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문사 신여성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문사 신여성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신여성
ⅱ. 어머니로서의 신여성
ⅲ. 연애 대상으로서의 신여성
Ⅲ. 결론 - 외국의 여성, 구여성을 모두 타자화함으로써 신여성은 남성이 규정한 역할 속에서만 존재했다.

본문내용

여성들은 ‘효’를 강조하는 유교적 관념을 통해 훌륭한 ‘며느리’가 되도록 교육받았다. 남편을 공경하고 순종하며 시부모님을 정성껏 모시는 것만이 여성으로서 해야 할 본분이었다. 신여성이 등장하던 시기에 여성들은 ‘현모양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훌륭하다는 가치를 교육받는다. 역할의 중심이 며느리에서 아내와 어머니로 이전된 것이다. 이는 전통적인 효 사상에서 벗어났다는 측면에서 다소 근대적이지만, 여성은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 밖에서 존재할 수 없다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했다. 현대의 사람들 또한 수많은 역할을 지니고 살아가지만 역할을 벗어던진다고 하더라도 현대인은 독립적인 주체로서 존엄성을 인정받는다. 이와 달리 당시에는 아내와 어머니가 아닌 여성은 사람으로 대우받을 수 없었다. 입센의 『인형의 집』에서 주인공 노라가 처가 되고 모(母)가 되기 전에 우선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부르짖었던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당시에 남성은 남편이나 아버지가 아니라고 해도 존재할 수 있었다. 논리적으로 \'양처\'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양부\'가 존재함을 전제로 해야 한다. 그런데 교육은 아내에게만 양처가 되어야 한다는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여성에게 절대적인 의미에서 좋은 아내가 되어야 한다고 하기보다 남편의 말에 순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현모양처’ 교육은 여성의 희생만을 요구하는 불평등한 담론이다. 나혜석이 지적했듯, ‘양부현부’의 교육 또한 병행되지 않는 한 ‘현모양처’ 교육은 여성을 역할을 통해서만 존재하게 하는 억압 기제에 불과하다. 단지 당시 남성들이 희망하던 ‘스위트홈’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는 그림 속 아내가 되어주기 위해 신여성들은 상당한 수준의 교육을 받았던 것이다.
루소는 『에밀』에서 “어머니나 친구를 사랑하는 소녀는 하루 종일 어머니 곁에서 지루해하지 않고 일할 것이다. 웃고 떠들 수 있기만 해도 소녀는 강제적으로 해야 하는 일을 보상받는다.”고 서술한다. 박희경, 『페미니즘연구』, Vol.1, No.0,「모성 담론에 부재하는 어머니」,한국여성연구소, 2001, 237쪽
하지만 소년은 아버지나 친구를 사랑한다고 할지라도 하루 종일 아버지 곁에서 일을 한다면 지루해 할 것이 분명하다. 이는 여성에게는 모성본능과 같은 감정이 이성에 우선된다고 간주하며 남녀가 불평등한 현실을 정당화하는 것에 불과하다. 현실적으로 당시의 신여성들은 외국의 여성들과 유사한 수준의 근대성을 수립하지 못했다. 그런데도 남성들이 바라는대로 이국의 여성을 좇으며 구여성을 쫓아냄으로써 신여성은 외국의 여성들과 구여성 모두를 타자로 만들어 버렸다. 이는 남성들은 단지 자신들의 헛된 이미지를 동경했던 것을 알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 결과 그녀들은 주체가 되고자 희망했지만, 여전히 남성이 규정한 자신의 역할 속에서만 살아서 숨을 쉴 수 있었다.
* 참고문헌
· 켈리 Y. 정(Kelly Y. Jeong) 저, 신여성, 구경거리(a spectacle)로서의 여성성 : 가시성과 접근성 - 나혜석의「경희」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연구, 한국문학연구 제29권, 2005. 12
· 이상경, 『인간으로 살고싶다. 영원한 신여성 나혜석』, 한길사, 2000
· 서지영, 한국학연구 29, 민족과 제국 \'사이\':식민지 조선 신여성의 근대,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2008
· 이상경, 『나혜석 전집』,2000, 태학사
· 김동인, 『김연실전(상),(하)』, 2002, 와이즈북토피아
· 권영민, 『염상섭전집』,민음사, 1987
· 박희경, 『페미니즘연구』, Vol.1, No.0,「모성 담론에 부재하는 어머니」,한국여성연구 소, 2001
  • 가격4,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01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