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고유어(순우리말)와 의미가치
1. 가치어
1) <꼴>
2) <꾸미다>
3) <까불다>
4) <챙기다>
5) <우습다>
6) <짜다>
7) <말아먹다>
2. 속어
3. 비어
4. 접두사
1) 개-
2) 선-
3) 옹-
4) 빗-
5) 엿-
5. 접미사
1) 꾸러기
2) 뱅이
3) 티
6. 관용어
7. 의존용언
8. 선행용언
9. 보조사
Ⅲ. 고유어(순우리말)와 접두사
Ⅳ. 고유어(순우리말)와 이름
1. 15세기의 사람 이름
2. 17세기의 사람 이름
1) 1음절형
2) 3음절형
3) 남자명 말음절 유형
4) 여자명 말음절 유형
5) 형제 자매의 행렬자명
3. 19세기의 사람 이름
1) 용모류
2) 성격류
Ⅴ. 고유어(순우리말)와 석보상절
1. 드틀 : 듣글[塵]
2. 물 : 므리[衆]
3. : [隙]
4. 바 : 바닿[海]
Ⅵ. 고유어(순우리말)와 소설가 이문구
참고문헌
Ⅱ. 고유어(순우리말)와 의미가치
1. 가치어
1) <꼴>
2) <꾸미다>
3) <까불다>
4) <챙기다>
5) <우습다>
6) <짜다>
7) <말아먹다>
2. 속어
3. 비어
4. 접두사
1) 개-
2) 선-
3) 옹-
4) 빗-
5) 엿-
5. 접미사
1) 꾸러기
2) 뱅이
3) 티
6. 관용어
7. 의존용언
8. 선행용언
9. 보조사
Ⅲ. 고유어(순우리말)와 접두사
Ⅳ. 고유어(순우리말)와 이름
1. 15세기의 사람 이름
2. 17세기의 사람 이름
1) 1음절형
2) 3음절형
3) 남자명 말음절 유형
4) 여자명 말음절 유형
5) 형제 자매의 행렬자명
3. 19세기의 사람 이름
1) 용모류
2) 성격류
Ⅴ. 고유어(순우리말)와 석보상절
1. 드틀 : 듣글[塵]
2. 물 : 므리[衆]
3. : [隙]
4. 바 : 바닿[海]
Ⅵ. 고유어(순우리말)와 소설가 이문구
참고문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