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청각적 이해력이 좋음
-언어 표현이 유창함
-말을 따라하지 못함
⑤ 초피질 운동실어증(Transcortucal motor aphasia)
-청각적 이해력은 좋음
-언어 표현이 유창하지 못하며 자발 언어가 어려움
-말을 정확하게 따라할 수 있음
⑥ 혼합초피질 실어증(Transcortical mixed aphasia)
-청각적 이해력이 떨어짐
-언어 표현이 유창하지 못함
-말을 정확하게 따라할 수 있음
⑦ 초피질 감각실어증(Transcortucal sensory aphasia)
-청각적 이해력이 떨어짐
-발음이 좋고 유창하게 말함
-말을 정확하게 따라할 수 있음
⑧ 명칭 실어증(Anomic aphasia)
-하측두엽의 뒤쪽 손상과 관련
-유창하고 문법적으로 정확하나 적절한 단어를 찾지 못해 묘사적 문구를 사용함
⑨ 구음장애(Dysarthria)
-발성근육의 기능장애로 인해 발음이 불분명하고 소리가 둔탁함
7. 치료
1)치료목적
① 뇌졸중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근긴장도를 조절한다.
② 손상 받은 사지의 기능을 최대화 한다.
③ 일상생활활동을 최대한 독립적으로 한다.
④ 환경을 관리하고 재구성한다.
⑤ 일과 취미 등 의미 있는 삶으로 돌아간다.
2)치료목표
① 비정상적인 근긴장도나 자세로 인한 기형을 방지한다.
② 비정상적인 자세나 움직임을 억제한다.
③ 최상의 힘과 관절가동범위를 회복시키고, 손상된 사지의 신체부위의 협응능력을 촉진.
3)치료방법
① 치료 단계 : 자세기전의 재통합, 제어된 협응 운동의 회복. 환자의 독립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 등 모든 활동에 필요한 보조를 점점 줄인다.
② 치료적 활동 : 환자의 주의력과 관심의 향상, 활동에 대한 동기유발, 사회화 및 의 사 소통 기회를 제공한다.
③ 운동 재훈련 : 손상된 부위의 활동을 촉진시켜 정상적으로 움직이도록 도와주고, 정상 자세기전을 갖추게 하고 비정상적인 반사와 움직임 패턴을 억제해 준다.
④ 견수 증후군(shoulder hand syndrome) : 사지의 수동적 움직임의 증가와 바른 자세 를 유지하는 것과 예방이 중요하다.
⑤ 어깨통증과 Sub-luxation : 상지를 바르게 지지하여 약한 어깨 근 조직이 손상받지 않 도록 가족에게도 교육한다. sling은 불편함을 없앨 수는 있지만 문제를 치료할 수는 없다.
⑥ 손 부종 : 원위부에서 근위부로 하는 마사지, air splint, Jobst pump, 탄력장갑 착용, 얼음이나 찬물에 손을 담근다.
⑦ 상지와 손의 굴근 경직 : 활동하지 않을 때에는 관절을 보호하고, 기형을 예방하기위 해 보조도구 사용, 손과 손목의 기능적 자세유지와 자세교 정을 위해서 보조기(splint)를 착용한다.
⑧ 제한된 관절가동범위 : 자발적인 운동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증진 운동을 한다.
⑨ 편측 사용 : 기능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양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⑩ 감각, 지각 재훈련
⑪ 인지재활
⑫ 심리 사회적 적응
▣ Brunnstrum 회복단계
단계
팔의 회복단계
손의 회복단계
1
이완성
기능 없음
2
경직시작, 상지의 협력작용, 연합반응이 나타남
손 전체로 잡기(gross grasp), 약간의 굴곡
3
경직증가, 협력작용과 관련된 운동을 수의적으로 조절가능
손 전체로 잡기(gross grasp), 고리잡기(hook grasp), 물건 놓기 안됨
4
경직감소, 협력작용으로 인해 어려웠던 복합적인 운동가능
외측쥐기(lateral prehension), 엄지손가락 움직임, 약간의 손가락 신전
5
경직은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복합적인 운동이 쉬워짐
손바닥 잡기(palmar prehension), 구형잡기(spherical grasp), 막대기둥잡기(cylindrical grasp), 물건 놓기 가능
6
빠른 운동을 시도할 때 빼고는 경직 없음. 독립적인 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함
모든 잡기 및 쥐기 가능, 모든 관절가동범위의 신전가능
▣ Bobath 단계에 따른 치료법
단계1
이동(transfer), 자세잡기(positioning)
단계2a
편측활동, 양측수동활동, 양측활동(bilateral → bimanual → unilateral)
단계2b
어깨와 팔꿈치의 안정성, 쥐기-놓기(grip-release)
단계3
편측활동, 자발적 조절의 촉진, 손기능의 향상
단계4
협응훈련, 선택적 움직임
*참고문헌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sixth edition, Mosby, 2006
-신경계 작업치료학, 채경주, 도서출판 테라북스
-언어 표현이 유창함
-말을 따라하지 못함
⑤ 초피질 운동실어증(Transcortucal motor aphasia)
-청각적 이해력은 좋음
-언어 표현이 유창하지 못하며 자발 언어가 어려움
-말을 정확하게 따라할 수 있음
⑥ 혼합초피질 실어증(Transcortical mixed aphasia)
-청각적 이해력이 떨어짐
-언어 표현이 유창하지 못함
-말을 정확하게 따라할 수 있음
⑦ 초피질 감각실어증(Transcortucal sensory aphasia)
-청각적 이해력이 떨어짐
-발음이 좋고 유창하게 말함
-말을 정확하게 따라할 수 있음
⑧ 명칭 실어증(Anomic aphasia)
-하측두엽의 뒤쪽 손상과 관련
-유창하고 문법적으로 정확하나 적절한 단어를 찾지 못해 묘사적 문구를 사용함
⑨ 구음장애(Dysarthria)
-발성근육의 기능장애로 인해 발음이 불분명하고 소리가 둔탁함
7. 치료
1)치료목적
① 뇌졸중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근긴장도를 조절한다.
② 손상 받은 사지의 기능을 최대화 한다.
③ 일상생활활동을 최대한 독립적으로 한다.
④ 환경을 관리하고 재구성한다.
⑤ 일과 취미 등 의미 있는 삶으로 돌아간다.
2)치료목표
① 비정상적인 근긴장도나 자세로 인한 기형을 방지한다.
② 비정상적인 자세나 움직임을 억제한다.
③ 최상의 힘과 관절가동범위를 회복시키고, 손상된 사지의 신체부위의 협응능력을 촉진.
3)치료방법
① 치료 단계 : 자세기전의 재통합, 제어된 협응 운동의 회복. 환자의 독립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 등 모든 활동에 필요한 보조를 점점 줄인다.
② 치료적 활동 : 환자의 주의력과 관심의 향상, 활동에 대한 동기유발, 사회화 및 의 사 소통 기회를 제공한다.
③ 운동 재훈련 : 손상된 부위의 활동을 촉진시켜 정상적으로 움직이도록 도와주고, 정상 자세기전을 갖추게 하고 비정상적인 반사와 움직임 패턴을 억제해 준다.
④ 견수 증후군(shoulder hand syndrome) : 사지의 수동적 움직임의 증가와 바른 자세 를 유지하는 것과 예방이 중요하다.
⑤ 어깨통증과 Sub-luxation : 상지를 바르게 지지하여 약한 어깨 근 조직이 손상받지 않 도록 가족에게도 교육한다. sling은 불편함을 없앨 수는 있지만 문제를 치료할 수는 없다.
⑥ 손 부종 : 원위부에서 근위부로 하는 마사지, air splint, Jobst pump, 탄력장갑 착용, 얼음이나 찬물에 손을 담근다.
⑦ 상지와 손의 굴근 경직 : 활동하지 않을 때에는 관절을 보호하고, 기형을 예방하기위 해 보조도구 사용, 손과 손목의 기능적 자세유지와 자세교 정을 위해서 보조기(splint)를 착용한다.
⑧ 제한된 관절가동범위 : 자발적인 운동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증진 운동을 한다.
⑨ 편측 사용 : 기능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양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⑩ 감각, 지각 재훈련
⑪ 인지재활
⑫ 심리 사회적 적응
▣ Brunnstrum 회복단계
단계
팔의 회복단계
손의 회복단계
1
이완성
기능 없음
2
경직시작, 상지의 협력작용, 연합반응이 나타남
손 전체로 잡기(gross grasp), 약간의 굴곡
3
경직증가, 협력작용과 관련된 운동을 수의적으로 조절가능
손 전체로 잡기(gross grasp), 고리잡기(hook grasp), 물건 놓기 안됨
4
경직감소, 협력작용으로 인해 어려웠던 복합적인 운동가능
외측쥐기(lateral prehension), 엄지손가락 움직임, 약간의 손가락 신전
5
경직은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복합적인 운동이 쉬워짐
손바닥 잡기(palmar prehension), 구형잡기(spherical grasp), 막대기둥잡기(cylindrical grasp), 물건 놓기 가능
6
빠른 운동을 시도할 때 빼고는 경직 없음. 독립적인 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함
모든 잡기 및 쥐기 가능, 모든 관절가동범위의 신전가능
▣ Bobath 단계에 따른 치료법
단계1
이동(transfer), 자세잡기(positioning)
단계2a
편측활동, 양측수동활동, 양측활동(bilateral → bimanual → unilateral)
단계2b
어깨와 팔꿈치의 안정성, 쥐기-놓기(grip-release)
단계3
편측활동, 자발적 조절의 촉진, 손기능의 향상
단계4
협응훈련, 선택적 움직임
*참고문헌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sixth edition, Mosby, 2006
-신경계 작업치료학, 채경주, 도서출판 테라북스
추천자료
Cerebrovascular Accident(뇌졸중)
[식사요법 B형]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의 발생현황과 증상 및 치료와 식사요법 - 통계자료...
[뇌혈관질환]뇌졸중과 고혈압의 예방 및 관리
성인병,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동맥경화증에 대한 자료와 경각심을 깨닫자.
(노인간호)치매 파킨슨 뇌졸중 문헌고찰
[Case Study] 보건소-성인케이스(뇌졸중,CVA)
2008년 1학기 식사요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허혈성심장질환과 뇌졸중)
(의료사회사업)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강릉아산병원)과 사회사업가의 역할
[성인간호학][뇌졸중][CVA]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Vascular Accident]
노인 순환기계 질환 (고혈압, 뇌졸중, 심부전, 허혈성 심질환)
노인질병의 예방 (노인 질병, 뇌졸중, 치매, 당뇨병, 고혈압, 지루 각화증).PPT자료
cerebrovascular accident, 뇌졸중
[동서협진과 CASE] 잦은 뇌졸중으로 인한 뇌경색 후유증 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