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창, 합창 정의, 합창 역사, 합창 요소, 합창 자세, 합창 호흡, 어린이합창단]합창의 정의, 합창의 역사, 합창의 요소, 합창의 자세와 호흡, 합창과 어린이합창단, 합창의 지도방법, 합창의 지휘방법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합창, 합창 정의, 합창 역사, 합창 요소, 합창 자세, 합창 호흡, 어린이합창단]합창의 정의, 합창의 역사, 합창의 요소, 합창의 자세와 호흡, 합창과 어린이합창단, 합창의 지도방법, 합창의 지휘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합창의 정의

Ⅲ. 합창의 역사

Ⅳ. 합창의 요소
1. Rhythm
2. Intonation(음정)
3. Tempo
4. Dynamics
5. Tone(발성)
6. Diction(발음)
7. Blending(혼합)
8. Balance(균형)
1) 남성합창
2) 혼성합창
3) 여성합창
9. Form

Ⅴ. 합창의 자세와 호흡

Ⅵ. 합창과 어린이합창단

Ⅶ. 합창의 지도방법
1. 조직
2. 지도시간
3. 지도순서
4. 곡의 선택
5. 지도방법

Ⅷ. 합창의 지휘방법
1. 지휘자의 자격
2. 지휘자의 역할
3. Beating의 기술
4. 지휘자의 자세
5. 지휘봉의 사용
6. 연주시작의 준비
7. 기본적인 Beating
8. 악센트의 표시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는곡.(합창단의 능력에 맞 추어 移調, 편곡)
3) 기능이 낮은 합창단은 빠르고 경쾌한 가락의 노래가 좋고, 기능이 높을수 록 서정적인 가락이 좋음.
5. 지도방법
1) 책, 걸상을 한쪽으로 물리고 바른자세로 서서 연습을 하는데 유리창을 활 짝 열고 운동장쪽을 향해서 연습하므로서 소리의 울림과 반사를 줄인다.
2) 발성연습 시간에는 꼭 바르게 서서, 몸무게를 두는 위치, 어깨에 힘 빼기, 둔부근육 긴장시켜 끌어 올리기, 횡경막 운동 등을 관심있게 살피고 또 어린이들에게 늘 각성시키면서 발성연습.
3) 발성연습 도중 개별지도를 위하여 궤간 순시 지도를 한다.
4) 본 곡을 연습할 때에는 연습 범위를 짧게 잡고 반복연습을 하며 기대수준 에 도달하면 그 다음 부분연습을 한다.
5) 길게 소리내는 부분을 반복 연습하여 소리가 쳐지지 않도록 잡아준다.
6)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것을 삼가하고 부분 부분을 중점 지도한다.
(전곡을 부르는 것은 연습이 끝날 무렵에 한, 두 번 정도 불러본다)
7) 개개인의 잘 하는점을 잡아 인정해 주고, 조금 부족한 점을 지적하여 고 쳐준다.
8) 성량을 키우기 위하여 앞이 탁 트인 산위나 넓은 운동장에서 간격을 넓게 세운 후 성량을 키우는 연습을 한다. 반대로 밀폐된 좁은곳에서, 공명이 안되는 넓은 마당에서, 또는 무반주로 등 다양한 장소와 방법으로 연습 9) 무표정한 얼굴이나 찡그린 표정 : 웃니가 살짝 보일 듯 말듯 미소 띤 표정 이 좋다
10) 낮은음의 발성지도가 실제로는 더 어려운데, 탄력이 있고 공명이 잘되는 소리가 되도록 연습한다. (입안 넓히기, 횡경막 운동 등 안이하게 생각함)
11) 주 1회(토요일 오후) 독창 또는 중창(2중창, 또는 3중창)경연대회를 갖고 부진아에 대한 개별지도를 한다.
12) 음질이 좋은 녹음기를 사용하여 항상 녹음을 하여 들려주고, 부족한 부분 은 반복연습 하도록한다.
13) 목표가 뚜렷해야 더 열심히 연습을 하게 되고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학예회, 방송국 출연, 시, 도대회 참석, 전국대회 참석 등)
14) 외부 인사(이웃반 선생님, 학교장, 교감, 학부모회 임원 등)가 가끔 연습하 는 합창을 들어주면 사기진작에 매우 효과적이다.
15) 가끔 간식(과자, 과일, 음료수 등)으로 사기를 높여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16) 지도교사의 시범창(모창)은 큰 도움이 되고 효과적이다.
17) 반주가 안정감이 있어야하고(가능하면 교사가 반주), 악상 표현에 있어서 도 합창과 호흡이 맞아야 한다.
18) 좋은 지휘에서 좋은 합창이 이루어지므로 지휘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Ⅷ. 합창의 지휘방법
1. 지휘자의 자격
① 음악이론에 밝을 것
② 시창능력, 청음능력이 우수할 것
③ 곡의 해석능력을 지닐 것
④ 악기 연주능력이 우수할 것(피아노 등 건반악기)
⑤ 인격적으로 존경을 받을 수 있어야 함.
2. 지휘자의 역할
① tempo나 박자의 지시
② 프레이즈의 지시
③ 악상의 지시
④ 시작과 마침의 지시
3. Beating의 기술
Beating의 기술은 박자를 젓는다는 당연한 역할 외에도 단원과의 약속된 모든 것을 상기시키는 역할도 해야 한다. Beating의 모든 동작은 단순, 명확하여야하며 그 동작은 가장 필요한 것에만 사용되어야 한다. 훌륭한 지휘자란 그 연주의 완성에 필요한 동작을 하나부터 끝까지 다해야 하지만 불필요한 동작은 절대로 하지 않는 지휘자이다.
4. 지휘자의 자세
① 태도는 단호히 하되 너무 힘이 들어가거나 딱딱하지 않도록 한다.
② 양발은 약간 옆으로 벌리고 (12-18인치) 한족 발은 가볍게 앞으로 내밀며 몸의 힘을 뺀다.
③ 상반신은 가급적 조용하게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④ 다리는 곧게 하되 힘을 빼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⑤ 손과 팔의 위치는 누군가와 악수할 때처럼 하고, 손바닥은 한 쪽으로 약간 기울이거 나 아래로 향하게 한다.
⑥ 손가락은 칠판지우개를 비스듬히 쥐듯이 경미하게 구부리되 너무 붙이거나 벌리지 않도록 하고 우아한 곡선이 되도록 한다.
⑦ 머리는 몸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하고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앞으로 내밀지 않도록 한다.
5. 지휘봉의 사용
① 지휘봉은 팔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다.
② 손바닥은 아래로 향하고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단단히 잡는다. 이때, 지휘봉은 집게 손가락으로 첫마디쯤에 놓여져야 하고 아랫부분은 손바닥에 편히 놓일 수 있도록 한다.
③ 지휘봉은 너무 세게 잡으면 손목이 딱딱하게 되어 동작의 흐름이 제한되고, 너무 느슨하게 잡으면 제어를 할 수 없게 되어 나쁜 제스추어의 원인이 된다.
④ 지휘봉의 끝이 너무 몸통앞으로 오거나 높이 향하지 않도록 한다.
6. 연주시작의 준비
① 윗팔을 어깨 높이까지 수평이 되게 앞으로 뻗치고, 아랫팔은 힘을 빼고 가슴높이 정도로 양팔을 자연스럽게 준비한다.
② 양손의 위치는 곡의 아인자츠(Einsatz)의 세기의 정도에 다라 몸에서 10-30cm쯤 떨어진 곳에 둔다.
③ 어깨의 힘을 빼고 양팔꿈치의 위치는 직각에 가깝도록 약간 바깥쪽으로 밀어낸 듯이 한다.
7. 기본적인 Beating
① 가장 센 첫째 박자 : 중력의 방향에 따라 아래로 내림
② 두 번째 센 박자 : 확실히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항상 바깥쪽으로 저음
③ 하나하나의 비팅은 용수철의 반동 같은 운동을 나타낸다.
8. 악센트의 표시법
① 음을 늘이는 악센트 :상반신을 포함한 모든 비팅운동이 연주자 쪽으로 가깝도록 하며, 손은 가볍게 털치고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
② 음을 세게 하는 악센트 : 비팅운동을 날카롭게 하고 동시에 재빨리 용수철의 반동 운동을 행한다. 정확한 손가락의 운동이 중요하다.
③ 스타카토의 지휘 : 팔의 움직임은 거의 없이하고 대부분 손목으로 지시한다.
참고문헌
윤학원, 「합창연구」, 세광출판사, 1974
이옥경, “합창의 교육적 의의 고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이택희, 합창론 서울, 기독교 음악사, 1987
이동훈, 합창지도법, 동진음악출판사, 2003
홍준철, 합창지휘자를 위하여, 예솔, 2011
Homer Ulrich 저, 최훈차 역, 합창음악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92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