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간호사정
-Physical Examination
-진단적 검사
-시술 보고서
-약물 치료
-간호 과정
-CRITICAL PATHWAY
-간호사정
-Physical Examination
-진단적 검사
-시술 보고서
-약물 치료
-간호 과정
-CRITICAL PATHWAY
본문내용
약물로 인한 중독, 장폐색, 뇌종양등으로 인한 구토증상을 불현성화 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5) 간호과정
- 복막의 염증과 관련된 통증, 잦은 오심·구토와 관련된 영양 부족, 통증과 관련된 두려움, 잦은 구토와 관련된 체액 부족 위험성, 미숙한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지식부족
일시
간호사정
(주관적 &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목표
간호계획
간호중재
평가
9/14
~9/16
S #
“속도 쓰리고 배가 너무 아파요.“
O #
웅크리며 찡그림
CAPD cell count :
wbc 320(>100mm³)
BT : 37.2 °c
통증 점수 :7/10점(9/14)
투석액 혼탁(Yellowish)
복막의 염증과 관련된 통증
- 2일 이내로 대상자에게 통증 사정 시 통증 점수가
2점 이하라고
말한다.
1. 활력징후 측정한다.
2. CAPD 배액 양상 관찰한다.
3. 처방된 항생제를 CAPD 용액에 mix한다.
4. 필요 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1.활력징후 측정한다.
2. CAPD 배액 양상 관찰한다.
3. 처방된 항생제를 CAPD 용액에 mix 한다.
4. 필요 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9/16 : 대상자에게 통증 사정 시 통증 점수가 0점이라고
말한다.
(no abd pain)
9/14~
9/21
S #
“먹으면 울렁거리고 토해요.”
“속이 울렁거려서 입맛이 없어요.”
O #
Total protein : 5.2(6.0~8.0)Albumin : 3.0(3.3~5.2)
(9/15)
오심, 구토 하루 1~2차례
호소(14~19일)
체중 : 57.2(14일) -> 55.2(20일)
잦은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 부족
- 퇴원 전까지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검사 수치가 정상 범위로 돌아온다.
1. 매일 아침 체중을 check한다.
2. I&O check를 한다.
3. 매 식사 후 남은 음식량 check한다.
4. 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Albumin, Total protein)
5. 오심, 구토가 있을 경우 처방 받은 진토제를 투여한다.
6. 필요 시 수액 요법을 실시한다.
1. 매일 아침 체중을 check한다.
2. I&O check를 한다.
3. 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Albumin, Total protein)
4. 오심, 구토가 있을 경우
처방 받은 진토제를 투여한다.
5. 필요 시 수액 요법을 실시한다.
-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검사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Total protein : 6.3, Albumin : 3.5)
(9/21)
3. Critical pathway (환자상태변화 기록)
Medical diagnosis: R/O CAPD, Peritonitis Present illness (PI): nausea, vomiting, abd pain
Date 9/14
Day (1 ): Admission
Date 9/15
Day (2 ):
Date 9/20
Day ( 6 ):
Monitoring
& Assessments
V/S : BP - 140/90 P - 90
T - 37.2°c
Abd pain (+)
nausea, vomiting으로 인해
영양 상태 좋지 않음
투석액 혼탁(Yellowish)
CAPD cell count :
wbc 320(>100mm³)
V/S : BP - 130/80 P - 80
T - 36.2°c
Abd pain(+)
diarrhea(+)
nausea, vomiting으로 인해
영양 상태 좋지 않음
투석액 혼탁(Yellowish)
V/S : BP - 110/80 P - 80
T - 36°c
Abd pain(-)
diarrhea(-)
nausea(-)
vomiting(-)
투석액 맑음
CAPD cell count :
wbc negative
Activity
bed rest
bed rest
bed rest
Diet
치료 식이(복막투석 당뇨 밥)
치료 식이(복막 투석 당뇨 밥)
치료 식이(복막 투석 당뇨 밥)
Fluid & Medication
Tazime Inj 0.25g x 3
Heparin Na Inj 1000IU x4
Cetrazole inj 0.25g x 3
MXL 10mg 1,2회
Tazime Inj 0.25g x 3
Heparin Na Inj 1000IU x4
Cetrazole inj 0.25g x 3
MXL 10mg 1,2회
SMECTA
Tazime Inj 0.25g x 3
Heparin Na Inj 1000IU x 4
Cetrazole Inj 0.25g x 3
isotonic sodium chloride(IV)
Lab. exam
Dialysis cell& Diff count
Dialysis Fluid
Blood Chemistry
Dialysis cell& Diff count
Urinalysis
X-ray (Chest PA/Lt LAT, KUB, Abdomen E/S)
Dialysis cell & Diff count
Treatment
CAPD
항생제 투여
진토제 투여
CAPD
항생제 투여
지사제 투여
CAPD
항생제 투여
Nursing Care
CAPD 위생 교육
체중, I&O check(CAPD 관련)
체중 check
I&O check(CAPD 관련)
체중 check
I&O check(CAPD 관련)
<환자상태변화 기록 작성지침>
Monitoring & Assessments : 신체사정 결과(활력징후, 의식사정, 신경계 검진, 순환기계 검진, 호흡기계 검진, 영양 상태, 배설상태, 피부통합성, 통증, 감각과 운동 등)
Activity : 대상자의 활동상태(bed rest, bedside ambulation 등)
Diet : 식이 형태(치료식이, 일반식이)
Fluid & Medication : 수액과 약물의 종류, 용법, 용량
Lab. exam : 주요 검사의 종류
Treatment : 주요 처치(dressing, operation, 수술 전 처치 등)
Nursing Care : 주요 간호활동(교육, 배뇨확인, 수술 후 간호 등)
참고 문헌 : 전시자 외, 성인 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1
5) 간호과정
- 복막의 염증과 관련된 통증, 잦은 오심·구토와 관련된 영양 부족, 통증과 관련된 두려움, 잦은 구토와 관련된 체액 부족 위험성, 미숙한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지식부족
일시
간호사정
(주관적 &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목표
간호계획
간호중재
평가
9/14
~9/16
S #
“속도 쓰리고 배가 너무 아파요.“
O #
웅크리며 찡그림
CAPD cell count :
wbc 320(>100mm³)
BT : 37.2 °c
통증 점수 :7/10점(9/14)
투석액 혼탁(Yellowish)
복막의 염증과 관련된 통증
- 2일 이내로 대상자에게 통증 사정 시 통증 점수가
2점 이하라고
말한다.
1. 활력징후 측정한다.
2. CAPD 배액 양상 관찰한다.
3. 처방된 항생제를 CAPD 용액에 mix한다.
4. 필요 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1.활력징후 측정한다.
2. CAPD 배액 양상 관찰한다.
3. 처방된 항생제를 CAPD 용액에 mix 한다.
4. 필요 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9/16 : 대상자에게 통증 사정 시 통증 점수가 0점이라고
말한다.
(no abd pain)
9/14~
9/21
S #
“먹으면 울렁거리고 토해요.”
“속이 울렁거려서 입맛이 없어요.”
O #
Total protein : 5.2(6.0~8.0)Albumin : 3.0(3.3~5.2)
(9/15)
오심, 구토 하루 1~2차례
호소(14~19일)
체중 : 57.2(14일) -> 55.2(20일)
잦은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 부족
- 퇴원 전까지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검사 수치가 정상 범위로 돌아온다.
1. 매일 아침 체중을 check한다.
2. I&O check를 한다.
3. 매 식사 후 남은 음식량 check한다.
4. 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Albumin, Total protein)
5. 오심, 구토가 있을 경우 처방 받은 진토제를 투여한다.
6. 필요 시 수액 요법을 실시한다.
1. 매일 아침 체중을 check한다.
2. I&O check를 한다.
3. 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Albumin, Total protein)
4. 오심, 구토가 있을 경우
처방 받은 진토제를 투여한다.
5. 필요 시 수액 요법을 실시한다.
-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검사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Total protein : 6.3, Albumin : 3.5)
(9/21)
3. Critical pathway (환자상태변화 기록)
Medical diagnosis: R/O CAPD, Peritonitis Present illness (PI): nausea, vomiting, abd pain
Date 9/14
Day (1 ): Admission
Date 9/15
Day (2 ):
Date 9/20
Day ( 6 ):
Monitoring
& Assessments
V/S : BP - 140/90 P - 90
T - 37.2°c
Abd pain (+)
nausea, vomiting으로 인해
영양 상태 좋지 않음
투석액 혼탁(Yellowish)
CAPD cell count :
wbc 320(>100mm³)
V/S : BP - 130/80 P - 80
T - 36.2°c
Abd pain(+)
diarrhea(+)
nausea, vomiting으로 인해
영양 상태 좋지 않음
투석액 혼탁(Yellowish)
V/S : BP - 110/80 P - 80
T - 36°c
Abd pain(-)
diarrhea(-)
nausea(-)
vomiting(-)
투석액 맑음
CAPD cell count :
wbc negative
Activity
bed rest
bed rest
bed rest
Diet
치료 식이(복막투석 당뇨 밥)
치료 식이(복막 투석 당뇨 밥)
치료 식이(복막 투석 당뇨 밥)
Fluid & Medication
Tazime Inj 0.25g x 3
Heparin Na Inj 1000IU x4
Cetrazole inj 0.25g x 3
MXL 10mg 1,2회
Tazime Inj 0.25g x 3
Heparin Na Inj 1000IU x4
Cetrazole inj 0.25g x 3
MXL 10mg 1,2회
SMECTA
Tazime Inj 0.25g x 3
Heparin Na Inj 1000IU x 4
Cetrazole Inj 0.25g x 3
isotonic sodium chloride(IV)
Lab. exam
Dialysis cell& Diff count
Dialysis Fluid
Blood Chemistry
Dialysis cell& Diff count
Urinalysis
X-ray (Chest PA/Lt LAT, KUB, Abdomen E/S)
Dialysis cell & Diff count
Treatment
CAPD
항생제 투여
진토제 투여
CAPD
항생제 투여
지사제 투여
CAPD
항생제 투여
Nursing Care
CAPD 위생 교육
체중, I&O check(CAPD 관련)
체중 check
I&O check(CAPD 관련)
체중 check
I&O check(CAPD 관련)
<환자상태변화 기록 작성지침>
Monitoring & Assessments : 신체사정 결과(활력징후, 의식사정, 신경계 검진, 순환기계 검진, 호흡기계 검진, 영양 상태, 배설상태, 피부통합성, 통증, 감각과 운동 등)
Activity : 대상자의 활동상태(bed rest, bedside ambulation 등)
Diet : 식이 형태(치료식이, 일반식이)
Fluid & Medication : 수액과 약물의 종류, 용법, 용량
Lab. exam : 주요 검사의 종류
Treatment : 주요 처치(dressing, operation, 수술 전 처치 등)
Nursing Care : 주요 간호활동(교육, 배뇨확인, 수술 후 간호 등)
참고 문헌 : 전시자 외, 성인 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1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Dementia][치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Burn][화상]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Pancreatitis][췌장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hronic obstru...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Chronic Obstruct...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
[성인간호학][CPR][심폐소생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응급실케이스)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Chronic Obstruc...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hemorrhag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