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기원과 역사
Ⅲ.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이론적 배경
Ⅳ.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장점
Ⅴ.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측정도구
참고문헌
Ⅱ.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기원과 역사
Ⅲ.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이론적 배경
Ⅳ.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장점
Ⅴ.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측정도구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응답자의 진실한 지불의사금액(TWTPi)을 직접 관찰할 수 없고 대신에 CVM 측정도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현시된 지불의사금액(RWTPi)만 관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이 진실한 지불의사금액과 가능한 한 차이가 줄어들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측정이론의 관점에서 지불의사금액의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응답자의 진실한 내재 지불의사금액은 대상 응답자들의 인지 및 태도 특성, 개인 특성, 가구 특성 등에 의해 설명될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3)
여기서 X는 i번째 개인의 특성들의 행렬, α는 미지의 모수들의 벡터이다. 한편 CVM 측정도구에 의해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4)
여기서 f(X,α)는 i번째 개인의 진실한 지불의사금액인 TWTPi, g1(W,β)는 확률오차 또는 비체계적 오차로서 이와 관련된 변수들의 행렬 W와 관찰되지 않는 모수들의 벡터 β에 대한 함수, g2(R,ψ)는 체계적 오차로서 이와 관련된 변수들의 행렬 R과 미지의 모수들의 벡터 ψ의 함수, g3(Z,δ)는 현시된 지불의사금액(RWTPi)을 집계에 영향을 주는 부분으로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도와 관련된 함수, h[]는 미지의 특성들에 관한 집계함수이다.
그러므로 CVM측정도구에 의해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은 진실한 지불의사금액 뿐만 아니라 설계된 CVM 측정도구에 기인하는 체계적 오차 및 확률오차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 또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지불의사금액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조사되었는지와 관련된다. g1()함수는 측정의 신뢰성(reliability), g2()함수는 측정의 타당성(validity), g3()함수는 표본설계 및 조사실행 오류로 인한 편의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측정오차는 현시된 지불의사금액과 진실한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로서 정의되므로 측정오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현시된 지불의사금액과 마찬가지로 진실한 지불의사금액, 측정의 체계적 오차, 비체계적 오차,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표본으로부터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이 모집단의 진실한 지불의사금액을 제대로 반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측정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타당성의 기준을 충족시키며 표본설계 및 조사실행 오류로 인한 편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덕길 외 6명(2012),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가치평가 연구, 한국습지학회
김남엽 외 1명(1999), 조건부 가치측정법의 주요 편의와 논쟁,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김태윤(1998), 조건부 가치 측정법의 이론과 성공적 시행 지침,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변상규(2011),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소상공인방송의 공익적 성과 추정, 한국산업경제학회
이현정(2011), 모의실험을 통한 조건부가치측정법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장정인 외 2명(2005), 선호 불확실성을 고려한 조건부가치측정법의 고찰, 한국자원경제학회
응답자의 진실한 내재 지불의사금액은 대상 응답자들의 인지 및 태도 특성, 개인 특성, 가구 특성 등에 의해 설명될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3)
여기서 X는 i번째 개인의 특성들의 행렬, α는 미지의 모수들의 벡터이다. 한편 CVM 측정도구에 의해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4)
여기서 f(X,α)는 i번째 개인의 진실한 지불의사금액인 TWTPi, g1(W,β)는 확률오차 또는 비체계적 오차로서 이와 관련된 변수들의 행렬 W와 관찰되지 않는 모수들의 벡터 β에 대한 함수, g2(R,ψ)는 체계적 오차로서 이와 관련된 변수들의 행렬 R과 미지의 모수들의 벡터 ψ의 함수, g3(Z,δ)는 현시된 지불의사금액(RWTPi)을 집계에 영향을 주는 부분으로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도와 관련된 함수, h[]는 미지의 특성들에 관한 집계함수이다.
그러므로 CVM측정도구에 의해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은 진실한 지불의사금액 뿐만 아니라 설계된 CVM 측정도구에 기인하는 체계적 오차 및 확률오차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 또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지불의사금액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조사되었는지와 관련된다. g1()함수는 측정의 신뢰성(reliability), g2()함수는 측정의 타당성(validity), g3()함수는 표본설계 및 조사실행 오류로 인한 편의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측정오차는 현시된 지불의사금액과 진실한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로서 정의되므로 측정오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현시된 지불의사금액과 마찬가지로 진실한 지불의사금액, 측정의 체계적 오차, 비체계적 오차,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표본으로부터 현시된 지불의사금액이 모집단의 진실한 지불의사금액을 제대로 반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측정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타당성의 기준을 충족시키며 표본설계 및 조사실행 오류로 인한 편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덕길 외 6명(2012),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가치평가 연구, 한국습지학회
김남엽 외 1명(1999), 조건부 가치측정법의 주요 편의와 논쟁,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김태윤(1998), 조건부 가치 측정법의 이론과 성공적 시행 지침,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변상규(2011),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소상공인방송의 공익적 성과 추정, 한국산업경제학회
이현정(2011), 모의실험을 통한 조건부가치측정법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장정인 외 2명(2005), 선호 불확실성을 고려한 조건부가치측정법의 고찰, 한국자원경제학회
추천자료
법대로-부가가치세법시행령
[산전후휴가][소득보장][근로기준법개정][독일 산전후휴가 사례]산전후휴가의 가치, 산전후휴...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법, 납세의무자, 과세대상, 영세율의 적용과 면세, 납세지, 세율, 납...
자본예산-순현재가치법이란?
순현재가치법,DCF법
순현재가치법,DCF법
사회복지행정의 이념과 가치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지향하...
[가사노동][자본주의][가정안정성][가족법]가사노동의 역사, 가사노동의 가치, 가사노동과 자...
YG엔터테인먼트(YG Entertainment) 기업재무분석 및 YG 기업가치평가와 YG 재무전략분석 - 재...
사회복지행정의 이념과 가치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지향하는...
사회복지행정의 이념과 가치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지향하...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젝트 접근법 -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구성주...
[영어교수법 공통] 과업중심 교수법(Task-Based Instruction) 정의(개념) 내리고, 본인이 속...
투자와 관련된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즉 순현가로 투자프로젝트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