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을 통한 지위상승이 가능한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을 통한 지위상승이 가능한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 사회적 불평등과 사회이동
> 쟁점화 되어야 하는 이유

◆ 본론
[1] 사회이동의 개념과 명제
(1) 사회이동의 개념
(2) 사회이동에 관한 명제
[2] 교육과 사회이동의 관계 - 사회이동에 관한 두 관점
(1) 낙관론(기능론)적 관점
(2) 비관론(갈등론)적 관점
[3] 교육과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
(1) 국외 연구
(2) 국내 연구
[4] 오늘날 사회이동의 실제 (사례)
- [사례1] ~ [사례4]

◆ 결론
[1] ‘교육과 사회이동’ 요약
[2] ‘교육과 사회이동’, 그 결론
[3] 함께 생각해 볼 문제 (발제)
◇ 자료출처

본문내용

에서 발표한 여성권한척도입니다.
* UNDP(국제연합개발계획)란?
국제연합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계획을 조정, 통일하는 기구
* 여성권한척도(GEM)란?
유엔개발계획(UNDP)에서 국가별로 여성의 정치, 경제활동과 정책과정에서의 참여도를 측정하여 고위직에서의 남녀평등정도를 평가한 것이며,주로 여성 국회의원 수, 행정 관리직과 전문기술직 여성비율 그리고 남녀소득차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 UNDP 여성권한 척도
(점수)
출처: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점수가 1에 가까울수록 여성권한척도가 높다는 의미를 가지는데요. 2005년 0.479에서 2008년 0.54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로써 여성의 여성의 정치, 경제, 사회진출이 활발해 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또한, 통계청의 인구주택 총 조사의 여성의 교육수준 현황의 결과를 보면,
■ 인구주택 총 조사의 여성의 교육수준 현황
(단위:%)
출처: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의 여성의 교육수준 현황
여성의 초졸 이하 비율은 줄고, 고졸과 대졸이상자가 늘고 있습니다. 대졸이상은 1990년도에는 8.3%에서 2000년 18%로 증가했으며, 여성의 교육기회가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두 통계자료를 종합해보면, 여성은 예전에 비해 점점 여성의 권위가 강해지고 있는 것 같고, 그동안 등한시 되었던 여성의 역할이 새로운 조명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하 기사 생략)
[출처] 어제는 남성, 내일은 여성시대|작성자 통게
<결론>
[1] '교육과 사회이동' 요약
1) 사회이동이란?
- 개인이나 집단이 어떤 사회경제적 지위로부터 다른 사회 경제적 지위로 이동하는 것.
2) 낙관론(기능주의적) 입장
- Blau & Duncan(1967)에 의한 기본모형은 학교교육이 사회 평등화에 기여함을 강조.
- Sewell & Hauser(1975) 역시, Blau & Duncan과 맥을 같이하는 가운데,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의미 있는 타자의 영향과 포부수준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사회 심리적 요인을 경유하여 교육과 직업지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3) 비관론(갈등주의적) 입장
- Jencks(1972)는 소득결정에 미치는 교육의 영향력이 무시할 정도이며, 학교교육을 평등화 한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시킬 수 없다는 일련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면서 학교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의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주장.
- 학교 내부에 존재하는 불평등 구조인 계열화 구조를 반영하게 되면 학교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의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매우 약화됨. 즉 고등학교 졸업 후 고등교육 진학 기회에 있어서 계열 간 차이가 심하며,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지위 획득에도 계열화가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 분단 노동 시장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학교교육의 효과가 시장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 주변부에 속하는 시장에 속하게 되면 학교교육의 사회 이동력은 중심부 시장에서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약하며 부정적이라는 결론 제시.
4) 교육과 사회이동에 관한 국내연구
- 국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교교육이 사회적 상승이동의 중요 통로가 되고 있다는 주장과 학교교육은 사회이동에 큰 의미가 없으며 교육기회 배분에 있어서도 계층 간의 차이가 줄어들지 않는다는 대립적인 연구결과가 제시되어 왔음.
- 학교교육의 사회 이동력이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적 "교육열" 현상의 근본 역동 기제를 밝혀내야 할 과제가 있음.
[2] '교육과 사회이동', 그 결론
사회이동연구는 처음에는 블라우와 던컨이 제시한 기본모형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접근으로 분석하며 모형을 변형하면서 이론적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는 한편으로는 이론적으로 취약성을 지니고 있고 무(無)이론적 연구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한 사회에서 교육이 사회평등화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 그리고 그 한계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구체적인 자료를 준거로 해답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사회학 영역의 독자적 연구 분야를 개척하는 결과를 거두었다.
학교교육이 사회적 지위의 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관해, 향후 에는 이러한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결정하는 사회적 근본 기제는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좀 더 필요할 것이며, 국가 간 사회이동에 미치는 교육의 역할과 힘에 대한 비교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지난 30여 년 동안 학교교육이 사회이동에 미친 영향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사회에서의 교육열, 대학입시열의 실체가 무엇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아야 한다.
[3] '교육과 사회이동'에 관하여 생각해 볼 문제 (발제)
Q1. 치열한 대학 입시경쟁의 이면에는 대학, 그것도 명문대학을 진학하면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차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과연 우리나라에서 대학교육은 자녀들의 사회적 이동을 보장해 주는 힘을 갖고 있는가?
Q2. 외국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학교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의 가능성이 높은가, 아니면 상대적으로 낮은가?
Q3. 개인의 사회이동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예컨대 가정의 배경, 개인의 적성과 능력, 그리고 노력 및 학교교육의 수준 등이 갖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 자료 출처 ◀◁
-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 김천기 / 학지사 / P.137-167
- 교육과 사회이동 / 장상수 / 도서출판그린
- 교육사회학 / 김신일 / 교육과학사
- 한겨레 뉴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72630.html)
- 네이버 블로그뉴스 (http://blog.naver.com/hi_nso?Redirect=Log&logNo=1300548
30714 )
- 서울일보 뉴스 (http://www.seoulilbo.net/)
- 내일신문 뉴스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494362
&sid=E&tid=1)
  • 가격2,4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7.18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