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서 0.05g씩 뺀 값의 그래프(붉은색)의 비교>
수 없겠지만 감자 조각들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너무 지체되어 먼저 준비된 감자조각들에서 수분 증발이 일어나 실험결과에 영향을 줬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감자조각을 용액에서 제거하는 과정에서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지 않아 최종무게가 더 무거워져 실험일단 같은 감자에서만 채취한 sample이 아닌 3개의 감자에서 무작위적으로 추출한 감자조각이기에 감자의 상태가 완전히 같을 순 없을 것이고 그러므로 water potential값은 미세하게나마 차이가 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감자 세포와 같은 식물조직에 경우 최종 무게가 증가한다는 것은 감자세포 내부가 담겨져 있는 용액보다 농도가 높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삼투포텐셜이의 음의 절대값이 매우 크고 압력포텐셜의 경우 포텐셜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water potential은 외부의 water potential 값 보다 더 높은 음의 값이 되어 세포쪽으로 물이 이동해 무게가 증가하는 것이고 무게가 감소하는 것은 삼투포텐셜의 음의 절대값이 그리 크지 않고 압력포텐셜은 여기서도 포텐셜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water potential 값은 외부 용액의 water potential에 비해 값이 더 크게 되어 감자 세포 내부에서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 무게가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무게가 불변하는 것은 세포내부의 삼투포텐셜이 외부 용액의 water potential과 같아 물이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분말로 dye로 사용한 건, 실험 자체가 용액의 농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액체가 아닌 분말 형태의 dye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실험(chardakov)를 통해 얻은 감자조각의 워터포텐셜 값보다 더 정확한 값을 얻고자 한다면 처음 시도에서 예측된 용액이 정지 혹은 이동경향이 바뀌는 시점에서의 sucrose의 농도인 0.25m과 0.3m사이에서 다시 한번 농도를 좀 더 세밀하게 조절된 범위 내에서(0.01m단위) 시험을 해보면 될 것이다.
Reference
- 식물생리학, W. G. Hopkins저, 권덕기 외 4명 공역, 2001, 을유문화사, 2판, 39-44pp
- 식물생리학, Salsbury&Ross저, 강영희 외 5명 공역, 1988, 아카데미서적, 3판, 37-49pp
- 일반화학, McQuarrie저, 강대호 외 20명 공역, 1987, 탐구당, 2판, 132-135pp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06
  • 저작시기20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