(江山制)
서편제의 수령 박유전이 만년에 전남 보성군 강산리에서 여생을 보내며 창시한 유파로, 체계가 정연하고 범위가 넓다. 박유전은 젊었을 때 고운 목소리와 뛰어난 기량으로 대원군의 총애를 받아 그의 사랑에 자주 드나들었는데, 그곳에 묵고 있는 많은 유생들과 친밀하게 지내게 되었다. 유생 중에는 판소리에 대한 높은 견식과 일가견을 가진 이들이 있어, 그들이 피력한 조언을 바탕으로 창시한 것이 바로 강산제이다. 강산제란 명칭은 박유전의 호에서 따온 명칭이라고도 하고, 박유전이 말년을 보낸 보성군 강산리라는 지명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이 제의 특색으로는 서편제가 일반적으로 너무 애절한 것을 지양하고, 될 수 있으면 점잖은 가풍(歌風)을 조성하였고, 삼강오륜에 어긋나는 대목은 삭제 또는 수정하였다. 강산제의 대표적 판소리는ㆍ심청가ㆍ이며, 명창으로는 박유전,정재근,정응민,박춘성,성창순,성우향,조상현 등이 있다. 보성소리축제 홈페이지(http://www.boseong.go.kr/sorifastival/index.html) 中 ‘제란?’ 발췌
<생각해볼 문제>
무엇이 우리를 한 맺히게 하였는가? 한(韓)민족이라 불리는 우리는 한(限)민족이라 해도 과하지 않을 정도로 한에 관한 많은 이야기가 있다.
수많은 외침 속에서 내 나라를 위해 참고 견뎌야 했던 고통의 시간들, 양반상놈 나누던 계층사회에서 겪어야만 했던 계급적 멸시, 남존여비 사상에 희생되어야 했던 수많은 우리네 어머니와 아낙들, 그 외 종교적 갈등 등 수많은 억압과 핍박이 우리를 한(限)만족으로 만든 것은 아닐까?
1) 남도로 대표되는 판소리 문화. 판소리가 남도자락에서 발전 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2) 그리고 우리 조상들이 판소리로 이야기 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일까?
3)대형화대중화 되어가고 있는 오페라,뮤지컬에 비해 반대의 길을 걷고 있는 판소리의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수업후 과제..카페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우리 전통문화 중 자신이 관심을 갖고 배우거나 소중히 하는 것들은 있나요?
● 트로트를 적절한 우리말로 표현해 본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참고문헌 : 판소리이야기. 최동현(2000) . 도서출판 작가
서편제바로보기. 이태호(1995). 한미디어
추천자료
김동리의 까치소리에대하여
아임 소리 마마
우리나라의 판소리 문화
신재효의 판소리 개작과 그 부정적 영향
[판소리][판소리의 주제의식][판소리의 가창방식][판소리의 부흥운동][판소리의 해결과제]판...
[판소리][연주형태][웃음양상][대중문화][광대문화]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
[판소리][판소리의 가창방식][판소리의 장단][판소리의 기보법][판소리의 웃음]판소리의 종류...
언어의 소리 체계-음운론에 대해 설명하시오
빛과 소리
음절의 끝소리 규칙, 중화, 내파화의 구별
[소리탐색 지도안](난타 학습지도안)
내게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여동생이 있습니다 교육적 의미
우리의 소리, 농악
세계서예 전북비엔날레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전북예술회관 外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