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유괴의 정의
Ⅱ. 유아 대상 유괴 범죄의 유형과 사례
1) 유괴 발생 현황
2) 유괴의 유형
3) 범행의 계획성
4) 감금장소의 종류
5) 범죄자의 성별 범죄유형
6) 유인방법
7) 사례
Ⅲ. 유괴 발생 예방
1) 사전에 해 두어야 할 것
2) 부모나 교사가 알아야 할 수칙
3) 아동에게 알려주어야 할 안전교육 내용
Ⅳ. 유괴 발생 시 대처방법
1) 장소별 대처방법
2) 신고요령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Ⅱ. 유아 대상 유괴 범죄의 유형과 사례
1) 유괴 발생 현황
2) 유괴의 유형
3) 범행의 계획성
4) 감금장소의 종류
5) 범죄자의 성별 범죄유형
6) 유인방법
7) 사례
Ⅲ. 유괴 발생 예방
1) 사전에 해 두어야 할 것
2) 부모나 교사가 알아야 할 수칙
3) 아동에게 알려주어야 할 안전교육 내용
Ⅳ. 유괴 발생 시 대처방법
1) 장소별 대처방법
2) 신고요령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어떤 버튼이든 3초 동안만 누르고 있으면 바로 911(미국의 긴급구난요청 전화번호)로 연결돼 위급한 상황에 처한 어린이가 쉽게 구조요청을 할 수도 있다. 휴대폰 가운데에 있는 책 버튼을 누르면 부모가 미리 입력해 놓은 다른 전화번호로 손쉽게 전화를 걸 수 있다. 이 유아용 휴대폰은 아이들이 손에 들기에도 가장 알맞은 크기다. 무게는 64g으로 아이의 안전과 상관없는 기능을 모두 없애 매우 가볍다. 연속통화시간은 6시간이며, 아이들이 잃어버리지 않도록 가방 따위에 고정해놓을 수 있는 분실방지 고리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얼마 전까지 벨웨이브의 BCL-862S라는 제품이 SK에서 판매되었다고 한다. 이 제품은 6-9세 어린이를 위한 제품으로 4개의 단충 다이얼을 두고 있어 위급 시 아이가 손쉽게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안심구역 설정 기능(반경 300-600m)이 있어 어린이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단종되었다고 한다.
핸드폰에 꼭 저장해야 할 비상 전화번호부
▶ 아이와 친한 친구의 집 전화번호와 친구 부모의 핸드폰 번호
▶ 어린이집· 유치원 연락처와 담임교사 핸드폰 번호
▶ 아파트 관리사무소 번호
▶ 근처 파출소와 경찰서 연락처
▶ 경찰청 미아찾아주기센터 연락처 (국번 없이 182)
▶ 한국복지재단 미아찾아주기센터 (02-777-0182)
▶ 자주 가는 마트·백화점 인포메이션 연락처
4. 유괴 발생 시 대처방법
① 집 주변부터 뒤진다.
우선 아이가 집에 들어오지 않으면 소란을 피우기 전 아이의 평소 행동패턴을 부모님이 잘 판단해서 단순히 놀다가 집에 늦게 들어오는 것인지, 아니면 납치 실종사건인지 빠 르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은 장롱, 침대 밑, 커튼 뒤에 숨는 것을 좋아하고 숨어 있다가 잠드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집 안에 아이가 있는지 주변부터 구석구 석 뒤져본다.
② 평소 아이가 자주 가던 곳을 찾는다.
침착하게 아이가 가 있을 만한 곳을 찾아보거나 연락을 돌린 후 혹시 나중에라도 아이가 발견되 면 연락해달라고 연락처를 남긴다. 아이가 다녀오겠다고 했던 곳이나 평소에 자주 놀던 곳을 찾 아 다니면서 이웃 사람들에게 아이를 본 적이 있는지 물어본다.
③ 경찰청 실종아동찾기센터(국번 없이 182 번)에 신고한다.
그리고나서 납치 실종사건이라고 생각된다면 최소 6시간 최대 12시간 이내에 앰버경고 를 발령하여 아이를 전국적으로 찾는 것이 중요하다. 혹시나 아이의 얼굴을 공개하여 위험해 질 것이라는 생각은 어불성설이다. 만약 아이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비공개로 수사한다면 아이는 24시간 안에 살해될 확률이 75%, 72시간 안에 살해될 확률이 99%라 고 전문가들은 전한다. 아이의 얼굴을 공개하고 찾아야 아이를 본 사람들의 증언을 얻 을 수도 있고 앰버경고 때문에 전국에 아이의 얼굴이 공개되어 범인 또한 겁을 먹고 아 이를 버리고 도망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이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비공개 수사를 원치 않는 것이 좋다. 경찰이 나선 유괴사건의 경우 범인 검거율이 98~99%에 이르므 로, 유괴범의 협박 전화가 있더라도 바로 경찰에 신고한다. 아이가 외출을 나가기 전 어떤 옷을 입고 누구와 놀러 나갔는지 등 아이에 관한 모든 것을 경찰에 알려주고 최근에 찍은 사진을 준 다.
③ 전화기 옆에 항상 대기한다.
유괴범에게 전화가 올 것을 대비해 메모지와 펜 을 준비하고 전화기 옆에 항상 대기해 전화를 기 다린다. 그리고 아이가 스스로 찾아오거나 경찰서 등에서 연락이 올 것을 대비해 집에서 한 사람 은 꼭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전화가 오면 아이의 목소리부터 확인한 후 충격을 받지 않게 달래 준다.
신고전화
▶ 유괴 및 납치 신고 : 112
▶ 실종아동신고 : 182(←아이(1)빨리(82))
5. 결론
요즘, 우리 주변에는 어린이 유괴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유괴는 아주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돈을 목적으로 하는 유괴는 아이가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크지만, 성추행을 목적으로 하는 유괴는 대부분의 아이가 살해된다. 최근에 발생한 예슬,혜진이는 유괴당하고 성폭행 당한 뒤 토막 난 시체로 버려진 끔찍한 사건이다. 우리 아이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선 가정, 국가, 지역사회, 기관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모든 문제가 그렇듯이 발생 후 치료는 많은 시간과 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모든 문제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 유괴라는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들에게 안전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위의 서술과 같은 교육과 끊임없는 반복학습으로 아이들에게 정확한 상황판단과 행동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영 유아들은 부모가 아이들의 등,하원을 책임지고, 기관에서도 아이들의 안전을 최대한 생각하며 행동을 해야 한다. 어린이유괴범죄를 막기 위해선, 국가적인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또한 교사나 부모나 속해있는 지역사회 모두가 유괴를 막기 위해서 힘써야 하며, 안전교육도 반드시 철저히 해야 한다.
이런, 크고 작은 노력들이 우리 아이들을 안전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6.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김일옥이정은 공저(2007), 아동안전관리, 양서원
▶최기은(2004) 유괴예방을 위한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연구
▶어린이 유괴범죄에 관한 연구(1996),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최기은(2004), 유괴예방을 위한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사이버 경찰청 www.police.go.kr
▶경찰청 실종아동 찾기 센터 www.182.go.kr
▶스카이 사용자카페 http://cafe.naver.com/tmzkdltkdydwk/1
▶소방방재청 www.nema.go.kr
▶베스트베이비 www.ibestbaby.co.kr
▶실종유괴예방 워크북 www.missingchild.or.kr
▶네이버 카페(종이군대) http://cafe.naver.com/frg
▶추적 60분 http://www.kbs.co.kr/2tv/sisa/chu60/
▶다양한 네이버 블로그
우리나라에도 얼마 전까지 벨웨이브의 BCL-862S라는 제품이 SK에서 판매되었다고 한다. 이 제품은 6-9세 어린이를 위한 제품으로 4개의 단충 다이얼을 두고 있어 위급 시 아이가 손쉽게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안심구역 설정 기능(반경 300-600m)이 있어 어린이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단종되었다고 한다.
핸드폰에 꼭 저장해야 할 비상 전화번호부
▶ 아이와 친한 친구의 집 전화번호와 친구 부모의 핸드폰 번호
▶ 어린이집· 유치원 연락처와 담임교사 핸드폰 번호
▶ 아파트 관리사무소 번호
▶ 근처 파출소와 경찰서 연락처
▶ 경찰청 미아찾아주기센터 연락처 (국번 없이 182)
▶ 한국복지재단 미아찾아주기센터 (02-777-0182)
▶ 자주 가는 마트·백화점 인포메이션 연락처
4. 유괴 발생 시 대처방법
① 집 주변부터 뒤진다.
우선 아이가 집에 들어오지 않으면 소란을 피우기 전 아이의 평소 행동패턴을 부모님이 잘 판단해서 단순히 놀다가 집에 늦게 들어오는 것인지, 아니면 납치 실종사건인지 빠 르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은 장롱, 침대 밑, 커튼 뒤에 숨는 것을 좋아하고 숨어 있다가 잠드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집 안에 아이가 있는지 주변부터 구석구 석 뒤져본다.
② 평소 아이가 자주 가던 곳을 찾는다.
침착하게 아이가 가 있을 만한 곳을 찾아보거나 연락을 돌린 후 혹시 나중에라도 아이가 발견되 면 연락해달라고 연락처를 남긴다. 아이가 다녀오겠다고 했던 곳이나 평소에 자주 놀던 곳을 찾 아 다니면서 이웃 사람들에게 아이를 본 적이 있는지 물어본다.
③ 경찰청 실종아동찾기센터(국번 없이 182 번)에 신고한다.
그리고나서 납치 실종사건이라고 생각된다면 최소 6시간 최대 12시간 이내에 앰버경고 를 발령하여 아이를 전국적으로 찾는 것이 중요하다. 혹시나 아이의 얼굴을 공개하여 위험해 질 것이라는 생각은 어불성설이다. 만약 아이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비공개로 수사한다면 아이는 24시간 안에 살해될 확률이 75%, 72시간 안에 살해될 확률이 99%라 고 전문가들은 전한다. 아이의 얼굴을 공개하고 찾아야 아이를 본 사람들의 증언을 얻 을 수도 있고 앰버경고 때문에 전국에 아이의 얼굴이 공개되어 범인 또한 겁을 먹고 아 이를 버리고 도망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이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비공개 수사를 원치 않는 것이 좋다. 경찰이 나선 유괴사건의 경우 범인 검거율이 98~99%에 이르므 로, 유괴범의 협박 전화가 있더라도 바로 경찰에 신고한다. 아이가 외출을 나가기 전 어떤 옷을 입고 누구와 놀러 나갔는지 등 아이에 관한 모든 것을 경찰에 알려주고 최근에 찍은 사진을 준 다.
③ 전화기 옆에 항상 대기한다.
유괴범에게 전화가 올 것을 대비해 메모지와 펜 을 준비하고 전화기 옆에 항상 대기해 전화를 기 다린다. 그리고 아이가 스스로 찾아오거나 경찰서 등에서 연락이 올 것을 대비해 집에서 한 사람 은 꼭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전화가 오면 아이의 목소리부터 확인한 후 충격을 받지 않게 달래 준다.
신고전화
▶ 유괴 및 납치 신고 : 112
▶ 실종아동신고 : 182(←아이(1)빨리(82))
5. 결론
요즘, 우리 주변에는 어린이 유괴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유괴는 아주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돈을 목적으로 하는 유괴는 아이가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크지만, 성추행을 목적으로 하는 유괴는 대부분의 아이가 살해된다. 최근에 발생한 예슬,혜진이는 유괴당하고 성폭행 당한 뒤 토막 난 시체로 버려진 끔찍한 사건이다. 우리 아이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선 가정, 국가, 지역사회, 기관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모든 문제가 그렇듯이 발생 후 치료는 많은 시간과 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모든 문제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 유괴라는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들에게 안전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위의 서술과 같은 교육과 끊임없는 반복학습으로 아이들에게 정확한 상황판단과 행동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영 유아들은 부모가 아이들의 등,하원을 책임지고, 기관에서도 아이들의 안전을 최대한 생각하며 행동을 해야 한다. 어린이유괴범죄를 막기 위해선, 국가적인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또한 교사나 부모나 속해있는 지역사회 모두가 유괴를 막기 위해서 힘써야 하며, 안전교육도 반드시 철저히 해야 한다.
이런, 크고 작은 노력들이 우리 아이들을 안전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6.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김일옥이정은 공저(2007), 아동안전관리, 양서원
▶최기은(2004) 유괴예방을 위한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연구
▶어린이 유괴범죄에 관한 연구(1996),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최기은(2004), 유괴예방을 위한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사이버 경찰청 www.police.go.kr
▶경찰청 실종아동 찾기 센터 www.182.go.kr
▶스카이 사용자카페 http://cafe.naver.com/tmzkdltkdydwk/1
▶소방방재청 www.nema.go.kr
▶베스트베이비 www.ibestbaby.co.kr
▶실종유괴예방 워크북 www.missingchild.or.kr
▶네이버 카페(종이군대) http://cafe.naver.com/frg
▶추적 60분 http://www.kbs.co.kr/2tv/sisa/chu60/
▶다양한 네이버 블로그
추천자료
기능교과의 구체적인 지도 방법 및 성공 사례
아동학대의 유형과 사례 정책의 법 제도적 문제점 및 접근방법
리더십의 역량과 조직 활성화 간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새로운 리더십을 위한 교육 방법 제시...
[사회복지개혁]사회복지개혁 과제 심층 분석(미시적, 거시적 관점 사회복지, 사회복지 전달체...
초등학교생활지도의 목표, 초등학교생활지도의 기본생활지도와 자세지도, 초등학교생활지도의...
실업계고등학교 선택중심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실제, 실업계고등학교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사례...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발달배경과 개념 및 치료과정(방법), 사례 분석 및 평가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성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성교육의 단계...
현대인의 스트레스, 욕구불만과 갈등에 대한 기본적 이론과 본인의 스트레스, 욕구불만, 갈등...
트라우마에 대해 알아보고 주변의 사례를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시...
[가족복지론] 가정에서의 학대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그러한 사례를 찾아 가정, 사회문...
[생산및운영관리] 윤리경영 - 윤리경영의 개념, 윤리경영이 왜 중요한가, 윤리경영을 제대로 ...
[유아과학교육]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네가지 교수-학습방법을 정리하고 과정적 교수법에 기초...
사회복지정책(社會福祉政策)의 기능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역기능의 사례와 방지할 수 있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