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인약력 (申東曄, 1930-1969)
Ⅱ. 시세계
Ⅲ. 작품해설
1. 진달래 산천
2. 향(香) 아
3. 껍데기는 가라
4. 아니오
5. 종로 5가
Ⅳ. 감상
참고문헌
Ⅱ. 시세계
Ⅲ. 작품해설
1. 진달래 산천
2. 향(香) 아
3. 껍데기는 가라
4. 아니오
5. 종로 5가
Ⅳ.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도시 계집’으로 표상되는 현대 사회가 역사의식과 문명 의식을 상실했다고 비판한다. 인간 정신과 자유 의지 및 사회 정의가 고갈된 사회가 현대 사회라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인간의 존재 의미를 현실을 초월한 세계, 참된 현존재, 즉 귀수성 세계에서 찾는다.
5. 종로 5가
이 작품에는 1960년대를 보는 시인의 현실인식이 종로5가에서 만난 낯선 소년과의 만남에 관한 회상을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작가는 1960년대를 외국자본의 유입으로 인해 시작된 산업화로 인해 자본의 식민지화 되어 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농촌 공동체가 해체 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풍요로워야 할 삶의 근원이자 뿌리인 농촌 공동체가 황폐해 지고 어쩔 수 없이 올라와서 창녀나 노동자가 되어 착취당하는 삶을 살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아프게 공감하면서 그려내고 있다.
Ⅳ. 감상
시인 신동엽의 시는 나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극히 민족적이고 역동적이면서도 그 안에 잔잔히 배어있는 지은이의 서정성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흔히 사람들은 시인 신동엽을 전쟁과 분단의 아픔 등의 현실을 노래한 민족적이고 민중적인 시인이라고 한다. 또 이러한 현실을 비판하고 고발한 참여시의 대표적 시인이라고도 한다. 정말 그의 시를 읽고 있으면 그 시대의 암울하고 안타까운 현실 속에 사는 사람들의 슬픔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진달래 산천`에서 진달래 옆에 누워 있던 한 군인이 전쟁 속에 서 묻혀 죽는 장면, 전쟁을 피해 산 속으로 피난해 가는 사람들의 긴 행렬의 그 긴장감 어 린 장면이 머리에 떠올라 몹시 흥분되었었다. 6·25, 광복 전쟁, 4·19 등 많은 전쟁 속에서 진달래처럼 빨간 핏빛으로 물들어 민족을 위해 죽어간 영혼들을 생각하니 지금 이처럼 편안 한 의자에 앉아 안락하기만한 생활을 하는 나 자신이 부끄러웠다.
‘껍데기를 가라’는 우리나라의 얼룩진 현대사에서 참담했던 시인의 마음이 담긴 시였다. 왜곡된 역사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어 어떤 어려운 현실도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를 내 마음에 심어 주었다. 순수함으로 민족의 난관을 극복하자고 하는 그의 마음가짐이 모든 것을 초심의 자세로 받아들이자는 것으로 느껴져 힘들 때 힘이 되는 시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응교 저, 시인 신동엽, 현암사 2005
송국현 저, 교과서를 만든 시인들, 글담(인디고) 2005
김응교 저, 신동엽 (사랑과 혁명의 시인), 글누림 2011
5. 종로 5가
이 작품에는 1960년대를 보는 시인의 현실인식이 종로5가에서 만난 낯선 소년과의 만남에 관한 회상을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작가는 1960년대를 외국자본의 유입으로 인해 시작된 산업화로 인해 자본의 식민지화 되어 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농촌 공동체가 해체 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풍요로워야 할 삶의 근원이자 뿌리인 농촌 공동체가 황폐해 지고 어쩔 수 없이 올라와서 창녀나 노동자가 되어 착취당하는 삶을 살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아프게 공감하면서 그려내고 있다.
Ⅳ. 감상
시인 신동엽의 시는 나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극히 민족적이고 역동적이면서도 그 안에 잔잔히 배어있는 지은이의 서정성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흔히 사람들은 시인 신동엽을 전쟁과 분단의 아픔 등의 현실을 노래한 민족적이고 민중적인 시인이라고 한다. 또 이러한 현실을 비판하고 고발한 참여시의 대표적 시인이라고도 한다. 정말 그의 시를 읽고 있으면 그 시대의 암울하고 안타까운 현실 속에 사는 사람들의 슬픔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진달래 산천`에서 진달래 옆에 누워 있던 한 군인이 전쟁 속에 서 묻혀 죽는 장면, 전쟁을 피해 산 속으로 피난해 가는 사람들의 긴 행렬의 그 긴장감 어 린 장면이 머리에 떠올라 몹시 흥분되었었다. 6·25, 광복 전쟁, 4·19 등 많은 전쟁 속에서 진달래처럼 빨간 핏빛으로 물들어 민족을 위해 죽어간 영혼들을 생각하니 지금 이처럼 편안 한 의자에 앉아 안락하기만한 생활을 하는 나 자신이 부끄러웠다.
‘껍데기를 가라’는 우리나라의 얼룩진 현대사에서 참담했던 시인의 마음이 담긴 시였다. 왜곡된 역사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어 어떤 어려운 현실도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를 내 마음에 심어 주었다. 순수함으로 민족의 난관을 극복하자고 하는 그의 마음가짐이 모든 것을 초심의 자세로 받아들이자는 것으로 느껴져 힘들 때 힘이 되는 시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응교 저, 시인 신동엽, 현암사 2005
송국현 저, 교과서를 만든 시인들, 글담(인디고) 2005
김응교 저, 신동엽 (사랑과 혁명의 시인), 글누림 2011
추천자료
김소월 문학의 작품세계
평소에 즐겨읽는 문학 작품 중에서 ‘교재’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작품을 한 편 선정하...
포스트 모더니즘 문학의 미술작품에 대한 상호텍스트성 - 김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이태준의 단편1편읽고 작품의줄거리와 문학사적의미를 적으시오oe.
지금까지 소개된 아동 문학 작품 중 한가지를 읽고 아동문학 이론을 접목시켜 분석
아동 문학 작품 중 한 가지를 읽고 아동문학 이론을 접목시켜 분석(무지개 물고기)
[국문학] (A+) 1990년대 문학 특징과 은희경의 '타인에게 말걸기' 작품세계 및 작품분석
아동문학 작품과 아동사회정서적발달
풍자소설의 작품세계와 문학적 성격에 대하여 논의해 본다
장화홍련 고전 문학 작품 분석
[문학교육] 소설과 영화 속에서 살펴보는 문학 작품 - 소설 ‘태백산맥’과 영화 ‘태백산맥’의 ...
문학비평과 작품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