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본방송과 케이블방송
1. 사업전개의 광역화
2. 케이블TV사업자의 전기통신사업에의 전개
3. 외국기업과의 연계촉진
Ⅱ. 일본방송과 민영방송
1. TBS(東京放送)
2. 후지텔레비전
3. 테레비아사히(全國朝日放送)
4. 테레비동경
Ⅲ. 일본방송과 BS디지털방송
Ⅳ. 일본방송과 CS디지털방송
Ⅴ. 일본방송과 디지털위성방송
Ⅵ. 일본방송과 라디오방송
1. 일본 라디오방송의 역사
2. 방송사 종류
1) 공영방송
2) 민영방송
참고문헌
1. 사업전개의 광역화
2. 케이블TV사업자의 전기통신사업에의 전개
3. 외국기업과의 연계촉진
Ⅱ. 일본방송과 민영방송
1. TBS(東京放送)
2. 후지텔레비전
3. 테레비아사히(全國朝日放送)
4. 테레비동경
Ⅲ. 일본방송과 BS디지털방송
Ⅳ. 일본방송과 CS디지털방송
Ⅴ. 일본방송과 디지털위성방송
Ⅵ. 일본방송과 라디오방송
1. 일본 라디오방송의 역사
2. 방송사 종류
1) 공영방송
2) 민영방송
참고문헌
본문내용
디오는 당시 TV권외이던 오전, 저녁, 심야시간대의 확충에 활로를 모색, 와이드프로그램을 다수 신설했다.
1969년 3월 NHK의 FM 본방송 개시에 이어 같은 해 12월 FM에히메 개국, 이듬해 1970년에는 토쿄, 오사카, 후쿠오카에 민방FM국이 개국, 본격적인 FM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1998년 1월 현재, FM민방국은 49개사에 이르게 되었으나 그중에는 영업적으로 어려운 방송국도 있다. 당초 FM국은 모두 음악전문국이었지만 미국처럼 세분화되어 있지 못하고 클래식에서 가요, 민요까지 방송하고 있는 상태이다. 더욱이 드라마나 스포츠중계까지 취급하면서 종합국에 가까운 편성을 하고 있는 곳도 있으며 외국어 방송국도 셋이나 된다.
출력이 10와트 정도 소규모 커뮤니티FM국이 1992년 12월에 탄생한 이래 5년간 전국 88국에 달할 정도로 번성을 보이면서 지역사회에서 활약하고 있다.
2. 방송사 종류
1) 공영방송
일본의 공영방송인 NHK는 라디오 제1방송, 제2방송과 FM방송을 전국대상으로 방송하고 있다.
① 라디오 제1방송
뉴스, 생활정보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자세하게 제공하는 채널로서 생활양태의 다양화와 긴급보도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탄력적인 편성을 실시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은 뉴스, 생활정보프로그램 등이다. 정시 방송시간은 1일 24시간을 기본으로 하여 탄력적으로 방송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지역방송의 하루 평균 방송시간은 2시간 30분 정도이다.
② 라디오 제2방송
음성방송의 특색을 살린 생애학습채널로 체계적인 어학프로그램과 학교방송프로그램, 다양한 교양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전국 동일 프로그램의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평일 50% 정도의 방송시간이 8개 국어의 어학프로그램이다. 정시 방송시간은 하루 18시간 30분이다.
③ FM방송
고음질의 특성을 살린 음악채널로서 클래식 음악을 기본으로 다양한 음악니즈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방송하는 이외에 지역방송도 실시하고 있다. 정시 방송시간은 하루 19시간, 지역방송의 하루 평균 방송시간은 1시간 50분 정도이다.
2) 민영방송
중파국 47개사(텔레비전 겸영 36사), FM국 49개사, 단파국 1개사 등 총 94개사가 라디오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① 중파방송
각 방송국 모두 지역대상 방송을 실시하는 이외에 네트워크에 가맹하여 전국뉴스와 프로야구중계를 방송하고 있다. 대부분의 방송국은 동시에 2개의 네트워크에 가맹하고 있다(크로스네트). 독립국은 4국뿐이다. JPN(Japan Radio Network-동경방송계)은 가맹 33국, NRN(National Radio Network-문화방송, 닛폰방송계)은 39국이 가맹되어 있다.
② 중파스테레오방송
중파방송의 서비스향상을 목표로 중파에 의한 스테레오방송이 실용화되어 1992년 3월15일, 토쿄의 닛폰방송, 문화방송, TBS, 오사카의 아사히방송, 매일방송 등 라디오 5국이 중파에 의한 스테레오방송을 개시했다. 1998년 1월 현재 전국 14국이 스테레오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수신에는 AM스테레오 대응 수신기가 필요하다.
③ 단파방송
일본단파방송이 전국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경제시황, 해외시황 등 경제전문의 와이드정보를 방송하고 있다.
④ FM방송
각 방송국은 지역방송을 실시하는 이외에 네트워크 JFN(Japan FM Network)에 가맹하여 FM의 특성을 살린 음악정보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가맹 34사). 독립국은 11국으로 이 중 동경, 오사카의 각 2국과 수도권 3국의 독립국이 중심이 되어 J-WAVE(Japan FM League)가 결성되었다.
⑤ 커뮤니티방송
커뮤니티방송은 단일지역의 복지, 의료, 경제, 생활, 행정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진흥과 복지의 증진을 꾀하는 FM방송이다. 공중선 전력은 10와트 이하로 출력이 제한되며 전파가 달하는 범위는 5km남짓이다.
참고문헌
▷ 김국진(2000), 일본 디지털위성방송 전망 : CS와 BS,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안창현(2007), 일본, BS디지털방송의 보급 확대와 향후 전망, 미디어미래연구소
▷ 안창현(2004), 생활 밀착형 미디어로 정착 : 일본 : 라디오 방송의 미래, KBS 한국방송
▷ 이승수(2003), 日 110도 CS 디지털방송 사업자 합병 발표, KOTRA
▷ 정윤식(1991), 민영방송의 도입과 정책과제 : 미국, 일본, 유럽의 규제완화정책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한은영(2005), 일본 케이블TV의 현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69년 3월 NHK의 FM 본방송 개시에 이어 같은 해 12월 FM에히메 개국, 이듬해 1970년에는 토쿄, 오사카, 후쿠오카에 민방FM국이 개국, 본격적인 FM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1998년 1월 현재, FM민방국은 49개사에 이르게 되었으나 그중에는 영업적으로 어려운 방송국도 있다. 당초 FM국은 모두 음악전문국이었지만 미국처럼 세분화되어 있지 못하고 클래식에서 가요, 민요까지 방송하고 있는 상태이다. 더욱이 드라마나 스포츠중계까지 취급하면서 종합국에 가까운 편성을 하고 있는 곳도 있으며 외국어 방송국도 셋이나 된다.
출력이 10와트 정도 소규모 커뮤니티FM국이 1992년 12월에 탄생한 이래 5년간 전국 88국에 달할 정도로 번성을 보이면서 지역사회에서 활약하고 있다.
2. 방송사 종류
1) 공영방송
일본의 공영방송인 NHK는 라디오 제1방송, 제2방송과 FM방송을 전국대상으로 방송하고 있다.
① 라디오 제1방송
뉴스, 생활정보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자세하게 제공하는 채널로서 생활양태의 다양화와 긴급보도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탄력적인 편성을 실시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은 뉴스, 생활정보프로그램 등이다. 정시 방송시간은 1일 24시간을 기본으로 하여 탄력적으로 방송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지역방송의 하루 평균 방송시간은 2시간 30분 정도이다.
② 라디오 제2방송
음성방송의 특색을 살린 생애학습채널로 체계적인 어학프로그램과 학교방송프로그램, 다양한 교양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전국 동일 프로그램의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평일 50% 정도의 방송시간이 8개 국어의 어학프로그램이다. 정시 방송시간은 하루 18시간 30분이다.
③ FM방송
고음질의 특성을 살린 음악채널로서 클래식 음악을 기본으로 다양한 음악니즈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방송하는 이외에 지역방송도 실시하고 있다. 정시 방송시간은 하루 19시간, 지역방송의 하루 평균 방송시간은 1시간 50분 정도이다.
2) 민영방송
중파국 47개사(텔레비전 겸영 36사), FM국 49개사, 단파국 1개사 등 총 94개사가 라디오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① 중파방송
각 방송국 모두 지역대상 방송을 실시하는 이외에 네트워크에 가맹하여 전국뉴스와 프로야구중계를 방송하고 있다. 대부분의 방송국은 동시에 2개의 네트워크에 가맹하고 있다(크로스네트). 독립국은 4국뿐이다. JPN(Japan Radio Network-동경방송계)은 가맹 33국, NRN(National Radio Network-문화방송, 닛폰방송계)은 39국이 가맹되어 있다.
② 중파스테레오방송
중파방송의 서비스향상을 목표로 중파에 의한 스테레오방송이 실용화되어 1992년 3월15일, 토쿄의 닛폰방송, 문화방송, TBS, 오사카의 아사히방송, 매일방송 등 라디오 5국이 중파에 의한 스테레오방송을 개시했다. 1998년 1월 현재 전국 14국이 스테레오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수신에는 AM스테레오 대응 수신기가 필요하다.
③ 단파방송
일본단파방송이 전국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경제시황, 해외시황 등 경제전문의 와이드정보를 방송하고 있다.
④ FM방송
각 방송국은 지역방송을 실시하는 이외에 네트워크 JFN(Japan FM Network)에 가맹하여 FM의 특성을 살린 음악정보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가맹 34사). 독립국은 11국으로 이 중 동경, 오사카의 각 2국과 수도권 3국의 독립국이 중심이 되어 J-WAVE(Japan FM League)가 결성되었다.
⑤ 커뮤니티방송
커뮤니티방송은 단일지역의 복지, 의료, 경제, 생활, 행정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진흥과 복지의 증진을 꾀하는 FM방송이다. 공중선 전력은 10와트 이하로 출력이 제한되며 전파가 달하는 범위는 5km남짓이다.
참고문헌
▷ 김국진(2000), 일본 디지털위성방송 전망 : CS와 BS,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안창현(2007), 일본, BS디지털방송의 보급 확대와 향후 전망, 미디어미래연구소
▷ 안창현(2004), 생활 밀착형 미디어로 정착 : 일본 : 라디오 방송의 미래, KBS 한국방송
▷ 이승수(2003), 日 110도 CS 디지털방송 사업자 합병 발표, KOTRA
▷ 정윤식(1991), 민영방송의 도입과 정책과제 : 미국, 일본, 유럽의 규제완화정책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한은영(2005), 일본 케이블TV의 현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추천자료
일본의 위성방송
광고 매체로서 위성방송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공존과 발전에 관한 연구
위성방송에 대해서...
뉴미디어의 대표주자 ‘케이블TV'와 ‘위성방송’
뉴미디어 사례분석 (위성방송, 지상파tv)
[위성방송]위성방송과 통합방송법, 위성방송과 무궁화위성, 위성방송과 아리랑TV, 위성방송과...
[위성방송, 위성방송 성격, 위성방송 지상파재송신]위성방송의 성격, 위성방송의 도입배경, ...
[위성방송, 미국 위성방송, 프랑스 위성방송, 영국 위성방송, 홍콩 위성방송, 말레이시아, 한...
[위성방송, 방송, 편성, 재전송정책, 국제화]위성방송의 개념, 위성방송의 목표, 위성방송의 ...
[위성방송][위성방송과 통신위성][공동수신문제][케이블티비][위성방송 외국사례]위성방송의 ...
케이블과 위성방송, 역사, 가입자수, 산업구조, so, pp, 통계자료, 스카이라이프, 향후 동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