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비(Paralysis)
2. 현현(Epiphany)
3. ‘The dead’에서 나타난 마비(Paralysis)
4. ‘A painful case’에서 나타난 마비(Paralysis)
5. 작품에서의 마비의 차이
6. ‘The dead’에서 나타난 현현(Epiphany)
7. ‘A painful case’에서 나타난 현현(Epiphany)
8. 두 작품에서의 현현의 차이
9. 정리
2. 현현(Epiphany)
3. ‘The dead’에서 나타난 마비(Paralysis)
4. ‘A painful case’에서 나타난 마비(Paralysis)
5. 작품에서의 마비의 차이
6. ‘The dead’에서 나타난 현현(Epiphany)
7. ‘A painful case’에서 나타난 현현(Epiphany)
8. 두 작품에서의 현현의 차이
9. 정리
본문내용
나 간략히 언급하자면 수도승이 정해진 시간에 맞춰 관속에 들어가 잔다는 말에 브라운이 그 이유를 묻자 그저 규칙이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종교의 본질에 대해 알려는 노력은 찾아 볼 수 없으며, 형식과 명예만 필요로 하는 종교적 마비가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이 파티를 즐기기 위해 들떠 있는 동안 손님 맞을 준비로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하녀 릴리를 통해 그 당시 젊은 여성들의 직업이 더블리너즈 각 단편들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하녀나 점원으로 경제적 마비에 빠져 있는 더블린의 모습을 알 수 있다.
편협한 민족주의적 가치기준을 갖고 있는 아이버스양과 조국 아일랜드에 진저리를 내는 가브리엘과의 대조는 더블린 사람들의 상반된 정치적 견해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 둘을 조화하지 못하고 파벌 싸움에 휘말려 있는 아일랜드의 정치적 마비를 알 수 있다.
파티 도중에 메리 제인이 연주하는 아카데미는 제대로 듣지도, 이해하지도 않고 박수나 쳐대는 모습이나, 가브리엘이 케이트, 줄리아, 메리 제인을 더블린 음악세계의 세여신이라고 칭찬한 것은 생명력을 잃은 더블린의 문화를 단적으로 표현해주는 말로서, 문화적 마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티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자기도취에 사로 잡혀 자기 얘기만 하거나 자기의 얘기에 도취되어 웃지만 아무도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며 타인과의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자기중심주의에 빠진 사람들을 통해 도덕적 마비를 알 수 있다.
마비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하여 모더니스트의 대가답게 상징주의의 기법을 사용함과 더불어 현현(Epiphany)라는 자신만의 독특한 소설적 기법을 창안하여 자신의 작품에 적용시킨다. 각 단편들을 주인공들이 마비를 인식하게 되는 \'부정적 현현\'으로 끝맺는다.
The dead\'는 더브리너즈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전체 작품을 마무리하는 종장의 역할을 담당하는 에필로그로서 더블린 사람들 전체의 요약이요 클라이맥스라 할 수 있다. 이전 작품 14편 모두가 끝 부분에 마비의 상태를 깨닫는 현현(Epiphany)의 순간을 맞이하나 결국 내적인 변화를 실현시키지 못하는 부정적 현현(Epiphany)로 일관하는 반면 더 데드에서는 주인공이 내적인 변화를 실현시키고, 나아가서는 독창적 현현(Epiphany)을 실현시킨다는 점에서 앞의 14개의 작품과는 구별되는 걸작으로, 더블린 사람들 전체에 흐르고 있는 주요 주제를 집약 발전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의미 있는 작품이다.
사람들이 파티를 즐기기 위해 들떠 있는 동안 손님 맞을 준비로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하녀 릴리를 통해 그 당시 젊은 여성들의 직업이 더블리너즈 각 단편들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하녀나 점원으로 경제적 마비에 빠져 있는 더블린의 모습을 알 수 있다.
편협한 민족주의적 가치기준을 갖고 있는 아이버스양과 조국 아일랜드에 진저리를 내는 가브리엘과의 대조는 더블린 사람들의 상반된 정치적 견해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 둘을 조화하지 못하고 파벌 싸움에 휘말려 있는 아일랜드의 정치적 마비를 알 수 있다.
파티 도중에 메리 제인이 연주하는 아카데미는 제대로 듣지도, 이해하지도 않고 박수나 쳐대는 모습이나, 가브리엘이 케이트, 줄리아, 메리 제인을 더블린 음악세계의 세여신이라고 칭찬한 것은 생명력을 잃은 더블린의 문화를 단적으로 표현해주는 말로서, 문화적 마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티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자기도취에 사로 잡혀 자기 얘기만 하거나 자기의 얘기에 도취되어 웃지만 아무도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며 타인과의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자기중심주의에 빠진 사람들을 통해 도덕적 마비를 알 수 있다.
마비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하여 모더니스트의 대가답게 상징주의의 기법을 사용함과 더불어 현현(Epiphany)라는 자신만의 독특한 소설적 기법을 창안하여 자신의 작품에 적용시킨다. 각 단편들을 주인공들이 마비를 인식하게 되는 \'부정적 현현\'으로 끝맺는다.
The dead\'는 더브리너즈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전체 작품을 마무리하는 종장의 역할을 담당하는 에필로그로서 더블린 사람들 전체의 요약이요 클라이맥스라 할 수 있다. 이전 작품 14편 모두가 끝 부분에 마비의 상태를 깨닫는 현현(Epiphany)의 순간을 맞이하나 결국 내적인 변화를 실현시키지 못하는 부정적 현현(Epiphany)로 일관하는 반면 더 데드에서는 주인공이 내적인 변화를 실현시키고, 나아가서는 독창적 현현(Epiphany)을 실현시킨다는 점에서 앞의 14개의 작품과는 구별되는 걸작으로, 더블린 사람들 전체에 흐르고 있는 주요 주제를 집약 발전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의미 있는 작품이다.
추천자료
언어장애의 의미, 분류, 장애요인, 판단기준 [언어장애에 대한 모든 것]
신경계, SDH(Subdural Hematoma) Case study
케인즈 경제학
ICH케이스
[식사요법 B형]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의 발생현황과 증상 및 치료와 식사요법 - 통계자료...
한방케이스-중풍
[간호학]ICU- Emergency Kit 포함되는 기구, 약물(종류, 목적, 방법)
척수손상환자의 간호관리
[물리치료] 척수손상과 재활치료
금융위기 분석 (유럽 발 금융위기, 서브 프라임 모기지론 사태, 동아시아 금융 위기 이 세 가...
방통대 인간과심리 교양공통 심리학적 접근 학습이론
위메프 기업분석과 경영전략분석및 위메프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위메프 미래전략제...
★ MSG - MSG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MSG의 안전성, MSG가 나트륨 섭취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 보건소 가족간호 case study 컨퍼런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