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가공산업에서 곡류를 주원료로 한 제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가공산업에서 곡류를 주원료로 한 제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식품가공산업에서 곡류를 주원료로 한 제품


1. 쌀 (Rice)
2. 밀
3. 옥수수
4. 메밀
5. 보리
6. 호밀
7. 수수 & 조

본문내용

그리고 짧은 시간안에 조리가 간편하여 비상식으로도 이용 가능하며, 면발이 튀겨진 상태로 포장되어있어 장기간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지방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다.
빵은 밀 등의 곡식가루에 물과 소금, 효모나 베이킹파우더를 첨가하여 반죽한 후 굽거나 찐 제품이다.
밀에는 글루텐이라는 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글루텐 함량에 따라 빵과 함께, 쿠키, 과자 등 만들 수 있는 빵의 종류가 다양해 여러 종류의 빵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반해 다소 오랜기간 보존을 위해 방부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먹거리의 걱정을 더욱 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과자류는 주로 밀가루를 이용하며, 그 이외의 곡분 등 식물성원료를 주원료로 하여 굽기, 팽화,유탕 등의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것으로, 이에 식품첨가물 등을 첨가하여 크래커, 스낵 등을 제조한다. 과자는 제조과정시에 여러 가지 첨가물들을 이용해 각기 다른 맛을 내어 소비자들이 여러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소비자들이 잘 알지 못하는 첨가물들이 많아 믿고 먹을 수 있을에 대한 걱정이 있다는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3. 옥수수
옥수수차는 옥수수 알갱이를 말려 일정한 온도에서 볶아 물에 끓여낸 차이다.
주로 티백형으로 나오고는 했으나, 인스턴트화 공정을 거쳐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요즘에는 옥수수 수염을 말려 차로 만드는 공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혈압, 피로회복에 뛰어나다고 한다. 그리고 수용성 고형분이라 불리는 물질은 옥수수를 어느 정도의 온도, 시간에 따라 볶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폭열종의 옥수수를 압력이 높은 용기안에서 가열하여 폭렬시킨 것이다. 최근에는 폭열종이 아닌 모든 종의 옥수수로도 팝콘 제조가 가능해지면서 원료 옥수수를 배초부 중에 넣어 가압해 적당한 온도, 압력의 조건일때 급격하게 압력을 제거하면 옥수수의 조직이 크게 폭열하여 부드러운 스펀지처럼 부풀어진다.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고, 버터나 혼당으로 가공하여 판매되고 있다.
팝콘과 같이 이외에도, 옥수수 원료종으로 가공한 스낵들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칩, 토틸라 칩, 스위트콘 스낵 등을 볼 수 있다.
4. 메밀
메밀은 구황작물 중 하나로, Lysine 이라는 식물성단백질 등 풍부한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메밀가루로 가공시에는 주로 국수, 과자류를 만들고 있다. 메밀국수는 글루텐을 가지고 있지 않아 밀가루, 난백 등을 첨가하여 반죽하여 가공한다.
메밀차는 메밀로 밥을 지어 말린 후, 이것을 볶아 끓인 차로, 메밀 속에 함유한 아미노산, 리신, 비타민 등의 여러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가공되는데,
특히 메밀차는 이뇨작용, 성인병 예방, 고혈압 치료 등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준다.
5. 보리
겉보리를 볶아 물에 끓인 차를 가공하여 만든 제품으로, 보리의 주성분은 전분으로, 다른 곡류에 비해 섬유소 함량이 높아 소화율이 떨어지지만, 장운동을 활성화 시켜 설사를 멎게 하고, 무기질과 비타민의 함량이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6. 호밀
7. 수수 & 조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6.01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