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선이 다른 연대결정법에 의해 완성되어야 만 이를 이용해 시료의 연대를 알 수 있다.
측정방법은 시료표면에 유적의 방위를 표시한 뒤 그것을 채집하여 시료의 여우 자석 성 분은 자력계로 검출하는 것이다. 시료는 불탄 뒤에 교란되지 않은 것이어야 하며 불에 탄 가마나 화덕이 좋다.
⑩화산회층에 의한 연대측정법
이미 알고 있는 화산회층의 형성연대를 참고로 출토된 고고학적 자료의 연대를 알아내 는 방법이다. 화산회층은 단기간에 형성되고 넓은 범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다방면연구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화산회층의 연대는 직상 직하의 유기물의 연대를 측정하여 산출하 는데 연대가 인지된 화산회층은 자연사 연구의 시계역할을 한다. 화산회를 구분하는 방 법에는 층위학적 방법과 암석기재적 방법으로 구분된다.
한국 고고학의 편년에 도움을 주는 화산회에는 일본 큐슈지역에서 발견된 것이 있다. 한국유적에서는 화산의 화구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관계로 어떤 종류의 화산회인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써 지층의 연대를 측정해 낼 수 있다.
⑪전자회전공명(ESR)에 의한 연대측정법
전자결합의 집중도는 쪼여진 방사선량에 엄밀히 비례한다는 점을 전제로 전자회전공명 에 의해 전자결함의 집중도(농도)를 측정해 연대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즉, 자연방사선에 의해 생긴 결함농도를 전자회전공명으로 검출해 시료가 지금까지 받은 자연방사선의 총 량을 구하고 이를 통해 연대를 측정하는 것이다. 같은 원리로 열발광측정법과 피션트랙 측정법이 있다.
이 방법의 특징은 유물을 파괴하지 않고 계속하여 반복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시료 준비과정에서도 시료를 측정에 앞서 따로 처리할 필요가 없다. 시료는 종유 석, 석용, 뼈 등이 포함되는데 종유석의 겨우 연대는 물론 성장 속도 까지 측정할 수 있 다고 한다.
연대측정의 범위는 며칠 전부터 몇 천만년 전까지도 가능하다고 알려졌으나 1000년 이 내에는 오차가 크다고 한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연대결정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대결정법은 상대연대결정법과 절대연대결정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안에서도 상당한 종류의 측정법이 있었다. 이러한 측정법들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 지난 과거로 다시 거슬러 가면서 어떤 연대에 어떤 유물들이 있었는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연대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연구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지 않을 수는 없지만 최대한 사료와 연대측정법에 의거하여 역사시점을 바르게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연대측정법 중 가장 이목이 가는 것은 전자회전공명(ESR)에 의한 연대측정법이었다. 좀 더 체계적이고 섬세한 작업을 할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제는 연대결정법에도 첨단 과학이 깊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고고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물, 유적을 발굴하는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그 외에도 연대결정법과 같은 방법들이 고대 역사의 흐름을 정하고 그 시대의 모습을 더욱 더 분명히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거로 더 과거로 거슬러 가는 것이 허무맹랑한 일이 아니라 보석과도 같은 찬란한 역사를 발굴해 내는 일임을 비로소 다시 느꼈다.
앞으로도 연대결정법은 고고학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오랜 역사를 좀 더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최몽룡 외, 「考古學硏究方法論」,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 타구치 이사무 외, 「고고자료 분석법」, 서경문화사, 2007
- 브라이언 페이건, 「고고학 세계로의 초대」, 사회평론, 2002
- kimtg00, 고고학과 연대문제, http://blog.naver.com/kimtg00/20003499437, 04.06.24
측정방법은 시료표면에 유적의 방위를 표시한 뒤 그것을 채집하여 시료의 여우 자석 성 분은 자력계로 검출하는 것이다. 시료는 불탄 뒤에 교란되지 않은 것이어야 하며 불에 탄 가마나 화덕이 좋다.
⑩화산회층에 의한 연대측정법
이미 알고 있는 화산회층의 형성연대를 참고로 출토된 고고학적 자료의 연대를 알아내 는 방법이다. 화산회층은 단기간에 형성되고 넓은 범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다방면연구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화산회층의 연대는 직상 직하의 유기물의 연대를 측정하여 산출하 는데 연대가 인지된 화산회층은 자연사 연구의 시계역할을 한다. 화산회를 구분하는 방 법에는 층위학적 방법과 암석기재적 방법으로 구분된다.
한국 고고학의 편년에 도움을 주는 화산회에는 일본 큐슈지역에서 발견된 것이 있다. 한국유적에서는 화산의 화구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관계로 어떤 종류의 화산회인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써 지층의 연대를 측정해 낼 수 있다.
⑪전자회전공명(ESR)에 의한 연대측정법
전자결합의 집중도는 쪼여진 방사선량에 엄밀히 비례한다는 점을 전제로 전자회전공명 에 의해 전자결함의 집중도(농도)를 측정해 연대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즉, 자연방사선에 의해 생긴 결함농도를 전자회전공명으로 검출해 시료가 지금까지 받은 자연방사선의 총 량을 구하고 이를 통해 연대를 측정하는 것이다. 같은 원리로 열발광측정법과 피션트랙 측정법이 있다.
이 방법의 특징은 유물을 파괴하지 않고 계속하여 반복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시료 준비과정에서도 시료를 측정에 앞서 따로 처리할 필요가 없다. 시료는 종유 석, 석용, 뼈 등이 포함되는데 종유석의 겨우 연대는 물론 성장 속도 까지 측정할 수 있 다고 한다.
연대측정의 범위는 며칠 전부터 몇 천만년 전까지도 가능하다고 알려졌으나 1000년 이 내에는 오차가 크다고 한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연대결정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대결정법은 상대연대결정법과 절대연대결정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안에서도 상당한 종류의 측정법이 있었다. 이러한 측정법들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 지난 과거로 다시 거슬러 가면서 어떤 연대에 어떤 유물들이 있었는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연대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연구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지 않을 수는 없지만 최대한 사료와 연대측정법에 의거하여 역사시점을 바르게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연대측정법 중 가장 이목이 가는 것은 전자회전공명(ESR)에 의한 연대측정법이었다. 좀 더 체계적이고 섬세한 작업을 할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제는 연대결정법에도 첨단 과학이 깊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고고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물, 유적을 발굴하는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그 외에도 연대결정법과 같은 방법들이 고대 역사의 흐름을 정하고 그 시대의 모습을 더욱 더 분명히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거로 더 과거로 거슬러 가는 것이 허무맹랑한 일이 아니라 보석과도 같은 찬란한 역사를 발굴해 내는 일임을 비로소 다시 느꼈다.
앞으로도 연대결정법은 고고학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오랜 역사를 좀 더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최몽룡 외, 「考古學硏究方法論」,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 타구치 이사무 외, 「고고자료 분석법」, 서경문화사, 2007
- 브라이언 페이건, 「고고학 세계로의 초대」, 사회평론, 2002
- kimtg00, 고고학과 연대문제, http://blog.naver.com/kimtg00/20003499437, 04.06.24
추천자료
국가보안법 폐지에 관한 고찰
국민기초생활보장법정책 형성 과정 분석
한국 NGO에서의 의사결정과정의 문제점
미국의회의 통상정책결정구조 및 한미 통상관계의 동향과 전망
성매매 정책과 성매매특별법
[직업재활]장애인의 직업평가에 있어 의사결정권에 관한 고찰
투쟁과 약사법투쟁, 한약학과투쟁, 투쟁과 여성인권투쟁, 민주노총집중투쟁, 투쟁과 노동자투...
[시민연대][시민][연대][시민연대 역할][시민연대 문화연대][시민연대 총선시민연대][시민연...
[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 개념, 국가보안법 특징]국가보안법의 개념, 국가보안법의 특징, 국...
국민 건강 보험법의 급여의 종류와 내용
사회복지정책 개발과정(형성 및 결정)
사회복지법제-관심 있는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회복지법 하나를 선택하여 법 내용과 본인의 생...
[사회복지법제연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에 관한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