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2년][1922년 흑도회][1922년 흑우회][1922년 한인단체][동경동맹회][코민테른][태을교]1922년의 흑도회, 1922년의 흑우회, 1922년의 한인단체, 1922년의 동경동맹회, 1922년의 코민테른, 1922년의 태을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22년][1922년 흑도회][1922년 흑우회][1922년 한인단체][동경동맹회][코민테른][태을교]1922년의 흑도회, 1922년의 흑우회, 1922년의 한인단체, 1922년의 동경동맹회, 1922년의 코민테른, 1922년의 태을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922년의 흑도회

Ⅱ. 1922년의 흑우회

Ⅲ. 1922년의 한인단체

Ⅳ. 1922년의 동경동맹회

Ⅴ. 1922년의 코민테른

Ⅵ. 1922년의 태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里로 거처를 옮기고 그동안 자신을 따르던 추종자를 모아 1919년 다시 교단을 세우고 교명을 태을교라 칭하였다. 이로써 차경석을 추종하는 태을교와 고씨 부인을 추종하는 태을교로 분립되었다. 이후 차경석의 태을교는 1921년 보화교를 거쳐 보천교로 발전하였으며, 고씨 부인의 태을교는 보천교의 혁신운동으로 한때 교세가 늘어났으나 1929년 고씨의 양자 姜大容이 전횡으로 침체되었다. 『조선의 유사종교』에 의하면 1934년 태을교의 포교소는 2곳, 교도는 남 48명, 여 12명 합 60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앞서 차경석이 태을교의 교권을 전횡하자 고씨를 추종하던 교인들 중에서 태을교를 이탈하여 새로운 교단을 형성하기도 하였는데 이들 대부분이 태을교의 교명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안내성의 태을교, 박공우의 태을교, 신현철의 태을교가 그들이었다. 안내성은 증산의 24제자 중 한사람으로 고씨가 1914년 태을교를 창립하자 이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차경석이 점차 교권을 독식하고 전횡을 일삼자 태을교를 이탈하여 고향인 여수로 돌아가서 태을교를 창립하고 순천과 무안 등지에서 포교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1925년 김제군 금산면 逍道里 白雲洞으로 본부를 옮기고 교명을 甑山大道敎라 고쳤다.
박공우 역시 증산의 24제자 중 한사람으로 증산의 사후 고창군 흥덕면을 중심으로 포교를 하였으나 크게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1916년 교명을 태을교라 하고 본부를 태인으로 이전한 후부터는 상당한 교세를 형성하였다. 1928년에 김제군 금산면 원평으로 본부를 다시 옮겨 포교를 하다가 사망하였다. 이후 宋宗守가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신현철은 원래 차경석의 보천교 간부였으나 敎金盜得事件으로 차경석과 알력이 생기자 金英斗와 공모하는 한편 張弓挽과 연락하여 서울에 太乙敎本部라는 간판을 내걸었다. 신현철은 차경석의 보천교를 박멸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크게 성장하지 못하고 교세부진으로 간판을 내리게 되었다. 이외에도 김형렬의 미륵불교도 태을교라 불렸는데 그는 고씨가 태을교를 창립하자 초기에 고씨를 추종하였기 때문이다. 김형렬 역시 증산의 24제자의 한사람으로 고씨가 태을교를 창립하자 초기에는 여기에 동참하였다. 그러나 차경석이 점차 교권을 독차지하고 전횡함에 따라 내왕을 끊은 후 모악산 금강대에서 증산의 영통을 받았다고 주장하면서 포교를 시작하였으며 1922년 미륵불교를 창립하고 금산사에 본부를 두었다.
그 외 증산을 교조로 하고 태을교에서 분립된 증산계 교단은 태을교의 교권을 전횡하고 1921년 보화교를 선포하였다가 이듬해 1922년 보천교로 교명을 바꾼 보천교를 비롯하여 趙哲濟의 無極大道, 許昱의 三德敎, 蔡慶大의 人道敎, 李祥昊의 東華敎, 金煥玉의 無極大道, 徐白一의 彌勒佛敎, 鄭寅杓의 彌勒佛敎, 姜承泰의 無極大道敎, 余處子의 仙道敎 등이 있다. 이중 보천교가 증산계 교단을 대표하여 한 때 1백만 교도의 교세를 형성하였으나 1936년 조선총독부의 유사종교 해산령에 의해 해체되었다. 이후 증산계 교단은 공식적으로는 대부분 해체되었으며 비밀포교활동으로 해방까지 명맥을 유지하였다.
참고문헌
김명섭 : 흑도회의 결성과 활동(1921년-1922년), 단국대학교사학회, 1998
김명섭 : 흑우회의 활동과 이념, 1922년-1927년, 한국역사연구회, 1999
김인덕 외 2명 : 1920년대 이후 일본·동남아지역 민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성주현 : 1920년대 초 태을교인의 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1
정혜경 : 대판 한인단체의 성격(1914년-1922년), 한일관계사학회, 1995
최규진 : 코민테른의 기억과 현실 정치, 경상대학교사회과학연구원, 2010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