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의 모델 케이스
2. 간음하지 말지니라
3. 큰 골짜기
4. 페르시아의 밤
5. 하나님의 바람을 타고서
6. 들을 귀 있는 자는 …
7.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하여
8. 누가 상관하랴?
9. 죽음으로부터 돌 던질 만한 거리에 있던 여인
10. 하나님 앞에 온전하게 서는 길
11. 인생이 당신을 신 레몬처럼 대할 때, 레몬으로부터 레몬주스를 만들라
12. 인간의 도시를 위한 탄식
2. 간음하지 말지니라
3. 큰 골짜기
4. 페르시아의 밤
5. 하나님의 바람을 타고서
6. 들을 귀 있는 자는 …
7.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하여
8. 누가 상관하랴?
9. 죽음으로부터 돌 던질 만한 거리에 있던 여인
10. 하나님 앞에 온전하게 서는 길
11. 인생이 당신을 신 레몬처럼 대할 때, 레몬으로부터 레몬주스를 만들라
12. 인간의 도시를 위한 탄식
본문내용
1. 시험의 모델 케이스
설교
죄와 죄의 파괴적인 힘
- 시험의 모델 케이스 (창 3장)
- 하와에게 시험하는 자가 자신을 가장 (변장)하고 접근한다.
- 뱀으로 접근하였으나 하와가 위험을 느끼지 않은 것으로 보아, 지금처럼 흉측한 모습은 아니었다.
- 사탄은 이처럼 슬며시 우리의 삶으로 들어온다. (다정한 친구?!)
- 사탄은 그의 모습을 가장할 뿐 아니라 그의 목적을 가장한다.
-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더러 동산 모든 나무의 실과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창3:1) : 아무도 반박하지 못하는 질문, 신학을 논하면서도 하나님을 불순종할 수 있다.
- 사탄이 하나님에 관한 하와와의 논쟁의 대화에서 노리고 있는 다른 한 가지는, 하와의 시선을 동산 중앙에 있는 한 나무에 주목하도록 한 것이다.
- 사탄은 우리의 초점을 바꾸고, 우리가 원하는 것에 눈을 돌리게 한다.
사탄은 하나님의 말씀을 공격한다
- 하나님은 죄에 대해 진지하시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우리에 대해 진지하시기 때문이다.
- 사탄은 하나님의 말씀을 공격할 뿐 아니라 하나님의 인격에 대해 공격한다.
- 우물에 독을 뿌리면 모든 물이 오염되듯이, 하나님의 말씀을 의심하면 하나님의 선하심을 의심하게 되고, 결국 사탄은 자기 계획을 달성한 셈이 된다.
열매 한 조각 때문에 인류를 파멸로 몰아 넣은 것이 아니다. 문제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불순종이며, 하나님의 인격에 대한 그 추한 의심 때문이다.
- 사탄이 우리에게 접근 할 때 그는 결코 우리를 꽁꽁 묶을 사슬을 끌고 다가오지 않는다. 쾌락과 상쾌함과 돈과 인기, 자유와 기쁨을 제공하며 다가온다.
- 기독교는 우리를 사랑하셔서 독생자를 주시기까지 하신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설교
죄와 죄의 파괴적인 힘
- 시험의 모델 케이스 (창 3장)
- 하와에게 시험하는 자가 자신을 가장 (변장)하고 접근한다.
- 뱀으로 접근하였으나 하와가 위험을 느끼지 않은 것으로 보아, 지금처럼 흉측한 모습은 아니었다.
- 사탄은 이처럼 슬며시 우리의 삶으로 들어온다. (다정한 친구?!)
- 사탄은 그의 모습을 가장할 뿐 아니라 그의 목적을 가장한다.
-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더러 동산 모든 나무의 실과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창3:1) : 아무도 반박하지 못하는 질문, 신학을 논하면서도 하나님을 불순종할 수 있다.
- 사탄이 하나님에 관한 하와와의 논쟁의 대화에서 노리고 있는 다른 한 가지는, 하와의 시선을 동산 중앙에 있는 한 나무에 주목하도록 한 것이다.
- 사탄은 우리의 초점을 바꾸고, 우리가 원하는 것에 눈을 돌리게 한다.
사탄은 하나님의 말씀을 공격한다
- 하나님은 죄에 대해 진지하시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우리에 대해 진지하시기 때문이다.
- 사탄은 하나님의 말씀을 공격할 뿐 아니라 하나님의 인격에 대해 공격한다.
- 우물에 독을 뿌리면 모든 물이 오염되듯이, 하나님의 말씀을 의심하면 하나님의 선하심을 의심하게 되고, 결국 사탄은 자기 계획을 달성한 셈이 된다.
열매 한 조각 때문에 인류를 파멸로 몰아 넣은 것이 아니다. 문제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불순종이며, 하나님의 인격에 대한 그 추한 의심 때문이다.
- 사탄이 우리에게 접근 할 때 그는 결코 우리를 꽁꽁 묶을 사슬을 끌고 다가오지 않는다. 쾌락과 상쾌함과 돈과 인기, 자유와 기쁨을 제공하며 다가온다.
- 기독교는 우리를 사랑하셔서 독생자를 주시기까지 하신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구약신학] 레위기 1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선민 이스라엘의 법도와 사회 ...
[구약신학] 레위기 2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사형에 해당되는 여러 범죄들
[구약신학] 레위기 2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의 정결 규례 및 그 자격
[구약신학] 레위기 2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물에 관한 정결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2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회로 지킬 여호와의 절기들
[구약신학] 레위기 2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물 관리 및 신성 모독자 처형
[구약신학] 레위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순종의 축복과 불순종의 저주
[구약신학] 레위기 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 취임식
[구약신학] 레위기 1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
[구약신학] 레위기 1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
[구약신학] 레위기 1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 진단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자의 정결 예식
[구약신학] 레위기 1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유출병 규례와 그 정결법
[구약신학] 레위기 1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대속죄일 규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