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에서손님이 내방하면 서로 절하고 인사를 한후 서로 마주 앉아서 차를 마신다라고 하였다. 오늘날 찻자리에서는 반절이나 목례를 하고 차를 마시는 예절을 생활화 하여야 한다.(남자의 절은 주월영의 예법사전, 여자의 절은 김장생의 가례집람의 숙배에 관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음으로 참고 하십시오) 찻상을 들때는 팔굽치의 각도가 60 - 90도 정도 되게 들며 엄지손가락 끝이 상 위로 올라오지 않고 엄지의 마디가 상의전과 나란하게 잡는 것이 좋다. 가슴에 상이 닿지 않게 하며 상을 내릴때는 손님과 상을 띄워 조용히 몸과 상을 같이 내려가 앉으면서 살짝 놓는다. 찻잔을 놓을때도 소리를 내지 않고 놓을것이며 나이가 많거나 계급이 높은 순 으로 놓는다. 빈그릇을 다룰때도 조용하게 소리를 내지 않도록 하여 다룬다.
추천자료
7차 도덕과 교육과정 성격
차의 종류와 효능, 마시는 방법과 활용법에 관한 이해와 분석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요와 전반적인 이해 분석 고찰 [-예전의 교육과 비교하여 발표자...
[일본 음식][일본 요리]일본 음식과 일본 요리 고찰(일본 음식(일본 요리)의 특징, 일본 음식...
7차 교육과정 시안 사회생활영역
7차교육과정 개정 기본방향
도덕과의 교육과정 변천, 도덕과의 교육과정 개정배경과 개정중점, 고등학교 도덕과 제6차 교...
차의_궁합
영국차문화
[일본요리, 일본음식, 일식]일본요리(일본음식, 일식)의 분류, 일본요리(일본음식, 일식)의 ...
차의 유래와 성분 및 효능
제 2차 유치원 교육과정, 제 3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영역별 비교, 유치원 교육과정 변천, 유...
차 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