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스러운 러시아의 정교 문화
러시아의 정교(러시아정교)
물의 요정 루살카와 정교회의 수난
범신론에서 만유신재론으로
러시아의 세시풍속과 정교회의 축일
카니발 사순절 파스하
러시아 정교회의 세계 ―타오르는 대지의 촛불
러시아 이콘의 미
러시아 이콘의 미학
러시아 성인들의 영성과 유로지비의 전복된 성스러움
17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분열-니콘의 종교개혁과 분리파 구교도
러시아의 정교(러시아정교)
물의 요정 루살카와 정교회의 수난
범신론에서 만유신재론으로
러시아의 세시풍속과 정교회의 축일
카니발 사순절 파스하
러시아 정교회의 세계 ―타오르는 대지의 촛불
러시아 이콘의 미
러시아 이콘의 미학
러시아 성인들의 영성과 유로지비의 전복된 성스러움
17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분열-니콘의 종교개혁과 분리파 구교도
본문내용
성스러운 러시아의 정교 문화
러시아의 정교(러시아정교)
• 러시아정교
-비잔티움 전례를 따르는 러시아의 동방정교회 종파.
대표적인 종파 시노드파, 몰로칸교.
• 러시아 교회의 국교화
- A.D. 988년, 키예프 대공국의 블라디미르 1세에 의해 국교가됨.
러시아인들은 동방정교회를 받아들임
물의 요정 루살카와 정교회의 수난
이중 신앙 체계
• 그리스도교적 세계관의 러시아적인 신앙을 의미
• 삼위일체의 교리를 범신론적 세계관의 제신들을 통해 이해
• 동슬라브의 범신론적인 맥락에서 그리스도교의 세계관을 수용
Ex) 천둥 번개의 신 ‘페룬’ → ‘선지자 알리야 성인’
가축의 신 ‘벨레스’ → ‘바실리 성자’
번식의 신 ‘야릴로’ → ‘유리(게오르기)’
대지 모신 ‘모코쉬’ → ‘파라스케바 파트니차’
• 슬라브 신화의 용어를 그리스도교적인 용어로 대체
Ex) ‘신Bog’ ‘구세주Spas’ ‘선지자Svjatoj Propok’ ‘기도molitva’ ‘십자가krest’ ‘기적chudo’
• 그리스도교의 ‘삼위일체’ 위격을 범신적인 우주의 신격으로 이해
성부 → 스트리보그
성자 → 다쥐보그
성령 → 그리핀
러시아의 정교(러시아정교)
• 러시아정교
-비잔티움 전례를 따르는 러시아의 동방정교회 종파.
대표적인 종파 시노드파, 몰로칸교.
• 러시아 교회의 국교화
- A.D. 988년, 키예프 대공국의 블라디미르 1세에 의해 국교가됨.
러시아인들은 동방정교회를 받아들임
물의 요정 루살카와 정교회의 수난
이중 신앙 체계
• 그리스도교적 세계관의 러시아적인 신앙을 의미
• 삼위일체의 교리를 범신론적 세계관의 제신들을 통해 이해
• 동슬라브의 범신론적인 맥락에서 그리스도교의 세계관을 수용
Ex) 천둥 번개의 신 ‘페룬’ → ‘선지자 알리야 성인’
가축의 신 ‘벨레스’ → ‘바실리 성자’
번식의 신 ‘야릴로’ → ‘유리(게오르기)’
대지 모신 ‘모코쉬’ → ‘파라스케바 파트니차’
• 슬라브 신화의 용어를 그리스도교적인 용어로 대체
Ex) ‘신Bog’ ‘구세주Spas’ ‘선지자Svjatoj Propok’ ‘기도molitva’ ‘십자가krest’ ‘기적chudo’
• 그리스도교의 ‘삼위일체’ 위격을 범신적인 우주의 신격으로 이해
성부 → 스트리보그
성자 → 다쥐보그
성령 → 그리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