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표준어 사정원칙>
제1장. 총칙
제2장. 발음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2절. 모음
제3절. 준말
제4절. 단수표준어
제5절. 복수표준어
제3장. 어휘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고어
제2절. 한자어
제3절. 방언
제4절. 단수표준어
제5절. 복수 표준어
제1장. 총칙
제2장. 발음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2절. 모음
제3절. 준말
제4절. 단수표준어
제5절. 복수표준어
제3장. 어휘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고어
제2절. 한자어
제3절. 방언
제4절. 단수표준어
제5절. 복수 표준어
본문내용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총론 제2항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1. 제1장 총칙
<표준어 사정 원칙>
총칙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 표준말 → 표준어 : 비표준어와의 대비에서 말결이 맞지 않기 때문에 바뀐 것.
② 중류 사회 → 교양 있는 사람들 : 그 기준이 모호하여 바꾼 것.
표준어는 국민 누구나 공통적으로 쓸 수 있게 마련한 공용어(公用語)이므로,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
③ 현재 → 현대 : 역사의 흐름에서의 구획을 인식
④ 서울말 : 서울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 ‘서울말’로 굳혀진 것.
(가) 그동안 자연스러운 언어 변화에 의해 1933년에 표준어로 규정하였던 형태가 고형(古形)이 된 것.
(나) 그때 미처 사정의 대상이 되지 않아 표준어로서의 자격을 인정 받을 기회가 없었던 것.
(다) 각 사전에서 달리 처리하여 정리가 필요한 것.
(라) 방언, 신조어 등이 세력을 얻어 표준어 자리를 굳혀가던 것.
⑤ 이번 개정의 실제적인 대상은
가) 그동안 자연스러운 언어 변화에 의해 1933년에 표준어로 규정하였던 형태가 고형(古形)이 된 것.
(나) 그때 미처 사정의 대상이 되지 않아 표준어로서의 자격을 인정 받을 기회가 없었던 것.
(다) 각 사전에서 달리 처리하여 정리가 필요한 것.
(라) 방언, 신조어 등이 세력을 얻어 표준어 자리를 굳혀가던 것.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총론 제2항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1. 제1장 총칙
<표준어 사정 원칙>
총칙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 표준말 → 표준어 : 비표준어와의 대비에서 말결이 맞지 않기 때문에 바뀐 것.
② 중류 사회 → 교양 있는 사람들 : 그 기준이 모호하여 바꾼 것.
표준어는 국민 누구나 공통적으로 쓸 수 있게 마련한 공용어(公用語)이므로,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
③ 현재 → 현대 : 역사의 흐름에서의 구획을 인식
④ 서울말 : 서울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 ‘서울말’로 굳혀진 것.
(가) 그동안 자연스러운 언어 변화에 의해 1933년에 표준어로 규정하였던 형태가 고형(古形)이 된 것.
(나) 그때 미처 사정의 대상이 되지 않아 표준어로서의 자격을 인정 받을 기회가 없었던 것.
(다) 각 사전에서 달리 처리하여 정리가 필요한 것.
(라) 방언, 신조어 등이 세력을 얻어 표준어 자리를 굳혀가던 것.
⑤ 이번 개정의 실제적인 대상은
가) 그동안 자연스러운 언어 변화에 의해 1933년에 표준어로 규정하였던 형태가 고형(古形)이 된 것.
(나) 그때 미처 사정의 대상이 되지 않아 표준어로서의 자격을 인정 받을 기회가 없었던 것.
(다) 각 사전에서 달리 처리하여 정리가 필요한 것.
(라) 방언, 신조어 등이 세력을 얻어 표준어 자리를 굳혀가던 것.
추천자료
미국 항공운송입법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원칙
[정보공개제도][정보공개]정보공개제도의 정의, 정보공개제도의 원칙, 정보공개제도의 필요성...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과제중심모델 보고서, 사례적용 - 개입사례 : 목적과 개입원칙, 개입과...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 특성,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 중요성, 자기...
[A+] 성공적인 대화기법 조사보고서 - 대화의3원칙, 대화자의20훈, 대화기법자기진단, 연설테...
비에스텍(Biestek) 관계의 7대 기본 원칙
화상아동간호,화상아동,아동화상,화상치료의원칙,화상예방법
사회복지실천에서 비밀보장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클라이언트 비밀보장의 원칙이 지켜질 수 ...
부동산학의 의의(개념정의)와 접근방법, 부동산학의 일반원칙(지도이념)
(A+ 레포트,시험대비) [케어복지론]케어복지서비스의 관점 및 실천원칙
사례관리의 개념과 등장배경, 사례관리 기본원칙, 사례관리자의 역할, 사례관리과정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접근방법,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원칙 및 면접, 사회...
[지역사회복지실천]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과정 및 실천원칙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