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향가 개념][향가 범주][향가 특징][향가 명칭][향가 작가층][향가 주요작품][서동요][처용가][헌화가][모죽지랑가]향가의 개념, 향가의 범주, 향가의 특징, 향가의 명칭, 향가의 작가층, 향가 주요작품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향가 개념][향가 범주][향가 특징][향가 명칭][향가 작가층][향가 주요작품][서동요][처용가][헌화가][모죽지랑가]향가의 개념, 향가의 범주, 향가의 특징, 향가의 명칭, 향가의 작가층, 향가 주요작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향가의 개념
1. 좁은 의미
2. 넓은 의미

Ⅲ. 향가의 범주

Ⅳ. 향가의 특징

Ⅴ. 향가의 명칭

Ⅵ. 향가의 작가층

Ⅶ. 향가의 주요작품
1. 서동요(백제무왕)
2. 풍요
3. 헌화가
4. 도솔가(월명사)
5. 모죽지랑가
6. 처용가
7. 제망매가(월명사)
8. 찬기파랑가(충담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안에서만 통용되는 고정적 인 학술용어로 굳어져 있다. 즉, 향가는 향찰이라는 특수문자로 표기된 신라시대의 노래만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한국시가문학의 여명기를 장식하고 있는 이 향가는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 도합 25수가 전해 오고 있다.
Ⅵ. 향가의 작가층
작자층은 왕, 장안 사녀(士女), 노인, 부녀자, 화랑, 승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화랑은 신체단련뿐만 아니라 예능도 중요한 덕목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들의 정신적종교적 지도자로 승려들이 있었다. 따라서 화랑과 승려는 향가의 주 작가층이었다. 작가가 화랑이자 승려인 경우도 드물지 않은데, 〈혜성가〉를 지은 융천사(融天師)는 화랑의 지도자였던 승려이다. 〈도솔가〉〈제망매가 祭亡妹歌〉를 지은 월명사(月明師)는 피리를 잘 분 예능인이며 국선(國仙)에 속하는 승려이다. 〈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를 지은 충담사(忠談師)도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하여, 화랑도와 무관하지 않은 승려로 보인다. 승려 중에서 균여대사만 당대에 이름난 고승이고 나머지는 〈삼국유사〉 이외의 문헌에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 작가의 작명법(作名法)에서 특징적인 점은 대부분 그 배경설화와 연관되어 이름이 붙여져 있다는 것이다. 하늘의 변괴를 없앴다 하여 융천사, 피리를 잘 불어 지나가던 달도 멈추었다 하여 월명사, 임금께 치국안민(治國安民)의 도를 말했다 하여 충담사, 눈을 뜨게 해달라는 기도의 노래를 지었다 하여 희명(希明), 도적들도 익히 그 명성을 알고 있을 정도로 향가를 잘 지었다 하여 영재(永才), 임금과 자신 간의 신의 및 임금에 대한 연모의 정을 노래했다 하여 신충(信忠) 등과 같이 이름에 설화의 내용이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향가 작가의 상당수는 실존인물이 아니라 설화상의 가공인물일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들이 실존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이름이 별로 알려진 인물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설화와 어울려 구전되는 과정에서 본명이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Ⅶ. 향가의 주요작품
1. 서동요(백제무왕)
서동이 선화공주를 사모하여 아내로 맡기 위해 아이들에게 부르게 한 동요
2. 풍요
노동요
3. 헌화가
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수로부인에게 꽃을 꺾어 바치며 불렀다는 노래. 민요
4. 도솔가(월명사)
산화공덕의 노래. 일명 산화가
5. 모죽지랑가
죽지랑을 사모하여 부른 만가. 추모가
6. 처용가
아내를 침범하는 역신에게 관용을 베풀어 역신을 감복시키는 주술적인 노래. 축신가
7. 제망매가(월명사)
죽은 누이를 추모하여 재를 올리어 부른 노래. 향가의 백미. 비유법이 뛰어남
8. 찬기파랑가(충담사)
기파랑을 찬양하여 부른 노래. 추모시.
참고문헌
○ 강길운(1995), 향가신해독연구, 학문사
○ 김혜은(2010), 향가와 한시의 장르적 상보 관계 고찰, 열상고전연구회
○ 박노준(1991), 향가, 열화당
○ 박용식(2009), 향가의 구비문학성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배달말학회
○ 임기중 외(1998), 새로 읽는 향가 문학, 아세아문화사
○ 양희철(1997),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