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척수의 신경로[Tracts of the Spinal Cord], 뇌의 기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척수의 신경로[Tracts of the Spinal Cord], 뇌의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은 아니다.
추상적인 형태나 공간적 관계의 인식, 직관적인 판단과 신비성의 추구, 비언어적인 표현(묘화), 음악 등 예술감상 등은 우반구가 좌반구보다도 우수한 점도 있다. 좌반구가 주로 많은 정보로서 체계적으로 추리하는 분석적인 작용에 대해서 우반구는 하나의 정보로서 전체를 파악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보통 우반구는 “자력으로 말하는” 것이 되지 않기 때문에 좌반구 없이는 침묵하지 않을 수 없다
좌반구와 우반구의 구분
좌 뇌 인 간
우 뇌 인 간
발달한 뇌
판단방식
합 리 성
정보이용
사고방향
대화방식
의사결정
우위영역
자기훈련
중 풍 시
왼쪽의 뇌(지성의 뇌)
지성의 판단
논리성, 합리성을 추구
많은 정보에서 체계적 추리
분석적, 서양철학적
이론 정연한 발언
Data, 자료위주
법, 계산, 실험, 이론체계화
합리적 이론, 지식습득
좌뇌가 상한 경우
-지성영역이 마비
-감정영역이 살아있음
-통증을 참지 못함
오른쪽의 뇌(감정의 뇌)
직관적인 판단
비합리성, 신비성 추구
하나의 정보로 전체를 파악
종합적, 동양철학적
비합리적, 제스처 위주
상대의 표정, 감정, 육감을 이용
사업, 예술, 정치
경험위주, 예술감상
우뇌가 상한 경우
-감정영역이 마비
-지성영역이 살아 있음
-통증을 잘 참아냄
가령 노래는 하지만 말을 못하는 것은 좌반구가 손상된 경우일 것이다. 그래서 말을 하려고 생각하는 것과 밀접히 관련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우반구가 수행하는 그것만으로 개념적인
사고가 되는지 어떤지는 문제이다.
뇌량의 기능
뇌량은 약 2억개(200X106)의 신경섬유로 이루어지는 신피질의 최대 교련섬유다. 이들 섬유은 좌, 우신피질의 상동부를 연락하고 좌, 우반구가 1개의 단위로 해석 기능을 수행하는 것 같다. 뇌량섬유를 갖지 않는 피질 영역은 측두엽의 어떤 부위를 제외하고는 있을 수 없다.
최근까지 뇌량의 기능은 수수께기였다. 선천적으로 뇌량이 없는 사람이나 뇌량을 외과적으로 절단한 환자에서는 신경과적인 이상이 보이지 않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해 뇌량은 한쪽 반구에서 다른 한쪽 반구로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대뇌피질의 기능에는 명확히 좌, 우의 차이가 있고 많은 기능이 양측에서가 아니라 한쪽의 반구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다른쪽 반구는 뇌량섬유나 다른 교련섬유를 중개로 해서 그와 같은 기능에 관여하는 뇌부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뇌량의 역할은 최초 Spery가 눈을 가린 고양이를 이용하여 실험한데서 나타났다.
시신경교차를 사상으로 절단하면 좌, 우의 눈으로부터 오는 흥분충동은 가가 동측의 시각 피질에만 전달된다. 즉 고양이의 오른쪽을 가려 기하학적이 형태를 식별하는 것과 같은 훈련을 시킨 다음에 왼쪽 눈을 가리고 같은 형태를 오른쪽 눈에 보여주면 고양이의 왼쪽 눈으로 보았을 때와 똑같이 그 형태의 식별이 된다. 이런 것으로 보아 양 반구의 사이에 정보의 이송이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실험을 뇌량을 절단해서 반복하면 고양이는 훈련 중에 눈을 가린 쪽 눈에는 형태를 식별하는 것이 되지 않게 된다. 또한 한족 반구에 수용된 정보가 다른쪽 반구로 이송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처치를 받은 동물을 분리뇌동물 spilt-brain- animal 이라고 한다. 이같은 실험에 있어서 정보의 이송은 양측의 시각피질 사이를 결합하는 교련섬유를 중개로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뇌량절단은 지능, 행동, 감정에는 변호를 주지 않는다. 뇌량절단수술을 받은 간질환자는 왼쪽손 또는 시야의 좌측을 중개로 해서 우반구에 수용된 정보의 내용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 되지 않으며 환자는 이들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환자의 눈을 감게 하고 그의 오른손에 물건을 잡게 하면 환자는 그 물건의 이름을 말했지만 물건은 왼손으로 잡게 한 경우에는 이름을 말할 수 없었다. 그러나 눈을 감은 환자의 왼손에 물건을 잡게 하고 여러 가지 물건을 늘어 놓고 그 중에서 왼손에 잡고 있는 물건과 같은 것을 가리키라고 요구하면 그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다.
대뇌기저핵
대뇌기저핵은 대뇌반구백질의 중심부에 있는 큰 신경핵으로 미상핵, 피각, 담창구, 편도체, 전장등이 있다. 피각과 미상핵을 합해 선조체라 하고 계통발생학적으로 새로운 부분이다. 이것에 대해서 계통학적으로 오래된 부분인 담창구는 고선조체라고 한다. 피각과 담창구를 합해 렌즈핵이라 하고 이양자는 구조도 기능도 아주 다르다. 피각과 미상핵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나누어지지 않고 앞쪽에는 미상핵두와 피각의 앞부분이 융합되어 있다. 그러나 뒤쪽에는 미상핵과 피각과는 내포의 신경섬유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미상핵과 피각과는 내포를 횡단해서 있는 회백질의 선조에 의해서도 연락된다.
대뇌기저핵의 기능
최근 대뇌기저핵의 구조나 신경섬유연락에 관한 지식이 늘어났고 이 영역에 관한 약리학적 분석이 진전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대뇌기저핵의 기능은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동물실험 결과의 해석도 결코 단순하지 않아 문제는 단지 파괴실험에서 반드시 따르는 통과섬유의 문제(어떤부위를 파괴하면 그 부위를 통과해서 어딘가 다른 부위로 향하는 신경섬유도 동시에 차단된다)만은 아니다.
대뇌기저핵에 도달하는 정보는 고도로 통합된 것으로서 간단히 정의를 내릴 수 없다. 즉 대뇌피질에서 오는 구심성섬유는 피질의 광범위한 데서 기시하고 운동성인 것, 감각성인 것, 연합성인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시상비특수핵에서 오는 구심성 흥분충동도 똑같이 극히 복잡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어 이들 흥분충동의 일부는 뇌간망상체의 활동에 의존하고 있다. 비교해부학적 자료에서 대뇌기저핵이 운동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양서류나 조류에서는 기저핵이 최고의 운동중추이며, 고도로 발달하여 운동기능의 미묘한 협조 관계를 조절하고 있다. 고등포유류, 특히 사람에서는 원래 기저핵이 수행하고 있는 많은 기능을 대뇌피질이 떠맡아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저핵은 자동운동이나 학습운동의 program이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되어 생각되고 있다.
자동운동은 일생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얼궁
  • 가격3,3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3.07.05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5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