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운 상태에서 임팩트하는 것이 가장 좋고 임팩트하는 순간 손목만 짧고 빠르게 움직여 스윙한다. 스윙 후 다시 원위치로 돌아와 준비자세를 취한다.
네트 샷
Q8. 포핸드 헤어핀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8: 라켓을 세워 잡아 앞으로 이동하고 오른발과 오른팔을 셔틀 쪽으로 뻗으며 팔꿈치와 손목의 힘을 빼고 라켓을 셔틀 아래로 밀어 넣듯이 가볍게 친다.
Q9. 백핸드 헤어핀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9: 오른발을 셔틀콕이 낙하하는 방향으로 내딛고 몸을 왼쪽으로 돌리며 오른쪽 팔꿈치를 구부렸다가 라켓을 뻗는다. 자세를 낮춰서 눈높이와 팔꿈치 라켓이 서로 평행하게 있으면 정확한 스트로크를 할수있다. 체중이 오른발에 걸리게 라켓을 들어 올린다는 기분으로 임팩트 한다.
Q10. 크로스 네트 샷에 대한 지도요령을 말하시오.(중)
A10: 오른발과 오른팔을 셔틀콕이 낙하하는 방향으로 뻗고 팔꿈치와 손목의 힘을 빼면서 라켓을 셔틀 아래로 밀어 넣듯이 가볍게 치며 타구하는 순간에 손목을 중심으로 라켓헤드를 반원을 그리듯이 타구하여 셔틀콕이 네트를 따라 스치듯 넘어가서 상대의 사이드 라인 부근에 떨어지도록 해야 한다.
드라이브
Q11. 포핸드 드라이브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11: 양발을 어깨 너비보다 넓게 벌리고 상체를 오른쪽으로 틀어 백스윙 하며 왼발 뒷꿈치를 자연스럽게 들어 친다. 팔은 곧게 펴고 손목을 이용하여 강하게 타구 하여 임팩트 지점이 측면 전방에서 이루어지게 한다. 네트높이로 바닥과 수평으로 하여 셔틀콕을 보내고 상대방이 미치지 못하는 지점에 빠른 속도로 셔틀콕을 보내며 테이크백과 스윙동작은 작고 날카롭게 이루어지게 한다. 타구 순간이 완전히 눈앞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트로크후 자세를 낮추고 라켓을 빨리 들어 다음동작에 대비한다.
Q12. 백핸드 드라이브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12: 오른발을 내딛고 백핸드 그립을 잡은 상태에서 백스윙을 하며 팔꿈치는 어깨 높이 정도로 올리도록 한다. 왼발 뒤꿈치를 자연스럽게 들어서 틀어주고 팔은 곧게 펴면서 손목을 이용하여 강하게 타구하며 임팩트 지점은 전방에서 이루어지게 한다. 스트로크 후 자세를 낮추고 라켓을 빨리 들어 다음동작에 대비한다.
드롭 샷
Q13. 드롭 샷의 대한 지도요령을 설명하시오.(중)
A13 : 오른발을 뒤쪽으로 옮기면서 체중을 오른발에 두고 상체는 가볍게 뒤로 젖히면서 오른쪽 팔꿈치와 어깨를 뒤쪽으로 당기며 왼쪽 어깨는 네트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왼손은 날아오는 셔틀콕의 방향을 가리키고 충분한 타구점까지 셔틀콕을 끌어간 다음 재빨리 드롭 샷으로 쳐야 한다. 이 때, 네트 위의 가장자리 또는 중간를 노리고 타구 하여야 하고 셔틀콕이 날아가는 거리가 길지 않게 하여야 한다.
스매시
Q14. 스매시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14 : 스매시를 할 때는 셔틀콕을 반드시 몸 앞에 두어야 하고, 몸의 체중을 오른발에서 왼발로 이동하면서 허리, 어깨 그리고 손목의 힘 이 세 가지를 일치시키면서 스윙을 하며 항상 셔틀콕을 끝까지 주시한다.
실전
Q15. 체력이 많이 떨어지거나 리시브가 약한 파트너가 집중적으로 공격당하는 경우, 대처방법에 대한 지도요령을 설명하시오.(상)
A15: 체력이 많이 떨어지거나 리시브가 약한 파트너가 집중적으로 공격당하는 경우 의도적으로 포지션을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어 후위에서 계속 움직이다 체력이 떨어졌을 경우는 상대의 네트 앞에 셔틀을 떨어뜨린다. 이 후 자신이 앞으로 나오면 파트너가 후위로 빠질 것이다. 또한 리시브에 약한 백핸드 쪽만 공격 당할 시에는 오른쪽 사이드로 돌고, 백핸드 쪽은 파트너의 도움을 빌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Q16. 스매시 후 반격을 당했을 경우, 대처방법에 대한 지도요령을 설명하시오.(상)
A16: 스매시를 한 후에는 다음 상대의 반격을 대비하여 자세를 취하는 것이 원칙이다. 즉, 홈포지션으로 되돌아오는 것이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데 타구를 친 방향이 앞쪽을 향하므로 자연스럽게 발을 내딛기 쉽기 때문에 스매시를 한 후에는 그 자리에서 멈추지 말고 타구를 친 기세를 이용하여 홈 포지션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생활체육론-
□ 생활체육의 정의 : 건강 및 체력증진을 위해 행하는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체육활동으로서
신체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복을 추구하며, 건전한 사회발전에도 크게 기여한다.
□ 생활체육의 기능 : 인간 욕구 충족 / 평생교육 / 건강유지와 증진 / 지역사회 개발 / 사회문제 해결 / 여가 선용
□ 생활체육지도자의 역할 : 생활체육 참가자에 대한 안내, 지시, 영향력 행사 등의 역할
□ 생활체육지도자의 자질 : 지도능력 / 높은 품격 / 전문지식 / 책임성 / 도덕성
□ 생활체육 프로그램 기획 순서
: 기관의 철학 이해 → 요구조사 →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설정 → 프로그램 계획 → 프로그램 실행 → 프로그램 평가
□ 생활체육 프로그램 구성 시 고려할 점 : 구체적인 목표 / 참여대상 및 참여자의 능력 / 지역적 특성 / 현질적인 지도 가능성 / 지도자의 확보 / 생활체육 시설 등
□ 생활체육 지도자가 되려는 목적 : 본인의 목적을 말할 수 있게끔 미리 준비(면접처럼)
-배드민턴-
□ 하이클리어
셔틀콕을 상대 코트의 후방에 수직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아주 높고 멀리 보낼 때 사용하는 타법.
□ 스매쉬
머리 위로 높게 날아오는 셔틀콕을 네트 너머에 강하게 예각으로 떨어지도록 꺾어 내리치는 기술로 배드민턴의 가장 주된 공격 방법이다. 손목의 스냅을 사용해야 하며 스피드가 있어야 한다.
□ 드롭
셔틀콕을 부드럽게 가격하지만 셔틀콕이 네트를 넘어가서 예리하게 코트 전방의 네트와 짧은 서비스 라인 사이에 떨어지도록 한다. 코트의 좌우로 바쁘게 이동시키거나 뒤쪽에 있는 상대를 앞으로 끌어당기는 데 활용되며, 스매시에 대한 멋진 반구가 되기도 한다.
□ 헤어핀
셔틀콕이 네트 가까이 낮은 곳에 있을 때 사용하는 타법이다. 셔틀콕을 위로 가격하여 네트 위로 살짝 넘겨서 상대 코트에 수직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셔틀콕의 궤도가 ‘머리핀’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이 용어가 유래되었다.
네트 샷
Q8. 포핸드 헤어핀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8: 라켓을 세워 잡아 앞으로 이동하고 오른발과 오른팔을 셔틀 쪽으로 뻗으며 팔꿈치와 손목의 힘을 빼고 라켓을 셔틀 아래로 밀어 넣듯이 가볍게 친다.
Q9. 백핸드 헤어핀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9: 오른발을 셔틀콕이 낙하하는 방향으로 내딛고 몸을 왼쪽으로 돌리며 오른쪽 팔꿈치를 구부렸다가 라켓을 뻗는다. 자세를 낮춰서 눈높이와 팔꿈치 라켓이 서로 평행하게 있으면 정확한 스트로크를 할수있다. 체중이 오른발에 걸리게 라켓을 들어 올린다는 기분으로 임팩트 한다.
Q10. 크로스 네트 샷에 대한 지도요령을 말하시오.(중)
A10: 오른발과 오른팔을 셔틀콕이 낙하하는 방향으로 뻗고 팔꿈치와 손목의 힘을 빼면서 라켓을 셔틀 아래로 밀어 넣듯이 가볍게 치며 타구하는 순간에 손목을 중심으로 라켓헤드를 반원을 그리듯이 타구하여 셔틀콕이 네트를 따라 스치듯 넘어가서 상대의 사이드 라인 부근에 떨어지도록 해야 한다.
드라이브
Q11. 포핸드 드라이브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11: 양발을 어깨 너비보다 넓게 벌리고 상체를 오른쪽으로 틀어 백스윙 하며 왼발 뒷꿈치를 자연스럽게 들어 친다. 팔은 곧게 펴고 손목을 이용하여 강하게 타구 하여 임팩트 지점이 측면 전방에서 이루어지게 한다. 네트높이로 바닥과 수평으로 하여 셔틀콕을 보내고 상대방이 미치지 못하는 지점에 빠른 속도로 셔틀콕을 보내며 테이크백과 스윙동작은 작고 날카롭게 이루어지게 한다. 타구 순간이 완전히 눈앞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트로크후 자세를 낮추고 라켓을 빨리 들어 다음동작에 대비한다.
Q12. 백핸드 드라이브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12: 오른발을 내딛고 백핸드 그립을 잡은 상태에서 백스윙을 하며 팔꿈치는 어깨 높이 정도로 올리도록 한다. 왼발 뒤꿈치를 자연스럽게 들어서 틀어주고 팔은 곧게 펴면서 손목을 이용하여 강하게 타구하며 임팩트 지점은 전방에서 이루어지게 한다. 스트로크 후 자세를 낮추고 라켓을 빨리 들어 다음동작에 대비한다.
드롭 샷
Q13. 드롭 샷의 대한 지도요령을 설명하시오.(중)
A13 : 오른발을 뒤쪽으로 옮기면서 체중을 오른발에 두고 상체는 가볍게 뒤로 젖히면서 오른쪽 팔꿈치와 어깨를 뒤쪽으로 당기며 왼쪽 어깨는 네트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왼손은 날아오는 셔틀콕의 방향을 가리키고 충분한 타구점까지 셔틀콕을 끌어간 다음 재빨리 드롭 샷으로 쳐야 한다. 이 때, 네트 위의 가장자리 또는 중간를 노리고 타구 하여야 하고 셔틀콕이 날아가는 거리가 길지 않게 하여야 한다.
스매시
Q14. 스매시의 지도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중)
A14 : 스매시를 할 때는 셔틀콕을 반드시 몸 앞에 두어야 하고, 몸의 체중을 오른발에서 왼발로 이동하면서 허리, 어깨 그리고 손목의 힘 이 세 가지를 일치시키면서 스윙을 하며 항상 셔틀콕을 끝까지 주시한다.
실전
Q15. 체력이 많이 떨어지거나 리시브가 약한 파트너가 집중적으로 공격당하는 경우, 대처방법에 대한 지도요령을 설명하시오.(상)
A15: 체력이 많이 떨어지거나 리시브가 약한 파트너가 집중적으로 공격당하는 경우 의도적으로 포지션을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어 후위에서 계속 움직이다 체력이 떨어졌을 경우는 상대의 네트 앞에 셔틀을 떨어뜨린다. 이 후 자신이 앞으로 나오면 파트너가 후위로 빠질 것이다. 또한 리시브에 약한 백핸드 쪽만 공격 당할 시에는 오른쪽 사이드로 돌고, 백핸드 쪽은 파트너의 도움을 빌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Q16. 스매시 후 반격을 당했을 경우, 대처방법에 대한 지도요령을 설명하시오.(상)
A16: 스매시를 한 후에는 다음 상대의 반격을 대비하여 자세를 취하는 것이 원칙이다. 즉, 홈포지션으로 되돌아오는 것이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데 타구를 친 방향이 앞쪽을 향하므로 자연스럽게 발을 내딛기 쉽기 때문에 스매시를 한 후에는 그 자리에서 멈추지 말고 타구를 친 기세를 이용하여 홈 포지션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생활체육론-
□ 생활체육의 정의 : 건강 및 체력증진을 위해 행하는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체육활동으로서
신체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복을 추구하며, 건전한 사회발전에도 크게 기여한다.
□ 생활체육의 기능 : 인간 욕구 충족 / 평생교육 / 건강유지와 증진 / 지역사회 개발 / 사회문제 해결 / 여가 선용
□ 생활체육지도자의 역할 : 생활체육 참가자에 대한 안내, 지시, 영향력 행사 등의 역할
□ 생활체육지도자의 자질 : 지도능력 / 높은 품격 / 전문지식 / 책임성 / 도덕성
□ 생활체육 프로그램 기획 순서
: 기관의 철학 이해 → 요구조사 →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설정 → 프로그램 계획 → 프로그램 실행 → 프로그램 평가
□ 생활체육 프로그램 구성 시 고려할 점 : 구체적인 목표 / 참여대상 및 참여자의 능력 / 지역적 특성 / 현질적인 지도 가능성 / 지도자의 확보 / 생활체육 시설 등
□ 생활체육 지도자가 되려는 목적 : 본인의 목적을 말할 수 있게끔 미리 준비(면접처럼)
-배드민턴-
□ 하이클리어
셔틀콕을 상대 코트의 후방에 수직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아주 높고 멀리 보낼 때 사용하는 타법.
□ 스매쉬
머리 위로 높게 날아오는 셔틀콕을 네트 너머에 강하게 예각으로 떨어지도록 꺾어 내리치는 기술로 배드민턴의 가장 주된 공격 방법이다. 손목의 스냅을 사용해야 하며 스피드가 있어야 한다.
□ 드롭
셔틀콕을 부드럽게 가격하지만 셔틀콕이 네트를 넘어가서 예리하게 코트 전방의 네트와 짧은 서비스 라인 사이에 떨어지도록 한다. 코트의 좌우로 바쁘게 이동시키거나 뒤쪽에 있는 상대를 앞으로 끌어당기는 데 활용되며, 스매시에 대한 멋진 반구가 되기도 한다.
□ 헤어핀
셔틀콕이 네트 가까이 낮은 곳에 있을 때 사용하는 타법이다. 셔틀콕을 위로 가격하여 네트 위로 살짝 넘겨서 상대 코트에 수직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셔틀콕의 궤도가 ‘머리핀’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이 용어가 유래되었다.
추천자료
말하기에 대하여
여성과 가족 - 결혼과 가족의 형성 (성과연령의 영향)
[수행평가][수행평가 의의][수행평가 방법][수행평가 개선방향]수행평가의 개념, 수행평가의 ...
과학과교육(수업, 학습)의 성격과 과정, 과학과교육(수업, 학습)의 수행평가, 과학과교육(수...
[수행평가]수행평가의 개념, 수행평가의 특성, 수행평가의 분류, 수행평가의 필요성과 수행평...
[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정의][수행평가의 특징][수행평가의 시행 절차][수행평가의...
[수행평가][수행평가 방법][수행평가 절차]수행평가의 정의, 수행평가의 일반적 특징, 수행평...
말하기듣기교육(말하기듣기지도)의 특징과 원리, 말하기듣기교육(말하기듣기지도)의 내용과 ...
[측정도구, 측정도구 개발, 측정도구 선정과 제작, 측정도구와 교육평가, 측정도구와 수행평...
[현지조사, 현지조사 의의, 현지조사 자료수집방법, 현지조사 보고서작성, 필리핀]현지조사의...
[독해][독해학습][독해수준][독해력][독해과정][독해관][독해모형]독해와 독해학습, 독해와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9장 수행평가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