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작품 속 파고들기
2.1. 유기적 관계를 이루는 끈
2.2. 초현실적인 천상계(하늘)의 설정
2.3. 효의 격하와 애정의 승화
2.4. 중세적 가치관의 탈피와 가부장적 권위의 약화
2.5. 여성의 수난과 그 극복의 의지
3. 더 나아가기
4. 나오는 말
2. 작품 속 파고들기
2.1. 유기적 관계를 이루는 끈
2.2. 초현실적인 천상계(하늘)의 설정
2.3. 효의 격하와 애정의 승화
2.4. 중세적 가치관의 탈피와 가부장적 권위의 약화
2.5. 여성의 수난과 그 극복의 의지
3. 더 나아가기
4. 나오는 말
본문내용
벌로 숙영이 죽음에 이른 것은 ‘우렁이 색시’ 이야기를 연상케 한다. 또, 선군이 숙영의 원한을 풀어 주는 장면에서 파랑새가 나타나 범인을 알려 주는 것은 밀양 지방의 ‘아랑각 전설’과 유사한 구성이다.
-꿈의 역할은 무엇일까?
<구운몽> 같은 소설을 보면 현실적인 소망이 꿈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만족감을 체험하게 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꿈은 현실적 소망이 실현되는 세계가 아니라, 옥황상제의 뜻을 현실 세계에 전해주는 복선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선군은 꿈을 통해 자신의 배필을 알게 되었으며, 또 숙영이 억울하게 죽은 이유나 숙영의 부활과 그 이후의 삶을 미리 알게 된다. 그러므로 꿈은 초현실적 세계와 현실적 세계 사이의 가교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숙영의 재생은 어떤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일반적으로 재상은 통과의례를 거쳐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나는 것을 상징한다.
이 작품에서 숙영의 죽음도 마찬가지이다. 숙영이 누명을 쓰고 죽게 된 것은 옥황상제가 정한 금기를 어기고 혼인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숙영은 옥황상제의 관용으로 세상으로 재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숙영의 죽음은 옥황상제에게 지은 죄를 용서받는 절차요, 비극적 사랑을 축복 받는 사랑으로 승화 시키는 계기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
5. 나오는 말
엄격하고 관념적인 유교적 애정관에서 보다 본질적이고 자유로운 애정관이 차츰 드러나게 되었는데 이러한 소설이 폐쇄적이고 왜곡된 통제 사회를 보다 자유롭게 개방하는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시대를 막론하고 사랑이라는 소재는 이처럼 힘이 있다. 인간의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감정이기 때문이다. 현실의 장벽에 해당하는 허위적인 애정관념보다는 자신들의 애정과 믿음에 바탕한 자기 주도적이면서 현실적인 것을 추구하는 애정관에서 어떤 통쾌함도 느낄 수 있었다. 답답하게 묵은 때를 조금은 벗은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이 사랑은 기존의 사랑보다 더 나아가긴 했으나 여성은 정절을 지켜야 한다는 희생자적 모습은 아직 반영되어 있다. 수난이라는 것은 단지 여성이 약자라는 데서만 온 것이 아니고, 여성의 희생을 전제로 한 남성 중심의 사회구조와 도덕적 규범이 조선 후기에 와 극점에 이르면서 그것이 여성에게 또 하나의 중세적 질곡으로 작용함으로써 나타난 현상일 것이다.
당시 사회적 가치관이나 행복관의 변화를 가지고는 있었으나 그것이 완전한 것이 아닌 과도기적 성격을 띤다는 어떤 한계점에서 오히려 천상계를 비롯한 죽음과 재생 등의 초현실적인 장치들을 통해 사랑을 부각시키고 정당화 하고자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현실성은 조금 떨어지지만 그러한 초현실적인 장치들을 왜 설정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중세지향적인 가치관과 행복관의 변화가 차츰 보이면서 이 소설은 독자로 하여금 공감대를 얻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기존의 유교적 관습을 모두 덜어 낸 것은 아니나 그러한 시도와 흐름이 반영되어 있고 결국엔 남녀간의 사랑을 부각시키는 요소라는 점에서 당대인들을 흡수하는데 커다란 힘을 발휘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꿈의 역할은 무엇일까?
<구운몽> 같은 소설을 보면 현실적인 소망이 꿈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만족감을 체험하게 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꿈은 현실적 소망이 실현되는 세계가 아니라, 옥황상제의 뜻을 현실 세계에 전해주는 복선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선군은 꿈을 통해 자신의 배필을 알게 되었으며, 또 숙영이 억울하게 죽은 이유나 숙영의 부활과 그 이후의 삶을 미리 알게 된다. 그러므로 꿈은 초현실적 세계와 현실적 세계 사이의 가교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숙영의 재생은 어떤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일반적으로 재상은 통과의례를 거쳐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나는 것을 상징한다.
이 작품에서 숙영의 죽음도 마찬가지이다. 숙영이 누명을 쓰고 죽게 된 것은 옥황상제가 정한 금기를 어기고 혼인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숙영은 옥황상제의 관용으로 세상으로 재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숙영의 죽음은 옥황상제에게 지은 죄를 용서받는 절차요, 비극적 사랑을 축복 받는 사랑으로 승화 시키는 계기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
5. 나오는 말
엄격하고 관념적인 유교적 애정관에서 보다 본질적이고 자유로운 애정관이 차츰 드러나게 되었는데 이러한 소설이 폐쇄적이고 왜곡된 통제 사회를 보다 자유롭게 개방하는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시대를 막론하고 사랑이라는 소재는 이처럼 힘이 있다. 인간의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감정이기 때문이다. 현실의 장벽에 해당하는 허위적인 애정관념보다는 자신들의 애정과 믿음에 바탕한 자기 주도적이면서 현실적인 것을 추구하는 애정관에서 어떤 통쾌함도 느낄 수 있었다. 답답하게 묵은 때를 조금은 벗은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이 사랑은 기존의 사랑보다 더 나아가긴 했으나 여성은 정절을 지켜야 한다는 희생자적 모습은 아직 반영되어 있다. 수난이라는 것은 단지 여성이 약자라는 데서만 온 것이 아니고, 여성의 희생을 전제로 한 남성 중심의 사회구조와 도덕적 규범이 조선 후기에 와 극점에 이르면서 그것이 여성에게 또 하나의 중세적 질곡으로 작용함으로써 나타난 현상일 것이다.
당시 사회적 가치관이나 행복관의 변화를 가지고는 있었으나 그것이 완전한 것이 아닌 과도기적 성격을 띤다는 어떤 한계점에서 오히려 천상계를 비롯한 죽음과 재생 등의 초현실적인 장치들을 통해 사랑을 부각시키고 정당화 하고자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현실성은 조금 떨어지지만 그러한 초현실적인 장치들을 왜 설정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중세지향적인 가치관과 행복관의 변화가 차츰 보이면서 이 소설은 독자로 하여금 공감대를 얻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기존의 유교적 관습을 모두 덜어 낸 것은 아니나 그러한 시도와 흐름이 반영되어 있고 결국엔 남녀간의 사랑을 부각시키는 요소라는 점에서 당대인들을 흡수하는데 커다란 힘을 발휘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