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D][항산화효소][SOD(항산화효소) 개념][SOD(항산화효소) 기능][주사][SOD(항산화효소) 진실]SOD(항산화효소)의 개념, SOD(항산화효소)의 기능, SOD(항산화효소)와 주사, SOD(항산화효소)의 진실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OD][항산화효소][SOD(항산화효소) 개념][SOD(항산화효소) 기능][주사][SOD(항산화효소) 진실]SOD(항산화효소)의 개념, SOD(항산화효소)의 기능, SOD(항산화효소)와 주사, SOD(항산화효소)의 진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SOD(항산화효소)의 개념

Ⅲ. SOD(항산화효소)의 기능

Ⅳ. SOD(항산화효소)와 주사

Ⅴ. SOD(항산화효소)의 진실
1. 병 때문에 SOD수치가 저하되는 것은 아니다
2. SOD주사와 저분자 항산화제의 내복은 체내의 SOD와 항산화제의 발생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3. 시험관 속의 SOD수치나 항산화활성치가 높은 것이 좋은 식품, 좋은 약재라고는 할 수 없다
4. 야채수프와 클로렐라
5. 발효균, EM균에 SOD작용, 항산화작용은 당연하다
6. 정어리와 상어의 엑기스를 먹어라는 말은 넌센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력저하가 심해 감염증을 되풀이하는 환자가 마시면 좋은 건강식품이 되는 것이다.
5. 발효균, EM균에 SOD작용, 항산화작용은 당연하다
흔히 곡자 균(누룩곰팡이)이 활성산소를 저하시키는 항산화작용이 있음을 시험관 실험으로 증명, 보고하고 있는 논문을 보게 된다. 또 최근 토양 정화능력으로 주목받아온 EM균에 항산화작용이 있다고 해서 토양정화에 사용하는 것뿐 아니라 사람들이 내복하는 풍조가 보인다.
지금까지 보았듯이 천연의 식물종자는 자외선이 발생되는 활성산소에 저항하면서 생존하기 위해 대량의 고분자와 저분자의 항산화제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곡자균,EM균 등의 발효균은 여러 가지 악조건 속에서도 교묘하게 자신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처럼 활성산소가 많은 조건 속에서라든가 무산소 상태 등의 환경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고분자저분자의 항산화물질이 대량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천연의 식물종자와 같은 설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의 식물종자와 마찬가지로 시험관 속에서 강력한 활성산소 제거능력이 증명되었다 하더라도 주사를 맞거나 내복한다고 해서 효험이 있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최근 들어 활성산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과잉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 많이 밝혀지게 되었다. 때문에 “이 상품은 시험관 속에서 활성산소를 제거시키므로 병의 치유효과가 100퍼센트이다.”라는 선전문구로 판매되고 있는 건강식품이나 의약품이 범람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실제로 대량 마시거나 내복하더라도 효과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6. 정어리와 상어의 엑기스를 먹어라는 말은 넌센스
한 때 화장품으로서 스쿠알렌이나 상어 기름이 일부 소비자에게 애용된 것으로 알고 있다. 또 외용뿐 아니라 일부 신문이나 텔레비전에서 불포화지방산을 대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정어리가 건강에 좋으니 많이 먹으라는 선전을 하고 있는가 하면 상어기름이 값비싼 ‘건강식품’으로 판매되고 있고, 심지어는 좋지 않은 과산화지질의 원료로서 쓰는 불포화지방산인 DHA(식품첨가물의 하나, 부패균 등에 대해 항균력이 있음. 버터, 치즈, 된장, 청량음료수 등에 방부제로 첨가되는데 다량 사용은 해롭다. 피부기계충 치료에는 사용된다)가 ‘건강식품’으로 등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진우 외 2명(2010), 비만인과 정상인간 일회성 점증부하 훈련이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박진우(2010), 새로운 항산화효소 siRNA에 의한 암세포의 항암제에 대한 민감화, 경북대학교
양춘호(2000), 스트레스와 습관적 운동이 면역기능 및 항산화 효소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이은숙 외 2명(2002), 항산화효소 Ascorbate Peroxidase Gene의 형질전환, 대한본초학회
이기홍(2005), 활동성 회복과 완전회복에 따른 항산화 효소의 변화, 한국스포츠리서치
정화진 외 3명(2006), 항산화효소의 암 예방 효과 및 발암 억제 기전,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