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영낭자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숙영낭자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는 말
2)숙영낭자전의 줄거리
3)염정소설
4)효와 남․여
5)판소리계 소설 숙영낭자전
6)숙영낭자전 분석
7)나오는 말

본문내용

온 <이생규장전>을 제외하고는 모두 조선후기에 나왔던 것으로 보이며 시대의식 역시 조선후기의 것이라고 해도 좋다.
효와 애정의 대립을 구조의 핵심으로 하고 있는 <숙영낭자전>은 그러한 구조에 관한 한 조선조 소설 가운데서도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효와 애정의 대립은 조선 초기부터 작품구조의 일부분으로서나마 이미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여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그런 현상이 상당히 보편화 되었고, 마침내 작품의 기본구조로 확대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숙영낭자전>은 효와 애정의 대립의 기반이 되는 친자간의 갈등이 가장 날카롭고 격렬하며, 따라서 효와 애정의 대립이 보여주는 문제의식도 가장 뚜렷하다.
7. 나오는 말
지금까지 고전소설, 판소리계 소설, 국문소설, 염정소설의 성격을 두루 갖추고 있는 <숙영낭자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대는 미상이지만 조선사 소설로 추정되고 있고 그 시대에 유교적 도덕관념인 효를 비판하고 애정을 중시했다는 점이 가장 인상깊이 생각 되었다. 그래서 이 소설은 그 당시 효를 중시하는 사상과는 달리 애정 중심의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문학에서 시도하기 힘든, 사회상의 비평과 새로운 가치관의 창출은 숙영낭자전에서 가장 뛰어난 부분인 것 같다. 우리는 이번 작품을 통해서 무조건적인 유교사상의 고집이 아닌 다른 새로운 가치관을 세우려는 노력이 작게나마 있었다는 것을 알았고 숙영낭자나 박씨전 등 여성중심의 소설을 통해서 남성우월이 아닌 여성중심의, 그것도 여성의 공을 알아주는 소설이 이 시대에 많이 쓰였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발표문을 수정하면서 내가 어떤 방향으로 가야할지 잘 모르고 무작정 발표를 해야 한다는 일념 하나로 달려온 게 아닌가 싶다. 내가 아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을 모르고 무조건 잘하고 싶은 마음뿐이었다. 그렇지만 이제는 조금 더 보태고 조금 덜어내더라도 내가 아는 범위 내에서 확실한 발표를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그리고 수정하면서 빼야 할 부분이 판소리계 소설 숙영낭자전에 대한 내용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빼지 않은 이유는 우리에게 판소리계 소설로 알려져 있고, 그 소설 안에 판소리계 소설의 성격이 드러나지 않는데도 그러한 호칭으로 불려진다면 그 이유를 알아야 할 것 이라고 생각했다. 그럼 이로써 숙영낭자전에 대한 발표를 마치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 김일렬. 『숙영낭자전 연구』. 도서출판 역락. 1999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0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