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2-1.학벌주의
2-2.교육을 통한 신분상승
2-3.입시주의 교육문화
2-4.조기교육문화
2-5.영어교육문화
2-6.사교육문화
3.결론
2.본론
2-1.학벌주의
2-2.교육을 통한 신분상승
2-3.입시주의 교육문화
2-4.조기교육문화
2-5.영어교육문화
2-6.사교육문화
3.결론
본문내용
것을 막는 것이 더 국민들을 위한 정치가 아닐까도 싶다는 생각마저 든다.
3. 결론
미국의 친척이나 친지들이 이야기를 들었을 때 학교 외 수업, 과외, 학원 등의 한국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따라서 소를 팔아 과거시험을 보게 하던 인디언도 없었고, 선생님께 도톰한 흰 봉투를 건네며 자식의 앞길을 논하는 장면도 없다. 동부에서 왔다고 서부의 OK목장에서 이름 못 날리는 카우보이 영화도 없었다. 청소부 아저씨가 좋은 차 끌고 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고, 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우리나라 중학생도 안 입을 옷에 우리나라 초등학생이나 멜 법한 가방을 메고 등교를 하여 밤늦게 까지 학교 도서관에서 공부를 한다. 성문 기초 중국어를 들고 다녀야만 된다는 생각을 가진 미국인도 못 봤고, 같은 MIT공대라고 좋아하는 장면은 미국드라마에서 한 번도 못 본 것은 나뿐인지 모르겠다. 한국에선 몬테소리를 검색어로 치면 유치원과 학원이 왜 이렇게 많이 나오는지 모르겠는데, M.D. 몬테소리가 태어난 이탈리아 구글 사이트에선 몬테소리 학교를 쳐도 별반 나오는 것이 없다. 이것이 외국과 한국의 차이다.
물론 수많은 전쟁으로 항상 피폐하였고, 천연자원도 가진 것이 없었고, 가진 것이라곤 우수한 머리가 전부였다. 열심히 배워서 물려주었고, 성공하는 길을 닦았다. 한강의 기적을 만들었고, 항상 위기와 문제에 닥쳤을 때 마다 슬기롭고 지혜롭게 헤쳐 나갔다. 부모님들의 지극정성의 교육열과 사회의 요구가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벌써 지도상에서 볼 수 없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제 우리나라의 교육문화는 발전할 만큼 발전하고 정점에 다 달았다. 어쩌면 너무 빠르게 올라오느라 문화지체 현상이 발생한 것은 아니었는지는 모르겠다. 많은 정치인과 국민들이 하나같이 우리의 교육문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대입수능과 학벌주의의 변화를 꿈꾼다. 뿌리 깊은 역사의 나라여서 그런지 쉽지는 않은 것 같다. 교육부 장관이 바뀔 때 마다 수많은 방법과 변화로 입시제도도 바뀐다. 수험생들만 죽어나간다고 한다. 하지만 박수를 쳐주고 응원하고 싶다. 그러다보면 언젠가는 이 복잡하게 얽혀진 쇠사슬이 풀어질 것이라고 믿고 싶다.
아직도 기회와 시간은 있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새로운 교육문화 시대의 아이들은, 아마도 변화한 유아교육으로부터 올 것이다. 가장 먼저 내가 맡은 유아교육이 새로운 시대의 교육문화 형성의 작은 발걸음이 아닐까 싶다.
3. 결론
미국의 친척이나 친지들이 이야기를 들었을 때 학교 외 수업, 과외, 학원 등의 한국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따라서 소를 팔아 과거시험을 보게 하던 인디언도 없었고, 선생님께 도톰한 흰 봉투를 건네며 자식의 앞길을 논하는 장면도 없다. 동부에서 왔다고 서부의 OK목장에서 이름 못 날리는 카우보이 영화도 없었다. 청소부 아저씨가 좋은 차 끌고 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고, 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우리나라 중학생도 안 입을 옷에 우리나라 초등학생이나 멜 법한 가방을 메고 등교를 하여 밤늦게 까지 학교 도서관에서 공부를 한다. 성문 기초 중국어를 들고 다녀야만 된다는 생각을 가진 미국인도 못 봤고, 같은 MIT공대라고 좋아하는 장면은 미국드라마에서 한 번도 못 본 것은 나뿐인지 모르겠다. 한국에선 몬테소리를 검색어로 치면 유치원과 학원이 왜 이렇게 많이 나오는지 모르겠는데, M.D. 몬테소리가 태어난 이탈리아 구글 사이트에선 몬테소리 학교를 쳐도 별반 나오는 것이 없다. 이것이 외국과 한국의 차이다.
물론 수많은 전쟁으로 항상 피폐하였고, 천연자원도 가진 것이 없었고, 가진 것이라곤 우수한 머리가 전부였다. 열심히 배워서 물려주었고, 성공하는 길을 닦았다. 한강의 기적을 만들었고, 항상 위기와 문제에 닥쳤을 때 마다 슬기롭고 지혜롭게 헤쳐 나갔다. 부모님들의 지극정성의 교육열과 사회의 요구가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벌써 지도상에서 볼 수 없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제 우리나라의 교육문화는 발전할 만큼 발전하고 정점에 다 달았다. 어쩌면 너무 빠르게 올라오느라 문화지체 현상이 발생한 것은 아니었는지는 모르겠다. 많은 정치인과 국민들이 하나같이 우리의 교육문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대입수능과 학벌주의의 변화를 꿈꾼다. 뿌리 깊은 역사의 나라여서 그런지 쉽지는 않은 것 같다. 교육부 장관이 바뀔 때 마다 수많은 방법과 변화로 입시제도도 바뀐다. 수험생들만 죽어나간다고 한다. 하지만 박수를 쳐주고 응원하고 싶다. 그러다보면 언젠가는 이 복잡하게 얽혀진 쇠사슬이 풀어질 것이라고 믿고 싶다.
아직도 기회와 시간은 있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새로운 교육문화 시대의 아이들은, 아마도 변화한 유아교육으로부터 올 것이다. 가장 먼저 내가 맡은 유아교육이 새로운 시대의 교육문화 형성의 작은 발걸음이 아닐까 싶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공무원 부정부패의 원인과 문제점 분석 및 대안제시(A+레포트)
우리나라 미혼모복지 현황과 문제점 분석 및 발전방향 제시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는 평생교육정책의 사례를 제시하고 주요 내용과 동향을 분석
우리나라의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시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
우리나라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문제점에 대해 서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시오.
우리나라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문제점에 대해 서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시오
우리나라의 전통사회복지역사에서 계승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제시 (전통사회복지)
우리나라 저출산률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을 제시.
우리나라 현대사회에서의 가족문화의 중요성과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제시 [가족문화]
우리나라의 자활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논하고 대안을 제시하시오.
우리나라 기업의 인사고과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 [인사고과]
우리나라 국민연금 기금운용의 문제점을 설명하고 대책을 제시하시오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의 문제점 및 선진국의 청소년복지 사례를 제시하고 발전방안에 대해 논...
우리나라의 여성복지의 정책과 과제를 논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