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전라남도(전남) 해남과 대둔사
1. [이명]
2. [위치]
3. [소속]
4. [역사]
5. [유물.유적]
Ⅲ. 전라남도(전남) 해남과 땅끝마을
1. 무형적 지원 요인
2. 문화경관 요인
3. 유형적 지원 요인
Ⅳ. 전라남도(전남) 해남과 일성산
Ⅴ. 전라남도(전남) 해남과 서산대사
참고문헌
Ⅱ. 전라남도(전남) 해남과 대둔사
1. [이명]
2. [위치]
3. [소속]
4. [역사]
5. [유물.유적]
Ⅲ. 전라남도(전남) 해남과 땅끝마을
1. 무형적 지원 요인
2. 문화경관 요인
3. 유형적 지원 요인
Ⅳ. 전라남도(전남) 해남과 일성산
Ⅴ. 전라남도(전남) 해남과 서산대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구전으로 여겨진다. 다만 웅진전 앞의 3층 석탑과 북암의 마애불이 통일신라말기와 고려초의 유물이므로 사찰의 역사는 이때부터 비롯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명산에 명찰이 깃든다는 말처럼 대흥사의 아름다움과 자랑거리는 무수히 많다. 그중에서 수많은 구도자들의 귀의처로 빼어난 승려들을 배출하였던 것이 첫번째로 앞세울 만한 자랑거리이다.
부처님의 법이 쇠진해 가고 삼엄했던 종통 규율마저 무너져 가던 조선 후기, 이 골짜기에서는 무려 13대를 이어가는 대종사(大宗師)와 대강사(大講師)가 배출되어 쓰러져 가던 조선 불교를 일으켜 세웠던 것이다.
그 웅장했던 역사가 대흥사 입구 부도밭에 가면 80여 개의 돌덩이들로 우뚝우뚝 세워져 있다. 이 땅에서 살았던 구도자들의 치열했던 정신이 오늘날까지도 돌덩이의 완강함으로 기념되고 있는 곳이다.
대흥사에 이토록 씩씩하게 피어 오른 법화의 불씨를 남겨 준 사람은 청허당 서산대사였다. 그는 잘 알다시피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을 국시로 하던 조선시대의 정치적 상황에서 누란(累卵)의 위기에 처한 불교를 중흥시킨 장본인이었다.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의고 지리산에 들어가 스스로 돈오법을 얻고 스님이 되었는데 30세 되던 해에는 승과에 장원하여 선교 양종 판사직에 올랐다. 그 후 벼슬길에 오른 자신의 모습이 선승의 본분이 아님을 통감하고 운수 행각에 나섰는데 금강산, 태백산, 오대산, 묘향산 등을 두루 순례하면서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스님은 또 선조 임금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는데 임진왜란 때 의주로 피난길에 올랐던 선조는 묘향산에 사신을 보내어 서산대사를 모셔오게 하고 구원을 요청하였다. 이에 스님은 전국 사찰에 격문을 돌리고 제자들에게 궐기할 것을 전하였다.
처영은 지리산에서 일어나 권율 장군과 연합하였고, 사명은 금강산에서 일어나 1천여 명의 승군을 이끌고 평양으로 달려왔다. 서산대사도 달려온 문도(門徒) 1천 5백여 명을 이끌고 평양성 전투에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승군들의 애국 충절에 감동한 선조는 서산대사에게 팔도 선교도 총섭이라는 최고의 승직을 내렸으나 그 직책을 제자인 사명에게 물려 주고 왜병이 물러나자 묘향산에 돌아와 수도승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이후 스님은 남북 강산을 두루 만행하시다 85세 때 묘향산 원적 앞에서 입적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은 유언으로 자신의 의발을 대흥사에 전하라고 하였다.
“두륜산은 기화 요초가 아름답고 먹을 것이 항상 끊이지 않는다. 내가 보건대 모든 것이 잘될 만한 곳이다. 바다와 산이 둘러싸 지키고 골짜기가 깊고 그윽하니 이곳은 삼재불입지처(三災不入之處)요 만세불패지지(萬歲不敗之地)의 땅이 될 것이다.”
그리고 스님께선 제자들에게 뒷일을 부탁하고 마지막 열반의 노래를 자신의 영정에 남겨놓았는데 그 또한 스님다운 일갈이었다.
\"80년 전에는 네가 나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
제자들은 스승의 뜻에 따라 금란가사와 여러 유품들을 대흥사에 봉안하고 사리탑을 세워 유골을 받들었다. 그 후 대흥사는 서산대사의 예언처럼 전란의 화가 미치지 않는 땅이 되었고 13대 강사와 13대 총사를 배출하여 명실 공히 선교의 총본산으로 조선후기 불교의 중흥기지가 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민(2008), 해남 땅끝마을의 관광지화와 사회경제적 변화, 목포대학교
정선중(2004), 살아서 꼭 가봐야할 남도여행 158선, 혜지원
정성일(2009), 해남 대둔사 승려의 일본 표착과 체험(1817년~1818년), 경인문화사
편집부(2011), 해남에 가면, 전남문인협회
편집부(2007), 전라남도 2농림부, 농촌정보문화센터
황도훈(1997), 해남의 진법군고 (海南의 陳法軍鼓), 한국문화원연합회
명산에 명찰이 깃든다는 말처럼 대흥사의 아름다움과 자랑거리는 무수히 많다. 그중에서 수많은 구도자들의 귀의처로 빼어난 승려들을 배출하였던 것이 첫번째로 앞세울 만한 자랑거리이다.
부처님의 법이 쇠진해 가고 삼엄했던 종통 규율마저 무너져 가던 조선 후기, 이 골짜기에서는 무려 13대를 이어가는 대종사(大宗師)와 대강사(大講師)가 배출되어 쓰러져 가던 조선 불교를 일으켜 세웠던 것이다.
그 웅장했던 역사가 대흥사 입구 부도밭에 가면 80여 개의 돌덩이들로 우뚝우뚝 세워져 있다. 이 땅에서 살았던 구도자들의 치열했던 정신이 오늘날까지도 돌덩이의 완강함으로 기념되고 있는 곳이다.
대흥사에 이토록 씩씩하게 피어 오른 법화의 불씨를 남겨 준 사람은 청허당 서산대사였다. 그는 잘 알다시피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을 국시로 하던 조선시대의 정치적 상황에서 누란(累卵)의 위기에 처한 불교를 중흥시킨 장본인이었다.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의고 지리산에 들어가 스스로 돈오법을 얻고 스님이 되었는데 30세 되던 해에는 승과에 장원하여 선교 양종 판사직에 올랐다. 그 후 벼슬길에 오른 자신의 모습이 선승의 본분이 아님을 통감하고 운수 행각에 나섰는데 금강산, 태백산, 오대산, 묘향산 등을 두루 순례하면서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스님은 또 선조 임금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는데 임진왜란 때 의주로 피난길에 올랐던 선조는 묘향산에 사신을 보내어 서산대사를 모셔오게 하고 구원을 요청하였다. 이에 스님은 전국 사찰에 격문을 돌리고 제자들에게 궐기할 것을 전하였다.
처영은 지리산에서 일어나 권율 장군과 연합하였고, 사명은 금강산에서 일어나 1천여 명의 승군을 이끌고 평양으로 달려왔다. 서산대사도 달려온 문도(門徒) 1천 5백여 명을 이끌고 평양성 전투에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승군들의 애국 충절에 감동한 선조는 서산대사에게 팔도 선교도 총섭이라는 최고의 승직을 내렸으나 그 직책을 제자인 사명에게 물려 주고 왜병이 물러나자 묘향산에 돌아와 수도승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이후 스님은 남북 강산을 두루 만행하시다 85세 때 묘향산 원적 앞에서 입적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은 유언으로 자신의 의발을 대흥사에 전하라고 하였다.
“두륜산은 기화 요초가 아름답고 먹을 것이 항상 끊이지 않는다. 내가 보건대 모든 것이 잘될 만한 곳이다. 바다와 산이 둘러싸 지키고 골짜기가 깊고 그윽하니 이곳은 삼재불입지처(三災不入之處)요 만세불패지지(萬歲不敗之地)의 땅이 될 것이다.”
그리고 스님께선 제자들에게 뒷일을 부탁하고 마지막 열반의 노래를 자신의 영정에 남겨놓았는데 그 또한 스님다운 일갈이었다.
\"80년 전에는 네가 나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
제자들은 스승의 뜻에 따라 금란가사와 여러 유품들을 대흥사에 봉안하고 사리탑을 세워 유골을 받들었다. 그 후 대흥사는 서산대사의 예언처럼 전란의 화가 미치지 않는 땅이 되었고 13대 강사와 13대 총사를 배출하여 명실 공히 선교의 총본산으로 조선후기 불교의 중흥기지가 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민(2008), 해남 땅끝마을의 관광지화와 사회경제적 변화, 목포대학교
정선중(2004), 살아서 꼭 가봐야할 남도여행 158선, 혜지원
정성일(2009), 해남 대둔사 승려의 일본 표착과 체험(1817년~1818년), 경인문화사
편집부(2011), 해남에 가면, 전남문인협회
편집부(2007), 전라남도 2농림부, 농촌정보문화센터
황도훈(1997), 해남의 진법군고 (海南의 陳法軍鼓), 한국문화원연합회
추천자료
[전남]전남지역(전라남도)의 사투리와 주거지, 전남지역(전라남도)의 삼베생산과 설화, 전남...
[전남]전남지방(전라남도)의 주거지와 대표음식, 전남지방(전라남도)의 동학농민군과 누정, ...
[전라남도][전남][전남지역][전라도][호남]전라남도(전남)의 지방, 전라남도(전남)의 도시, ...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1930년대 산업,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수온,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
[전라남도, 전남, 순천시, 문화예술, 문화관광정보, 인구이동]전라남도(전남) 순천시의 문화...
[전라남도, 전남, 강진, 병영, 갑오농민전쟁, 다산초당, 시인 김영랑]전라남도(전남) 강진과 ...
[지질]지질과 지질학자, 교수학습방안, 지질조사, 지질과 전남지질조사(전라남도지질조사), ...
(전남교육행정직면접) 최신전라남도(전남) 교육청, 교육행정직 공무원 면접
(전라남도정보문화진흥원 자기소개서 + 면접기출문제)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모바일 앱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