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비와 현현 Paralysis & Epiphany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비와 현현 Paralysis & Epiphan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마비(Paralysis)
2. 현현(Epiphany)
3. ‘The dead’에서 나타난 마비(Paralysis)
4. ‘A painful case’에서 나타난 마비(Paralysis)
5. 작품에서의 마비의 차이
6. ‘The dead’에서 나타난 현현(Epiphany)
7. ‘A painful case’에서 나타난 현현(Epiphany)
8. 두 작품에서의 현현의 차이
9. 정리

본문내용

나 간략히 언급하자면 수도승이 정해진 시간에 맞춰 관속에 들어가 잔다는 말에 브라운이 그 이유를 묻자 그저 규칙이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종교의 본질에 대해 알려는 노력은 찾아 볼 수 없으며, 형식과 명예만 필요로 하는 종교적 마비가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이 파티를 즐기기 위해 들떠 있는 동안 손님 맞을 준비로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하녀 릴리를 통해 그 당시 젊은 여성들의 직업이 더블리너즈 각 단편들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하녀나 점원으로 경제적 마비에 빠져 있는 더블린의 모습을 알 수 있다.
편협한 민족주의적 가치기준을 갖고 있는 아이버스양과 조국 아일랜드에 진저리를 내는 가브리엘과의 대조는 더블린 사람들의 상반된 정치적 견해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 둘을 조화하지 못하고 파벌 싸움에 휘말려 있는 아일랜드의 정치적 마비를 알 수 있다.
파티 도중에 메리 제인이 연주하는 아카데미는 제대로 듣지도, 이해하지도 않고 박수나 쳐대는 모습이나, 가브리엘이 케이트, 줄리아, 메리 제인을 더블린 음악세계의 세여신이라고 칭찬한 것은 생명력을 잃은 더블린의 문화를 단적으로 표현해주는 말로서, 문화적 마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티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자기도취에 사로 잡혀 자기 얘기만 하거나 자기의 얘기에 도취되어 웃지만 아무도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며 타인과의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자기중심주의에 빠진 사람들을 통해 도덕적 마비를 알 수 있다.
마비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하여 모더니스트의 대가답게 상징주의의 기법을 사용함과 더불어 현현(Epiphany)라는 자신만의 독특한 소설적 기법을 창안하여 자신의 작품에 적용시킨다. 각 단편들을 주인공들이 마비를 인식하게 되는 \'부정적 현현\'으로 끝맺는다.
The dead\'는 더브리너즈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전체 작품을 마무리하는 종장의 역할을 담당하는 에필로그로서 더블린 사람들 전체의 요약이요 클라이맥스라 할 수 있다. 이전 작품 14편 모두가 끝 부분에 마비의 상태를 깨닫는 현현(Epiphany)의 순간을 맞이하나 결국 내적인 변화를 실현시키지 못하는 부정적 현현(Epiphany)로 일관하는 반면 더 데드에서는 주인공이 내적인 변화를 실현시키고, 나아가서는 독창적 현현(Epiphany)을 실현시킨다는 점에서 앞의 14개의 작품과는 구별되는 걸작으로, 더블린 사람들 전체에 흐르고 있는 주요 주제를 집약 발전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의미 있는 작품이다.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6.30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