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술과 라식수술
1. 라식(LASIC)
2. 엑시머레이저 수술과 라식 수술의 차이점
Ⅱ. 수술과 안수술(눈수술)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Ⅲ. 수술과 성형수술
Ⅳ. 수술과 낙태수술(임신중절수술)
Ⅴ. 수술과 정관수술
Ⅵ. 수술과 악교정수술
참고문헌
1. 라식(LASIC)
2. 엑시머레이저 수술과 라식 수술의 차이점
Ⅱ. 수술과 안수술(눈수술)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Ⅲ. 수술과 성형수술
Ⅳ. 수술과 낙태수술(임신중절수술)
Ⅴ. 수술과 정관수술
Ⅵ. 수술과 악교정수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운 수술 테크닉을 개발하는 노력을 꾸준히 경주해왔다. 어떻게 하면 미세구조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누수방지 봉합을 할 수 있는가? 어떻하면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까?
병든 조직을 외과적으로 잘라내거나 절개한 후, 다시 이어주는 바느질(縫合術)은 술자(術者)의 정교한 테크닉과 세심한 주의를 요구한다. 이 바느질하는 기술이나 방법이 수술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더구나 정관처럼 아주 미세한 관상(管狀) 구조를 바느질로 이어줄 때는 더욱 그렇다. 육안으로 겨우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한 연결이 더욱 힘들고 어렵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정관은 굵기가 2∼3mm 정도의 국수가락처럼 만져지지만 실제로 정자의 통로가 되는 내경은 0.5∼1mm 정도로 아주 가늘어서 육안으로 정관을 정확하게 이어주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설령 육안으로 정관을 이어주더라도 그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어 수술 후, 정관이 다시 개통되는 재개율(再開率)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수술현미경을 통해 수술시야를 약 10∼20배로 확대시킨 상태에서 시행한 현미경 미세수술이 현재 정관복원수술의 교과서적인 방법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현미경수술은 술자의 노련한 술기(術技)를 요구하며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Ⅵ. 수술과 악교정수술
악교정수술(Orthognathic Surgery)은 부정교합이나 안모의 불균형 등의 악안면의 결함을 바로잡기 위한 수술으로 구강악안면 수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Le Fort Ⅰ,Ⅱ osteotomy는 상악골의 위치나 폭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술식이고, 하악지 시상 분할 골절단술은 하악을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기 위한 술식이다. 악교정수술을 하기 위해 전신마취를 시행할 때 마취학적인 견지에서 어떤 특별한 문제점들이 생길 수 있으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특히, 기도 관리, 저혈압 마취에 대해서는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악교정수술을 받는 환자들은 보통 건강한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은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ASA)분류 Ⅰ에 속한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하악후퇴증, 상악돌출증, 개구제한 등의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전신마취 유도를 위한 삽관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게다가 교정 장치가 있는 경우 기도관리가 더욱 어렵다.
악교정수술 시의 독특하고도 중요한 마취학적 문제점들 중의 하나는 이런 수술이 pneumatic cutting instrument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과 연관된 것이다. 즉 골 절단 부위와 기관내 삽관 튜브가 가깝기 때문에 기관내 삽관 튜브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고 간단한 악교정 수술은 그다지 혈액 손실이 크지 않지만, 수술시간이 길거나 특히 수술이 상악에서 시행될 때에는 과도한 혈액의 손실이 생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결합조직이나 골에 혈액이 심하게 흘러나오면 술자의 시야를 막게 된다. 그러므로 의도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것은 수술시야를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혈액의 손실도 감소시켜 주는 이점이 있다.
악교정수술에서,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는 신경은 삼차신경으로 그 결과 연수에 교감신경 활성화 자극을 주게 된다. 따라서 심장에 교감신경성 자극이 가해져 속맥(Tachycardia)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저혈압 마취를 위한 가장 좋은 약물은 β blocker이다. 하지만 β bloker는 bronchospasm을 생기게 할 수 있다.
수술 후 초기(Early postoperative period)에는 출혈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수술 후 후기(Late postoperative period)에는 코끝이나 엉덩이의 궤양이 생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Nobuo Katakura 등의 연구에 의하면 하악전돌증 환자에서 하악골 후퇴 절단술을 시행하면 수술 후의 인두의 기로 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형태학적 변화는 술후 환자의 호흡곤란과 연관이 있고, 술후에 주의깊은 기도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참고문헌
김선웅 외 3명 - 라식수술 후 발생한 감염성 각막염의 임상적 분석, 대한안과학회, 2007
김태열 - 악교정 수술과 심미성, 인제대학교, 2003
낙태반대운동연합 - 낙태 후유증과 치료방안, 2007
오갑성 - 한국 성형수술의 현재와 미래, 대한의사협회, 2011
이희구 - 가족계획의 문제점과 정관수술, 국회도서관, 1975
최창수 - 안수술의 전후처치, 한국의약사, 1959
병든 조직을 외과적으로 잘라내거나 절개한 후, 다시 이어주는 바느질(縫合術)은 술자(術者)의 정교한 테크닉과 세심한 주의를 요구한다. 이 바느질하는 기술이나 방법이 수술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더구나 정관처럼 아주 미세한 관상(管狀) 구조를 바느질로 이어줄 때는 더욱 그렇다. 육안으로 겨우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한 연결이 더욱 힘들고 어렵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정관은 굵기가 2∼3mm 정도의 국수가락처럼 만져지지만 실제로 정자의 통로가 되는 내경은 0.5∼1mm 정도로 아주 가늘어서 육안으로 정관을 정확하게 이어주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설령 육안으로 정관을 이어주더라도 그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어 수술 후, 정관이 다시 개통되는 재개율(再開率)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수술현미경을 통해 수술시야를 약 10∼20배로 확대시킨 상태에서 시행한 현미경 미세수술이 현재 정관복원수술의 교과서적인 방법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현미경수술은 술자의 노련한 술기(術技)를 요구하며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Ⅵ. 수술과 악교정수술
악교정수술(Orthognathic Surgery)은 부정교합이나 안모의 불균형 등의 악안면의 결함을 바로잡기 위한 수술으로 구강악안면 수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Le Fort Ⅰ,Ⅱ osteotomy는 상악골의 위치나 폭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술식이고, 하악지 시상 분할 골절단술은 하악을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기 위한 술식이다. 악교정수술을 하기 위해 전신마취를 시행할 때 마취학적인 견지에서 어떤 특별한 문제점들이 생길 수 있으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특히, 기도 관리, 저혈압 마취에 대해서는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악교정수술을 받는 환자들은 보통 건강한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은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ASA)분류 Ⅰ에 속한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하악후퇴증, 상악돌출증, 개구제한 등의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전신마취 유도를 위한 삽관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게다가 교정 장치가 있는 경우 기도관리가 더욱 어렵다.
악교정수술 시의 독특하고도 중요한 마취학적 문제점들 중의 하나는 이런 수술이 pneumatic cutting instrument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과 연관된 것이다. 즉 골 절단 부위와 기관내 삽관 튜브가 가깝기 때문에 기관내 삽관 튜브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고 간단한 악교정 수술은 그다지 혈액 손실이 크지 않지만, 수술시간이 길거나 특히 수술이 상악에서 시행될 때에는 과도한 혈액의 손실이 생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결합조직이나 골에 혈액이 심하게 흘러나오면 술자의 시야를 막게 된다. 그러므로 의도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것은 수술시야를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혈액의 손실도 감소시켜 주는 이점이 있다.
악교정수술에서,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는 신경은 삼차신경으로 그 결과 연수에 교감신경 활성화 자극을 주게 된다. 따라서 심장에 교감신경성 자극이 가해져 속맥(Tachycardia)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저혈압 마취를 위한 가장 좋은 약물은 β blocker이다. 하지만 β bloker는 bronchospasm을 생기게 할 수 있다.
수술 후 초기(Early postoperative period)에는 출혈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수술 후 후기(Late postoperative period)에는 코끝이나 엉덩이의 궤양이 생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Nobuo Katakura 등의 연구에 의하면 하악전돌증 환자에서 하악골 후퇴 절단술을 시행하면 수술 후의 인두의 기로 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형태학적 변화는 술후 환자의 호흡곤란과 연관이 있고, 술후에 주의깊은 기도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참고문헌
김선웅 외 3명 - 라식수술 후 발생한 감염성 각막염의 임상적 분석, 대한안과학회, 2007
김태열 - 악교정 수술과 심미성, 인제대학교, 2003
낙태반대운동연합 - 낙태 후유증과 치료방안, 2007
오갑성 - 한국 성형수술의 현재와 미래, 대한의사협회, 2011
이희구 - 가족계획의 문제점과 정관수술, 국회도서관, 1975
최창수 - 안수술의 전후처치, 한국의약사, 1959
추천자료
[간호학]수술과 수술실에관한 연구(※그림첨부)
수술 후 회복실에서의 퇴원기준
수술실 일지
신경계 수술 종류와 수술 후 간호 중재
유방암 (병태생리, 과정,진단, 수술,수술후간호)
견인장치와 간호, 부동환자의 간호, 석고붕대와 간호, 수술환자를 위한 약물, 수액요법과 간...
[환자간호][관절염][골절][무의식][실어증][두부수술][천식]관절염환자간호 사례, 골절환자간...
[환자간호사례][간호사례][환자][간호][수술환자간호] 만성신부전환자간호사례, 안수술환자간...
정위수술 Stereotactic neurosurgery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입니다. 췌장두부암.
[화상][과학실험 화상사고][화상과 부동으로 인한 활동장애][화상수술]화상의 종류, 화상의 ...
<단순도뇨 와 수술후 간호> 단순도뇨(Nelaton catheterizatio)와 수술후 간호(Postoperative ...
암의 치료와 간호, 수술, 방사선 요법 A+( 1. 암치료의 목적 2. 수술요법 3. 방사선요법 4. ...
장루간호(수술전,수술후,종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