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걸쳐지는 멜빵을 안쪽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해,
가슴벨트롤 풀었다 조였다 하면서 하중이 걸리는 위치를 바꿔줄 수가 있다
대부분의 배낭은 가슴 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다)
배낭 윗부분 당김 끈을 미리 적당히 당겨 두어야 한다
(배낭 윗부분 당김 끈은 배낭을 몸에 달라붙게 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배낭 메는 요령
배낭을 하루에도 몇 번이고 짊어지고 내려야 하기 때문에, 배낭을 메는 과정에서만도 많은 힘이 소요된다.(그 배낭이 대용량의 무거운 배낭이라면 사실 지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어려움은 몇배가 될 것이다)
배낭을 편하게 짊어질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은 길가의 바위나, 쓰러진 나무, 의자를 이용해 얹어 놓고 매는 방법이다.
마땅한 장소가 없다면 무릎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무릎을 구부려 배낭을 그 위에 올려 놓구, 한 쪽 팔을
멜빵에 끼우고 윗몸을 숙이면서 배낭을 등에 업는 동시 반대쪽 멜빵에 손을 끼운다)
이 방법이 어렵다면 땅바닥에 주저 앉아서 멜빵을 끼고
몸을 앞으로 숙이면서 조금씩 일어난다.
☞ 배낭이 무겁지 않다면 들고 메기가 가장 적당하다
● 배낭 메기
한 쪽 멜빵을 10cm정도 길게 늘여 놓고, 배낭을 멘 후에 길이를 알맞게 조절한다
(멜빵의 길이가 처음부터 너무 짧으면 손을 끼워넣을 때 힘을 허비하게 되고
팔뚝이나 어깨에 상처를 입기가 십상이다)
허리벨트를 채우고 윗몸을 조금 숙여 배낭을 치켜 올리며 허리벨트를 꽉 조인다.
(아프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졸라매야 하며. 이렇게 골반에 걸쳐진 허리벨트는 어깨에 집중된 하중을 다리에 분산시켜 준다)
배낭을 등에 밀착시키기위해서 윗부분 당김끈을 충분히 당겨준다
(배낭이 등에서 떨어져 뒤로 쳐지면 더 무겁게 느껴지고 배낭이 좌우로 흔들려서 균형을 잡기가 힘들어 진다)
● 힘이 들 때
배낭을 매고 걷다 어깨가아프거나 힘이들면 상체를 숙여 배낭이 앞으로 쏠리게 한다
(어깨를 뒤로 당기고 있던 배낭의 하중이 앞으로쏠려 피로해진 어깨를 쉬게할수 있다)
배낭과 허리 사이에 손을 끼워 넣고 뒷짐을 지고 걸으면 그런 효과를 얻을수 있다
장기간 뒷짐을 지고 가기가 힘이 드므로, 멜빵 고리에 손잡이를 달아서 손으로 당기며 걷는 방법도 있다
☞ 이렇게 자연스레 상체가 앞으로 쏠리게 되면,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도 생겨 산행에 큰 도움이 된다.
한 쪽 어깨에 통증이 오면 그 쪽 어깨를 바깥쪽으로 빼놓고 걸을 수도 있다.
가슴벨트롤 풀었다 조였다 하면서 하중이 걸리는 위치를 바꿔줄 수가 있다
대부분의 배낭은 가슴 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다)
배낭 윗부분 당김 끈을 미리 적당히 당겨 두어야 한다
(배낭 윗부분 당김 끈은 배낭을 몸에 달라붙게 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배낭 메는 요령
배낭을 하루에도 몇 번이고 짊어지고 내려야 하기 때문에, 배낭을 메는 과정에서만도 많은 힘이 소요된다.(그 배낭이 대용량의 무거운 배낭이라면 사실 지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어려움은 몇배가 될 것이다)
배낭을 편하게 짊어질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은 길가의 바위나, 쓰러진 나무, 의자를 이용해 얹어 놓고 매는 방법이다.
마땅한 장소가 없다면 무릎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무릎을 구부려 배낭을 그 위에 올려 놓구, 한 쪽 팔을
멜빵에 끼우고 윗몸을 숙이면서 배낭을 등에 업는 동시 반대쪽 멜빵에 손을 끼운다)
이 방법이 어렵다면 땅바닥에 주저 앉아서 멜빵을 끼고
몸을 앞으로 숙이면서 조금씩 일어난다.
☞ 배낭이 무겁지 않다면 들고 메기가 가장 적당하다
● 배낭 메기
한 쪽 멜빵을 10cm정도 길게 늘여 놓고, 배낭을 멘 후에 길이를 알맞게 조절한다
(멜빵의 길이가 처음부터 너무 짧으면 손을 끼워넣을 때 힘을 허비하게 되고
팔뚝이나 어깨에 상처를 입기가 십상이다)
허리벨트를 채우고 윗몸을 조금 숙여 배낭을 치켜 올리며 허리벨트를 꽉 조인다.
(아프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졸라매야 하며. 이렇게 골반에 걸쳐진 허리벨트는 어깨에 집중된 하중을 다리에 분산시켜 준다)
배낭을 등에 밀착시키기위해서 윗부분 당김끈을 충분히 당겨준다
(배낭이 등에서 떨어져 뒤로 쳐지면 더 무겁게 느껴지고 배낭이 좌우로 흔들려서 균형을 잡기가 힘들어 진다)
● 힘이 들 때
배낭을 매고 걷다 어깨가아프거나 힘이들면 상체를 숙여 배낭이 앞으로 쏠리게 한다
(어깨를 뒤로 당기고 있던 배낭의 하중이 앞으로쏠려 피로해진 어깨를 쉬게할수 있다)
배낭과 허리 사이에 손을 끼워 넣고 뒷짐을 지고 걸으면 그런 효과를 얻을수 있다
장기간 뒷짐을 지고 가기가 힘이 드므로, 멜빵 고리에 손잡이를 달아서 손으로 당기며 걷는 방법도 있다
☞ 이렇게 자연스레 상체가 앞으로 쏠리게 되면,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도 생겨 산행에 큰 도움이 된다.
한 쪽 어깨에 통증이 오면 그 쪽 어깨를 바깥쪽으로 빼놓고 걸을 수도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 의식주, 영화, 애니, 음악 모든것
처녀들의 저녁식사 감상문
건강을 위한 트레이닝
현대소설작가 김사량에 대해서
[우수평가자료]마케팅 카사노바 독후감상문- 개인적인 생각과 교훈을 중심으로.
[고구려시대 회화미술][백제시대 회화미술][신라시대 회화미술][조선시대 회화미술][회화미술...
마케팅 전략적 사고의 중요성
영아기의 발달의 양상과 특징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의, 역사, 조직구조, 공동모금제도, 장단점, 현황, 발전과제)파워포인...
[아동발달] 아동기 신체발달 - 신체발달, 운동기능의 발달, 아동기 건강관리와 질병, 아동기 ...
지금, 여기서, ‘여자’로 산다는 것.
전자파 차폐 및 흡수 - 발표등록
일반화학실험 계면활성제와 에멀젼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