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약력, 격이론,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언어이론, 언어습득,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언어심리학,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의사소통,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선전모형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약력, 격이론,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언어이론, 언어습득,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언어심리학,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의사소통,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선전모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약력

Ⅲ.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격이론
1. 구조격
1) 주격
2) 목적격
2. 내재격
1) 속격
2) 사격

Ⅳ.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언어이론
1. 촘스키의 언어관과 기본과정
2. 생성변형문법(generative transformational grammar)
1) 두 이론 간의 차이
2) 촘스키의 문법
3) Aspects of he theory of syntax을 중심으로 촘스키의 이론은 진화
3. 언어 습득설

Ⅴ.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언어습득

Ⅵ.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언어심리학

Ⅶ.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의사소통
1. Chomsky(1965:3)의 정의
2. Hymes(1979:19-24)의 정의
1) whether(and to what degree) something is formally possible
2) whether(and to what degree) something is feasible in virtue of the means of implementation available
3) whether(and to what degree) something is appropriate(adequate, happy, successful) in relation to a context in which it is used and evaluated
4) whether(and to what degree) something is in fact done, actually performed, and what its doing entails
3. Paulston(1974)의 정의
4. Savignon(1972:1)의 정의
5. Widdowson(1978:12)의 정의
6. Halliday(1973:44)의 정의
7. Munby(1978:13)의 정의
8. Canale&Swain(1980:1-47)의 정의

Ⅷ. 노암 촘스키(놈 촘스키)의 선전모형
1. 제1여과기 : 자본·독점화 등을 통한 언론 통제 분석
2. 제2여과기 : 언론사에 대한 광고주의 언론 통제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오늘날 성공적인 언론이란 소위 시청자가 평가하는 질(audience quality)의 중요성에 완전히 적응하고 있다. CBS는 시청자들에게 전달을 극대화하려고 계속 노력하는 반면 광고주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새로운 판매수단을 개발했다고 자랑스럽게 말하고 있다. 고객수용자 프로필(CAP: Client Audience Profile)은 광고주들이 그들의 상품과 서비스의 이용도 정도와 비례한 수용자 분산형태를 평가함으로써 네트워크 TV 스케줄의 효용성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한다. 간단히 말해서 언론은 구매력을 가진 수용자를 끄는 데 관심이 있는 것이지 수용자들 자체를 끄는 데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도 19세기에서와 마찬가지로 광고주들의 관심을 자극하는 것은 부유한 시청자들이다. 많은 수용자를 확보하려는 노력은 언론을 ‘민주적’으로 만든다라는 생각이 마치 투표제도가 수입에 의해 가중치가 주어지는 제도(1인1표 제도가 아닌)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은 정치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TV프로편성에 대한 광고주들의 힘은 그들이 프로그램을 사고 대금을 지불한다는 단순한 사실로부터 연유한다. 말하자면 광고주들이 언론에 ‘보조금’을 제공하는 ‘후원자’들인 셈이다. 이런 논리에서 언론은 후원자 확보 경쟁을 벌이며 광고주들에 대한 간청을 전문으로 하는 인력을 확충하며 언론사들의 프로가 광고주들의 필요에 어떻게 부응할 수 있는가를 설명한다. 이들 후원자들을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언론의 복지는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들 후원자들은 William Evan이 말하는 소위 ‘규범적 준거집단’이 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언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제시하는 조건들과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것이다.
한 TV네트워크에 있어서 Nielsen 시청율 평가상의 1% 상승 또는 하락은 년 간 8천만 달러 내지 1억 달러나 되는 광고수입의 변화를 의미한다. 전 NBC 1TV의 사장인 Grant Tinker가 말했듯이 “TV는 광고가 밑받침하는 미디어이며 이 밑받침이 약화되면 프로편성은 변하게 된다.”
근로계층과 급진적 미디어는 광고주들의 정치적 차별에 의해서도 고통 받는다. 정치적 차별은 구매력을 지닌 사람들에게 역점을 둠으로써 광고비 배정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인으로 자리 잡게 된다. 많은 회사들은 이념적 敵과 그들의 이익에 파괴적이라고 생각되는 자들에 대한 후원을 언제나 거부하려하며 공공연한 차별사례들은 소득에 의해 가중치(加重値)가 주어지는 투표제도의 힘을 강화하게 된다. 공영 TV인 WNET는 1985년 Gulf-Western으로부터의 기업자금지원이 끊기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 방송이 제3세계에서의 다국적(多國籍) 기업활동에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이윤에 굶주려 (Hungry for Profit)’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했기 때문이다. 이 프로가 방영되기 이전에도 기업의 부정적인 반응을 예상한 방송국 간부들은 이 프로그램의 여러 부분들을 삭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한 방송국 소식통은 전했다. Gulf-Western 사장은 그 프로는 반미국적(反美國的)이 아니라면 악의적으로 반기업적(反企業的)이며 이 방송이 그 프로를 방영한 것은 기업의 ‘친구’로서의 행동이 아니라고 불평했다. 런던의 Economist지는 WNET가 앞으로 이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을 것으로 사람들은 대체로 생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비우호적(非友好的) 언론기관들에 대한 차별 외에 광고주들은 그들 자체의 원칙들을 토대로 프로그램들 가운데 선별적으로 선택한다.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들의 원칙들은 문화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보수적이다. TV에 광고하는 대기업들은 환경파괴문제, 군부(軍部)-기업복합체의 움직임, 제3세계 독재자들에 대한 기업의 지원과 이들 독재자들로부터 받는 여러 가지 혜택 등 기업활동을 심각하게 비판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TV 네트워크들은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팔리지 않을 것이며 금전적 희생을 치르게 되고 강력한 광고주들의 비위를 건드릴 수 있다는 점을 시간이 경과하면서 체득하게 된다. 광고주들은 ‘구매분위기’(購買雰圍氣)에 방해가 되는 복잡하거나 논쟁적인 프로그램들을 피하길 원한다. 말하자면 ‘The Selling of the Pentagon’과 같은 프로들 대신에 미국인들의 외식(外食) 패턴에 관한 프로인 CBS의 ‘Mr. Rooney Goes To Dinner’와 같은 프로들의 스폰서를 구하려는 노력이 자연스럽게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TV방송국들과 네트워크들은 또한 수용자의 ‘흐름(flow)’의 수준들을 유지하려는 데 관심이 깊다. 광고시청율과 수입을 유지하기 위해 시청자들이 시청 프로를 바꾸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다큐멘터리나 문화적인 내용의 삽입프로는 채널변경을 야기 시킬 수 있어 큰 희생을 치러야 한다. 따라서 상업광고 프로들이 이것들을 대신하게 된다. 다큐멘터리, 비판적 내용의 프로들은 군소(群小) 언론사들로부터도 추방되고 있다. 이들도 광고의 이익에 부합하려는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Chomsky에 있어 광고는 약탈적 자본주의(predatory capitalism)의 한 형태이다. 그에게 있어 이런 형태의 자본주의는 21세기는 고사하고 20세기 중반에도 적합하지 못한 체제라는 것이다. 인간의 경쟁개념을 이런 형태의 자본주의로 해석한다는 것은, 다시 말해서 부와 권력의 극대화만을 추구하고, 시장의 제관계와 착취 및 외적 권위에 자기자신만을 예속시키는 것을 경쟁이라고 보는 것은 가장 깊은 의미에서 반인간적이며 용납할 수 없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참고문헌
강명윤(1996), 노암 촘스키의 인간과 사상, 한국아메리카학회
강준만(2002), 노암 촘스키에게 듣는다, 인물과사상사
안영섭(2000), Chomsky의 정치사상에 관한 소고, 명지대학교리서치아카데미
임채경(2007), 격이론(case theory)과 의미격(semantic cases), 언어과학회
전규찬(2002), 제국의 야만성 폭로한 생성적 운동가 : 테러·전쟁과 노암 촘스키, 한국언론진흥재단
정정호(2001), 노암 촘스키 현상, 중앙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 가격7,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