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다.(즉, (A-A’)/A%) 계산 결과의 단면 수축률은 신장률과 같이 연성을 표시하는 하나의 척도가 된다.
② 탄성계수 : 탄성계수는 각 Diagram에서 그린 0.2% Offset Curve를 기초로 하여 얻는다. 즉, 응력-변형률 선도의 탄성 구간 기울기로부터 탄성 계수를 결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계수는 하중에 대한 재료의 반응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인장이 작용하는 강선이 얼마나 늘어날 것인지, 또는 압축을 받는 기둥이 어떤 하중 아래에서 좌굴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③ 항복응력 : 항복응력은 응력-변형 선도에서의 0.2% Offset Curve를 이용하여 얻는다. 이 Curve와 Diagram이 만나는 점에서의 Stress가 바로 항복 응력이 된다. 항복응력은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응력을 말하는데 항복응력을 지나게 되면 소성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④ 비례한도 : 비례한도는 응력과 변형률이 직선을 나타내는 부분에서 곡선으로 변하기 시작하는 점의 응력이다. 이 물성치는 수식적으로 얻기가 힘들기에 응력-변형 선도에서 눈짐작으로 짐작하여 비례한도를 얻는다.
⑤ 극한응력/파단응력 : 극한응력은 시편이 버틸 수 있는 최대 응력이며, 파단응력은 시편의 파단이 일어날 때의 응력이다. 대개 극한응력과 파단응력은 같다. 가끔 스테인리스 철과 같이 다른 시편도 있다.
⑥ 진파단응력 : 진파단응력은 단면적을 인장 전의 단면적이 아닌 Necking이 일어나면서 변화한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따라서 진파단응력은 파단이 일어날 때에 가한 인장력을 파단이 난 후, 단면적으로 나누어 얻는다.
② 탄성계수 : 탄성계수는 각 Diagram에서 그린 0.2% Offset Curve를 기초로 하여 얻는다. 즉, 응력-변형률 선도의 탄성 구간 기울기로부터 탄성 계수를 결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계수는 하중에 대한 재료의 반응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인장이 작용하는 강선이 얼마나 늘어날 것인지, 또는 압축을 받는 기둥이 어떤 하중 아래에서 좌굴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③ 항복응력 : 항복응력은 응력-변형 선도에서의 0.2% Offset Curve를 이용하여 얻는다. 이 Curve와 Diagram이 만나는 점에서의 Stress가 바로 항복 응력이 된다. 항복응력은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응력을 말하는데 항복응력을 지나게 되면 소성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④ 비례한도 : 비례한도는 응력과 변형률이 직선을 나타내는 부분에서 곡선으로 변하기 시작하는 점의 응력이다. 이 물성치는 수식적으로 얻기가 힘들기에 응력-변형 선도에서 눈짐작으로 짐작하여 비례한도를 얻는다.
⑤ 극한응력/파단응력 : 극한응력은 시편이 버틸 수 있는 최대 응력이며, 파단응력은 시편의 파단이 일어날 때의 응력이다. 대개 극한응력과 파단응력은 같다. 가끔 스테인리스 철과 같이 다른 시편도 있다.
⑥ 진파단응력 : 진파단응력은 단면적을 인장 전의 단면적이 아닌 Necking이 일어나면서 변화한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따라서 진파단응력은 파단이 일어날 때에 가한 인장력을 파단이 난 후, 단면적으로 나누어 얻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