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유산균 개념][유산균 종류][유산균 역사][유산균과 장수][유산균과 콜레스테롤][장수][콜레스테롤]유산균의 개념, 유산균의 종류, 유산균의 역사, 유산균과 장수, 유산균과 콜레스테롤 분석(유산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산균][유산균 개념][유산균 종류][유산균 역사][유산균과 장수][유산균과 콜레스테롤][장수][콜레스테롤]유산균의 개념, 유산균의 종류, 유산균의 역사, 유산균과 장수, 유산균과 콜레스테롤 분석(유산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유산균의 개념
1. 락토바실루스속
2. 스트렙토코쿠스속
3. 페디오코쿠스속
4. 류코노스톡속

Ⅲ. 유산균의 종류
1. 락토바실러스
2. 불가리커스
3. 야쿠르트균
4. 애시도필러스 균
5. 스트렙토코커스
6. 써머필러스 균
7. 비피도박테리아
8. 비피더스균
9. 류코노스톡
10. 페디오코커스
11. 락토코커스

Ⅳ. 유산균의 역사

Ⅴ. 유산균과 장수

Ⅵ. 유산균과 콜레스테롤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맥경화증을 두려워하는 성인남녀에게 큰 관심이 되고 있다. 혈중 cholesterol을 낮추기 위해서는 체내 cholesterol생합성의 억제, 혈중 cholesterol을 저하시키는 식품의 섭취 및 식이 cholesterol섭취의 감소 등의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혈중 cholesterol을 저하시키는 식품에 관한 연구의 대상으로 최근에 발효유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Ⅴ. 유산균과 장수
19세기 초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소련 과학자 E. Metchnikoff가 주장한 \"유산균이 인체의 장내에 존재하는 독소생성 세균들을 억제하기 때문에 요구르트를 많이 섭취하는 불가리아 지방 사람이 장수한다.\"는 장수설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왔고, 인류의 건강을 위한 유산균 혹은 발효유의 역할이 어떠한 것인지 밝히고자 하는 수많은 연구가 100여 년 이상 이루어져 왔다.
인간이 성장함에 따라 장내 균종의 변화를 연구한 결과 유년기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는 장내용물 1g당 100억 마리 이상의 유익균인 Bifidobacterium과 부패균의 하나인 Clostridium은 약 100만 마리 정도가 존재하는 반면 노년층에 접어들면 유익균인 Bifidobacterium이 1,000만 마리 정도로 줄어드는 반면에 유해균인 Clostridium은 1,000만 마리 정도로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서 일본 동경대학 Mitsuoka교수는 Bifidobacterium을 장내에서 증가시키고 Colstridium을 낮추어 그 수를 줄이면 각종 질병을 예방 할 수 있어 인간이 더 오래 살수 있다는 새로운 건강 장수설을 제안했다.
Ⅵ. 유산균과 콜레스테롤
현대인의 가장 중요한 성인병인 동맥경화증은 혈중의 LDL-cholesterol의 함량을 저하시킴으로써 치료효과가 있다고 인정되고 있으며 선발된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만든 발효유가 혈중 cholesterol함량을 줄일 수 있다고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혈중 cholesterol을 저하시키는 효능은 모든 유산균의 일반적인 성질이 아니며 담즙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선발된 유산균에 의해서 그 효과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발효유의 혈중 cholesterol 저하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연구자들도 있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사람과 실험동물에서 매일 상당량(100~200g)의 요구르트를 섭취하게 함으로써 고 cholesterol식사로 높아진 혈중 cholesterol함량을 10~20% 감소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선발된 유산균은 bile salt hydrolase를 분비함으로써 소장으로 분비되는 담즙산을 deconjugation시켜서 glycogen이나 taurine이 분리된 유리 bile acids로 전환시키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유리된 bile acids가 conjugated bile acids보다 재흡수력이 떨어짐으로써 재흡수되는 cholesterol량이 적어지고 따라서 간의 cholesterol 수요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cholesterol함량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더 많은 연구와 검증에 의해 확인되어야 된다.
참고문헌
* 문홍석(2001), 유산균의 산업적 이용과 발전방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정대균(1994),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한 유산균개발, 한국생명과학회
* 전화진(1978), 건강장수 와 유산균, 매일유업
* 한남수 외 2명(2010), 유산균 대사공학 기술의 개발 현황, 한국생물공학회
* Hong-Sup Yoon(2011), 유산균의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동맥경화 효과에 관한 연구, 한동대학교
* So Hee Park 외 7명(2007), 유산균의 항균효과와 대식세포 활성화, 환경독성보건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