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드민턴의 역사
⑴. 배드민턴의 기원
⑵. 영국에서의 보급과 발달
⑶. 세계적 발전
⑷. 우리나라의 배드민턴
⑸. 각종 배드민턴 대회
2. 배드민턴의 특성
3. 배드민턴의 효과
4. 배드민턴의 시설
⑴. 경기장 시설
5. 배드민턴의 장비
⑴. 셔틀콕
⑵. 라켓
⑶. 웨어
※ 참고문헌
⑴. 배드민턴의 기원
⑵. 영국에서의 보급과 발달
⑶. 세계적 발전
⑷. 우리나라의 배드민턴
⑸. 각종 배드민턴 대회
2. 배드민턴의 특성
3. 배드민턴의 효과
4. 배드민턴의 시설
⑴. 경기장 시설
5. 배드민턴의 장비
⑴. 셔틀콕
⑵. 라켓
⑶. 웨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무새나 좋은 것은 아니다. 수조로는 거위 깃털이 제일 좋으며, 육조로는 닭등의 깃털을 사용하고 있다. 수조제 셔틀과 육조제 셔틀은 비행거리에 차이가 있다. 셔틀콕은 비행력이 0에 달했을 때 낙하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그 낙하하는 수조제 셔틀은 수직으로 낙하한다. 이 차이를 염두에 두지 않으면 중대한 미스를 하는 수가 있다.
이밖에 깃털 부분이 나일론이나 플라스틱 제의 것이 있다. 나일론제 셔틀은 깃털제 셔틀에 비해 내구성은 좋으나 타구감이 무겁다는 것과 비행이 좋지 못해 네트 플레이의 미묘한 변화를 라켓으로부터 잘 전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또 화학섬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추운 지방에서는 망가지기 쉬운 점도 있다. 그러나 그 형태나 비행법 등이 규격에 합당하면 배드민턴 협회에서 특별히 정한 경기회에 한하여 공식 경기회에서 사용해도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그 내구석을 살려 초심자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무방하다.
이 나일론 제 셔틀과 비슷하지만, 깃털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되고, 또 코르크 부분이 고무로 만들어진 것이 있다. 이것은 옥외 연습용이며 정식 배드민턴 게임용은 아니다. 물론 연습용으로는 나일론 제나 플라스틱 제의 셔틀도 무방하겠지만 가급적 깃털제로 감각을 익히는 것이 좋을 것이다.
셔틀콕 그림
② 규격
셔틀콕 규격 그림
⑵. 라켓
① 규격과 명칭
라켓(Racket)에 대해서는 규칙상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참고로 하면 된다.
- 라켓의 길이는 약 65∼66cm가 적당하다
- 라켓의 무게는 목재의 경우 120g정도 철제인 경우 약 110g전후가 적당하다.
- 라켓의 무게중심은 손잡이(grip)끝에서 28∼29Cm정도가 알맞다.
- 라켓이 손잡이가 자기 손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라.
- 초보자는 경험이 있는 선배나 동료와 함께 가서 고르는 것이 좋다.
- 예를 들어 라켓의 G.3.L이라고 적혀져 있는 것은 손잡이의 사이즈가 3이 고 L 은 라이트(LIGHT)로서 110∼114g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라켓의 규격과 명칭
② 거트
라켓 헤드에 팽팽하게 친 실을 말한다. 거트(gut)란 창자라는 말인데, 원래는 짐승의 창자로 만들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며, 주로 양의 내장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쉬프(sheep)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실이란 뜻에서 스트링(str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일론이나 실크로 만든 것을 모두 거트라 부르고 있다.
나일론 거트는 쉬프 거트에 비해 탄력성이 뒤떨어지지만, 가격에 비해서는 질이 좋은 것들이 생산되고 있다
■ 거트를 매는 법
ⓐ 양쪽 구멍에 끼워 양 손에 한 가닥씩 잡고 번갈아가며 잡아당기기를 4∼5회하 여 거크 구멍을 고르게 한다.
ⓑ 세로로 짜는 실의 양 옆의 아래쪽 사이드는 구멍을 하나씩 건너뛴다. 처음에는 느슨하게, 구멍을 다맞춘다음에 차츰세계 당기면서 맨다.
ⓒ 가로 실을 잡아당길 때는 세로실과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똑바로 당기지 말고 점선처럼 밑으로 축 늘어지게 했다가 차츰 잡아당긴다.
ⓓ 가로실의 힘 배분은 처음에 세게,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약하게 하는데, 중단은 상단과의 밸런스를 취하면서 너무 세게 매지 않는다.
ⓔ 송곳은 돌리지 말고 똑바로 찌르는데 거트가 돌아오지 않을정도로 찌른다. 너 무 무리하게 비틀어 박으면 프레임이 깨진다.
ⓕ 마지막에는 프레임이 원형으로 돌아오도록 조절한다.
■ 거트를 갈아 맬 때 주의할 점
ⓐ 거트를 매는 세기를 전체적으로 평균화 시킬 것.
ⓑ 지나치게 팽팽하게 매지 말 것. 너무 세게 매면 테두리의 모양이 변형될 수 있 으므로 이 점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③ 라켓의 선택
- 재질 : 올스틸, 스틸 샤프트, 올 우드 중에 자기 개성에 맞는 것을 고른다.
- 무게 : 거트를 포함한 전체 무게가 120∼135g 정도의 것이 많이 쓰인다. (전체 가 스틸 파이프로 된 것은 제외) 무거운 라켓은 치는 힘을 증가시킨다 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무거우므로 손쉽게 라켓을 조작하기에는 다소 불리하다.
- 밸런스 : 라켓의 밸런스라고하는 것은 라켓 전체의 중량이 어떤가를 말함인데, 구체적으로는 라켓 헤드가 무거우냐, 가벼우냐를 보는 것이다. 이 밸런스는 라켓의 조작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인데, 다루기 쉬운 라켓 과 다루기 거북한 라켓을 구별하는 포인트는 핸들과 함께 라켓의 밸 런스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라켓 헤드가 너무 무거우면 다루기가 힘들고 일반적으로는 약간 가벼운 것이 다루기 쉽다. 그러 나 강타를 목적으로 할 경우는 다소 무거운 것이 효과적이다. 밸런스 를 보려면 거트를 맨 라켓의 무게 중심을 찾아내어, 라켓의 핸들 끝 부분에서 무게 중심까지의 길이가 약 28.5∼29.5cm정도의 것이 가장 쓰기 편하다.
- 핸들 : 핸들의 굵기, 손에 쥐이는 감도 등이 라켓 조작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자신의 손에 알맞는 것을 선택하면 좋다.
- 벤드(bend) : 벤드란 라켓의 탄력성, 즉 반발력을 말하는데, 라켓의 톱과 핸들 을 양손에 쥐고서 가볍게 휘게 해서 라켓 전체의 벤드를 보는 것 이다. 라켓의 톱에서 핸들까지의 반발력이 고루고 또한 탄력적이 면 좋은 것이다. 벤드가 너무 견고한 것이나 라켓 헤드의 벤드가 특히나 너무 약한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⑶. 웨어
웨어(Wear, 복장)는 온통 흰 색깔이 원칙적으로 되어 있지만, 깃이나 소매, 옷자락 부분에 딴 색깔을 사용해도 별로 문제는 안된다. 남자는 상의는 스포츠 셔츠, 하의는 짧은 팬츠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매우 격심한 운동을 수반하는 배드민턴 경기에서는 긴 바지를 입고 게임하면 아무래도 동작이 둔해진다. 여자 또한 플레이하기 쉬운 남자의 복장가 같다. 그리고 경기중에 흘린 땀으로 인해 상의가 젖었을 경우 갈아입을 수 있다.
※ 참고문헌
- 완전도해 배드민턴 교본 : 김학석, 구제언 공편 (신라출판사)
- 신문스포츠 시리즈 배드민턴 : 신문출판사
- 정통 배드민턴 : 현대레저연구회 편 (太乙出版社)
- 배드민턴 11 : 서울대학교체육연구소 노희덕 (동양문화사)
- 배드민턴 技法 : 河南吉 (世進社)
- 인터넷 자료
이밖에 깃털 부분이 나일론이나 플라스틱 제의 것이 있다. 나일론제 셔틀은 깃털제 셔틀에 비해 내구성은 좋으나 타구감이 무겁다는 것과 비행이 좋지 못해 네트 플레이의 미묘한 변화를 라켓으로부터 잘 전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또 화학섬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추운 지방에서는 망가지기 쉬운 점도 있다. 그러나 그 형태나 비행법 등이 규격에 합당하면 배드민턴 협회에서 특별히 정한 경기회에 한하여 공식 경기회에서 사용해도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그 내구석을 살려 초심자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무방하다.
이 나일론 제 셔틀과 비슷하지만, 깃털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되고, 또 코르크 부분이 고무로 만들어진 것이 있다. 이것은 옥외 연습용이며 정식 배드민턴 게임용은 아니다. 물론 연습용으로는 나일론 제나 플라스틱 제의 셔틀도 무방하겠지만 가급적 깃털제로 감각을 익히는 것이 좋을 것이다.
셔틀콕 그림
② 규격
셔틀콕 규격 그림
⑵. 라켓
① 규격과 명칭
라켓(Racket)에 대해서는 규칙상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참고로 하면 된다.
- 라켓의 길이는 약 65∼66cm가 적당하다
- 라켓의 무게는 목재의 경우 120g정도 철제인 경우 약 110g전후가 적당하다.
- 라켓의 무게중심은 손잡이(grip)끝에서 28∼29Cm정도가 알맞다.
- 라켓이 손잡이가 자기 손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라.
- 초보자는 경험이 있는 선배나 동료와 함께 가서 고르는 것이 좋다.
- 예를 들어 라켓의 G.3.L이라고 적혀져 있는 것은 손잡이의 사이즈가 3이 고 L 은 라이트(LIGHT)로서 110∼114g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라켓의 규격과 명칭
② 거트
라켓 헤드에 팽팽하게 친 실을 말한다. 거트(gut)란 창자라는 말인데, 원래는 짐승의 창자로 만들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며, 주로 양의 내장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쉬프(sheep)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실이란 뜻에서 스트링(str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일론이나 실크로 만든 것을 모두 거트라 부르고 있다.
나일론 거트는 쉬프 거트에 비해 탄력성이 뒤떨어지지만, 가격에 비해서는 질이 좋은 것들이 생산되고 있다
■ 거트를 매는 법
ⓐ 양쪽 구멍에 끼워 양 손에 한 가닥씩 잡고 번갈아가며 잡아당기기를 4∼5회하 여 거크 구멍을 고르게 한다.
ⓑ 세로로 짜는 실의 양 옆의 아래쪽 사이드는 구멍을 하나씩 건너뛴다. 처음에는 느슨하게, 구멍을 다맞춘다음에 차츰세계 당기면서 맨다.
ⓒ 가로 실을 잡아당길 때는 세로실과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똑바로 당기지 말고 점선처럼 밑으로 축 늘어지게 했다가 차츰 잡아당긴다.
ⓓ 가로실의 힘 배분은 처음에 세게,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약하게 하는데, 중단은 상단과의 밸런스를 취하면서 너무 세게 매지 않는다.
ⓔ 송곳은 돌리지 말고 똑바로 찌르는데 거트가 돌아오지 않을정도로 찌른다. 너 무 무리하게 비틀어 박으면 프레임이 깨진다.
ⓕ 마지막에는 프레임이 원형으로 돌아오도록 조절한다.
■ 거트를 갈아 맬 때 주의할 점
ⓐ 거트를 매는 세기를 전체적으로 평균화 시킬 것.
ⓑ 지나치게 팽팽하게 매지 말 것. 너무 세게 매면 테두리의 모양이 변형될 수 있 으므로 이 점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③ 라켓의 선택
- 재질 : 올스틸, 스틸 샤프트, 올 우드 중에 자기 개성에 맞는 것을 고른다.
- 무게 : 거트를 포함한 전체 무게가 120∼135g 정도의 것이 많이 쓰인다. (전체 가 스틸 파이프로 된 것은 제외) 무거운 라켓은 치는 힘을 증가시킨다 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무거우므로 손쉽게 라켓을 조작하기에는 다소 불리하다.
- 밸런스 : 라켓의 밸런스라고하는 것은 라켓 전체의 중량이 어떤가를 말함인데, 구체적으로는 라켓 헤드가 무거우냐, 가벼우냐를 보는 것이다. 이 밸런스는 라켓의 조작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인데, 다루기 쉬운 라켓 과 다루기 거북한 라켓을 구별하는 포인트는 핸들과 함께 라켓의 밸 런스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라켓 헤드가 너무 무거우면 다루기가 힘들고 일반적으로는 약간 가벼운 것이 다루기 쉽다. 그러 나 강타를 목적으로 할 경우는 다소 무거운 것이 효과적이다. 밸런스 를 보려면 거트를 맨 라켓의 무게 중심을 찾아내어, 라켓의 핸들 끝 부분에서 무게 중심까지의 길이가 약 28.5∼29.5cm정도의 것이 가장 쓰기 편하다.
- 핸들 : 핸들의 굵기, 손에 쥐이는 감도 등이 라켓 조작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자신의 손에 알맞는 것을 선택하면 좋다.
- 벤드(bend) : 벤드란 라켓의 탄력성, 즉 반발력을 말하는데, 라켓의 톱과 핸들 을 양손에 쥐고서 가볍게 휘게 해서 라켓 전체의 벤드를 보는 것 이다. 라켓의 톱에서 핸들까지의 반발력이 고루고 또한 탄력적이 면 좋은 것이다. 벤드가 너무 견고한 것이나 라켓 헤드의 벤드가 특히나 너무 약한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⑶. 웨어
웨어(Wear, 복장)는 온통 흰 색깔이 원칙적으로 되어 있지만, 깃이나 소매, 옷자락 부분에 딴 색깔을 사용해도 별로 문제는 안된다. 남자는 상의는 스포츠 셔츠, 하의는 짧은 팬츠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매우 격심한 운동을 수반하는 배드민턴 경기에서는 긴 바지를 입고 게임하면 아무래도 동작이 둔해진다. 여자 또한 플레이하기 쉬운 남자의 복장가 같다. 그리고 경기중에 흘린 땀으로 인해 상의가 젖었을 경우 갈아입을 수 있다.
※ 참고문헌
- 완전도해 배드민턴 교본 : 김학석, 구제언 공편 (신라출판사)
- 신문스포츠 시리즈 배드민턴 : 신문출판사
- 정통 배드민턴 : 현대레저연구회 편 (太乙出版社)
- 배드민턴 11 : 서울대학교체육연구소 노희덕 (동양문화사)
- 배드민턴 技法 : 河南吉 (世進社)
- 인터넷 자료
추천자료
배드민턴의 기술
배드민턴
볼링의 모든 것(개요,특성,효과,역사,원리,시설,장비,기술,용어 등)
배드민턴 대회기획안
축구, 배드민턴, 농구의 경기 개요, 경기 규칙, 경기 방법.
[교사용 지도서][배드민턴][볼링][수영 교사용 지도서][국악 교사용 지도서]교사용 지도서의 ...
의무기록 배열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의 특징
장비시설관리론-암벽
볼링 (볼링의 역사, 시설장비 기초기술
주방의 시설 및 기물장비관리.ppt
[경기규칙]농구의 경기규칙, 태권도의 경기규칙, 골프의 경기규칙, 배구의 경기규칙, 테니스...
배드민턴
[해양스포츠] 해양스포츠의 종류, 효과 및 활성화방안 - 해양스포츠 종류와 시설, 장비, 발전...
생체3급 구술 (공통문항 & 배드민턴)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