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실험][가상실험 정의][실험수업][가상실험 특성][가상실험 유형][소프트웨어][관찰학습][모형학습][가설]가상실험의 정의, 가상실험의 실험수업, 가상실험의 특성과 유형, 가상실험의 소프트웨어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상실험][가상실험 정의][실험수업][가상실험 특성][가상실험 유형][소프트웨어][관찰학습][모형학습][가설]가상실험의 정의, 가상실험의 실험수업, 가상실험의 특성과 유형, 가상실험의 소프트웨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가상실험의 정의

Ⅲ. 가상실험의 실험수업
1. 자료해석 학습 모형
2. 조작 기능 학습 모형
3. 관찰 학습 모형
4. 분류 학습 모형
5. 가설 검증 학습 모형

Ⅳ. 가상실험의 특성과 유형
1. 물리적 가상실험
2. 절차적 가상실험
3. 상황적 가상실험
4. 과정적 가상실험

Ⅴ. 가상실험의 소프트웨어
1. 목표
2. 활용 환경
3. 설치 및 사용 방법
4. 내용
1) 각 단원별 구성 내용
2) 각 단원의 내용
5. 기대 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데 목적이 있다.
2. 활용 환경
- CPU PentiumⅢ급 이상
- 주기억장치(RAM) 64M이상
- SVGA비디오카드(비디오 메모리 16M 바이트 이상)
- CD-ROM드라이브
- 마우스
- 사운드카드 및 스피커
- 모뎀(56Kbps이상), 전용선
- 익스플로러5.0 이상, 넷스케이프5.0 이상, 그 외 웹브라우저
- shockwave 설치
3. 설치 및 사용 방법
* 인터넷에 접속 후 사용방법
- 모뎀이나 전용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후 인터넷 주소란에 다음과 같이 기입한다.(http://cont122.edunet4u.net/~lovetjd03)
4. 내용
1) 각 단원별 구성 내용
1단계에서는 본시 학습이 진행되기 전에 학습자의 흥미유발의 차원에서 플래시 화면으로 지적호기심이 유발되도록 하였다.
2단계에서는 학습목표를 제시하여 배우고자 하는 내용을 한눈에 제시하였다.
3단계에서 8단계까지는 가상실험을 제공하여 다양한 실험을 학생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9단계에서는 이 단원에 사용된 사진, 그림, 동영상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10단계에서는 이제까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11단계에서는 형성평가를 제공하였다.
2) 각 단원의 내용
-운동의 제1법칙은
o 관성에 법칙과 관련된 학습내용 제시
o 우주인을 통한 우주공간에서 운동 관찰
o 버스에 매달린 손잡이의 운동 관찰
o 동전이 떨어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운동의 제2법칙은
o 힘과 가속도에 관련된 학습 내용을 제시
o 빗면을 굴러 내려가는 수레의 운동
o 여러 가지 등속도 운동, 등가속도 운동 관찰
o 자유낙하 운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운동의 제3법칙은
o 작용반작용에 관련된 학습 내용을 제시
o 오징어의 운동 관찰
o 얼음판 위에서 운동 관찰
o 풍선 로켓의 운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5. 기대 효과
이 멀티미디어 CAI는 ‘힘과 운동’ 단원을 주제로 구현하였다.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개념적인 설명이 많기 때문에 학생들 입장에서는 다소 어려워 할 수도 있다. 수학적인 공식도 나오기 때문에 학생이 스스로 하고자 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가상실험에서는 지도교사의 간단한 설명으로 학생들이 학습주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학습목표 도달에 접근이 가능하다. 학생들은 다양한 환경변수 조작으로 여러 가지 학습 상황을 쉽게 이해하고 접근 가능하며 또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현재 학교에서는 실험을 하려고 하면 실험도구의 미비, 시간, 실험기구의 준비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다. 특히 과학은 실험을 통하여 학습하면 효과가 크기 때문에 가능하면 실험을 하는 것이 학생들의 학습증진에 도움이 된다. 본 가상실험실을 이용하면 학생들의 학습증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비록 이 프로그램이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이 프로그램을 통하면 ‘힘과 운동’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문헌
권난주, 과학개념학습을위한 수업모형의 비교와 일반 모형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로돌프 즐랭 저, 김성희 역, 가상 현실이 어떻게 가능할까, 민음IN, 2007
브렌다 로렐 저, 산드라 헬셀 역, 가상현실설계 : 개인적 관점, 가상현실과 사이버스페이스, 서울 세종대학교 출판부, 1994
소영무 외 1명, 가상실험과 실제실험간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및 탐구수행능력 변화 비교, 한국지구과학회, 2004
심성진, CAI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가상실험,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이양원 외 1명, 가상과학실험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ITFIND, 1998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8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