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신경계 수술의 종류
1. 두개수술(cranial surgery)
2. 척추수술(Spinal surgery)
■ 수술 후 관리
1. Vital signs
2. 의식상태 관찰
3. Neurologic signs & symptoms 관찰
■ 두개강내압이란
1. V/S의 변화
2. 뇌압상승 3대 증상
3. 뇌압상승 관리와 치료 및 간호
■ Monitor body fluid and Electrolytes
■ 감염예방
1. 두개수술(cranial surgery)
2. 척추수술(Spinal surgery)
■ 수술 후 관리
1. Vital signs
2. 의식상태 관찰
3. Neurologic signs & symptoms 관찰
■ 두개강내압이란
1. V/S의 변화
2. 뇌압상승 3대 증상
3. 뇌압상승 관리와 치료 및 간호
■ Monitor body fluid and Electrolytes
■ 감염예방
본문내용
정맥에 압이 가해져서 정맥울혈을 일으켜 유두부종이 발생
3. 뇌압상승 관리와 치료 및 간호
① 뇌조직관류의 유지
ㆍ 대상자에게서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인 서맥, 혈압상승 관찰
ㆍ 두부로부터 정맥혈의 배액을 방해하는 활동은 경정맥압과 두개내압 상승 가능함.
ㆍ pt 머리는 똑바로 가운데 누인후 필요한 경우 경추 collar부목을 사용. 두부를 약간 상승시켜 경정맥 배액 도움. 경정맥을 압박하거나 꼬이게 하면 두개내압 높아지므로 경부의 과도한 회전운동이나 굴곡은 금해야 함.
ㆍ 과도한 둔부의 굴곡은 복부내, 흉부내 압력을 상승시켜 두개내압을 상승
시키므로 금함
ㆍ 과도한 둔부의 굴곡은 복부내, 흉부내 압력 증가->두개내압 상상
ㆍ 배변시 긴장주는 Valsalva수기 금함.
ㆍ 등척성 근육수축 금함(전신혈압상승->두개내압 상승)
ㆍ 흡인 전 반드시 인공호흡기 이용해 100%과다환기 시킴(흡인 1회 15초 이상X)
ㆍ 체위변화에 두개내압 영향 받음
ㆍ 대상자를 돌릴 때 두개내압이 상승되면 회전침상이나 침대보를 사용할 수
있다. 대상자를 돌리는 동안 간호사의 손으로 대상자의 두부를 지지하여
두개내압 상승 최소화.
ㆍ 간호중재동안 두개내압은 25mmHg이상 상승하지 않아야 하고 5분이내에 기준선으로
돌아와야 함
ㆍ 정서적 스트레스 피함. 조용한 환경
ㆍ 복부내, 흉곽내, 두개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복부팽만은 보고 하며 가능한 한
관장과 하제사용은 피함.
② 정상적인 호흡양상의 유지: 대상자 호흡상태 모니터함
전두엽, 뇌중심구조의 압력증가: Cheyne-Stokes 호흡유발
중뇌 압력증가: 과도환기
뇌간의 하부(뇌교, 연수) 압력증가: 호흡 불규칙, 호흡정지
* 과도환기는 뇌혈관을 수축시키고 뇌혈량을 감소시켜 두개내압 감소시킴(이때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은 25-30mmHg유지시킴
③ 기도청결 유지: 기도의 개존유무 사정
분비물의 기도폐쇄->주의깊게 흡인(일시적 두개내압 상승예방, 흡인 전후 산소공급) 산소공급부족으로 인한 저산소증은 뇌관류를 악화. 기침과 긴장 또한 ICP를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함. 폐부위는 적어도 8시간마다 청진하여 파열음이나 울혈부위를 확인한다. 침상머리 부위를 높여 뇌정맥 배액을 돕고 분비물 제거를 용이하게 함.
④ 수분균형유지: 다양한 탈수제제를 투여
Corticosteroid투여하여 뇌부종을 줄이며 수분섭취 제한 ->탈수위험
(탈수사정: 피부긴장도, 점막상태, 요삼투압 모니터)
주입속도 조절장치사용: 수액정맥주입시 빨리 주입되는거 방지함
Mannitol: 이뇨작용(세포내에서 혈관내로 수분을 이동시키므로 순환혈액량 증가->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관찰)
탈수요법 환자: 세심한 구강간호
⑤ 정상적인 배변, 배뇨유지: 소변의 비중와 요당을 측정한다.
Steroid합병증: 고혈당
삼투요법 받는 대상자: 체액상태와 신기능 사정위해 정체 도뇨관 삽입
배변 시 힘주는 것 피하게 함
⑥ 감염예방
뇌실내 도관 삽입환자: 주의깊게 관찰
(건조한 드레싱 유지, 무균법, 배액기구의 연결, 뇌막염의 증상, 증후
<열, 오한, 경부 경직, 두통>)
⑦ 외과적 조절(두개수술)
-집괴제거:Burr hole, 개두술
-뇌척수액 단락수술:뇌실배액, 뇌실-복강 단락, 뇌실-심방 단락
-뇌절제
-두개골 절제
■ Monitor body fluid and Electrolytes
1. check point
①check I/O, 전해질
②CVP
③뇨배설량, 뇨비중
④Hyperglycimia: 다량의 스테로이드와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됨.
⑤Hypervolemia, hypotension : diuretics와 fluid restriction에 의해 야기됨
⑥Hypernatremia
:이뇨제,Na 대체요법, 당뇨, hypothalamic disorder, 고단백질 tube feeding→celluar dehydration, neurologic deterioration
⑦hyponatremia
:SIADH, 이뇨제, GI loss에 의해 야기→뇌부종
2. 관리
-indwelling catheter, intermittent cath.
■ 감염예방
-eye care:eye closing, opthalmic ointment
-oral care: hygiene solution, lip vaselin ointment
-skin care: position change q 2hrs. massage, passive ROM exercise
-URI prevention
-UTI prevention
3. 뇌압상승 관리와 치료 및 간호
① 뇌조직관류의 유지
ㆍ 대상자에게서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인 서맥, 혈압상승 관찰
ㆍ 두부로부터 정맥혈의 배액을 방해하는 활동은 경정맥압과 두개내압 상승 가능함.
ㆍ pt 머리는 똑바로 가운데 누인후 필요한 경우 경추 collar부목을 사용. 두부를 약간 상승시켜 경정맥 배액 도움. 경정맥을 압박하거나 꼬이게 하면 두개내압 높아지므로 경부의 과도한 회전운동이나 굴곡은 금해야 함.
ㆍ 과도한 둔부의 굴곡은 복부내, 흉부내 압력을 상승시켜 두개내압을 상승
시키므로 금함
ㆍ 과도한 둔부의 굴곡은 복부내, 흉부내 압력 증가->두개내압 상상
ㆍ 배변시 긴장주는 Valsalva수기 금함.
ㆍ 등척성 근육수축 금함(전신혈압상승->두개내압 상승)
ㆍ 흡인 전 반드시 인공호흡기 이용해 100%과다환기 시킴(흡인 1회 15초 이상X)
ㆍ 체위변화에 두개내압 영향 받음
ㆍ 대상자를 돌릴 때 두개내압이 상승되면 회전침상이나 침대보를 사용할 수
있다. 대상자를 돌리는 동안 간호사의 손으로 대상자의 두부를 지지하여
두개내압 상승 최소화.
ㆍ 간호중재동안 두개내압은 25mmHg이상 상승하지 않아야 하고 5분이내에 기준선으로
돌아와야 함
ㆍ 정서적 스트레스 피함. 조용한 환경
ㆍ 복부내, 흉곽내, 두개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복부팽만은 보고 하며 가능한 한
관장과 하제사용은 피함.
② 정상적인 호흡양상의 유지: 대상자 호흡상태 모니터함
전두엽, 뇌중심구조의 압력증가: Cheyne-Stokes 호흡유발
중뇌 압력증가: 과도환기
뇌간의 하부(뇌교, 연수) 압력증가: 호흡 불규칙, 호흡정지
* 과도환기는 뇌혈관을 수축시키고 뇌혈량을 감소시켜 두개내압 감소시킴(이때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은 25-30mmHg유지시킴
③ 기도청결 유지: 기도의 개존유무 사정
분비물의 기도폐쇄->주의깊게 흡인(일시적 두개내압 상승예방, 흡인 전후 산소공급) 산소공급부족으로 인한 저산소증은 뇌관류를 악화. 기침과 긴장 또한 ICP를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함. 폐부위는 적어도 8시간마다 청진하여 파열음이나 울혈부위를 확인한다. 침상머리 부위를 높여 뇌정맥 배액을 돕고 분비물 제거를 용이하게 함.
④ 수분균형유지: 다양한 탈수제제를 투여
Corticosteroid투여하여 뇌부종을 줄이며 수분섭취 제한 ->탈수위험
(탈수사정: 피부긴장도, 점막상태, 요삼투압 모니터)
주입속도 조절장치사용: 수액정맥주입시 빨리 주입되는거 방지함
Mannitol: 이뇨작용(세포내에서 혈관내로 수분을 이동시키므로 순환혈액량 증가->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관찰)
탈수요법 환자: 세심한 구강간호
⑤ 정상적인 배변, 배뇨유지: 소변의 비중와 요당을 측정한다.
Steroid합병증: 고혈당
삼투요법 받는 대상자: 체액상태와 신기능 사정위해 정체 도뇨관 삽입
배변 시 힘주는 것 피하게 함
⑥ 감염예방
뇌실내 도관 삽입환자: 주의깊게 관찰
(건조한 드레싱 유지, 무균법, 배액기구의 연결, 뇌막염의 증상, 증후
<열, 오한, 경부 경직, 두통>)
⑦ 외과적 조절(두개수술)
-집괴제거:Burr hole, 개두술
-뇌척수액 단락수술:뇌실배액, 뇌실-복강 단락, 뇌실-심방 단락
-뇌절제
-두개골 절제
■ Monitor body fluid and Electrolytes
1. check point
①check I/O, 전해질
②CVP
③뇨배설량, 뇨비중
④Hyperglycimia: 다량의 스테로이드와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됨.
⑤Hypervolemia, hypotension : diuretics와 fluid restriction에 의해 야기됨
⑥Hypernatremia
:이뇨제,Na 대체요법, 당뇨, hypothalamic disorder, 고단백질 tube feeding→celluar dehydration, neurologic deterioration
⑦hyponatremia
:SIADH, 이뇨제, GI loss에 의해 야기→뇌부종
2. 관리
-indwelling catheter, intermittent cath.
■ 감염예방
-eye care:eye closing, opthalmic ointment
-oral care: hygiene solution, lip vaselin ointment
-skin care: position change q 2hrs. massage, passive ROM exercise
-URI prevention
-UTI preven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