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서장애의 예후
1. 개인
2. 학교
3. 가정
4. 사업체
5. 기타
Ⅱ. 실어증의 예후
1. 뇌 손상 정도
2. 뇌손상 형태
3. 나이
4. 지능
5. 실어증의 성격
6. 자기 교정
7. 성격
8. 치료 시작 시기
9. 다른 언어장애 유무
10. 건강상태
Ⅲ. 췌장암의 예후
Ⅳ. 위암환자의 예후
참고문헌
1. 개인
2. 학교
3. 가정
4. 사업체
5. 기타
Ⅱ. 실어증의 예후
1. 뇌 손상 정도
2. 뇌손상 형태
3. 나이
4. 지능
5. 실어증의 성격
6. 자기 교정
7. 성격
8. 치료 시작 시기
9. 다른 언어장애 유무
10. 건강상태
Ⅲ. 췌장암의 예후
Ⅳ. 위암환자의 예후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존율이 음성군보다 량호한 경향을 나타내서 위암에서는 c-erbB-2 유전자의 transformation 기전이 유방암과는 다른 특이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erbB-2 단백질의 과발현 양성율이 침윤심도와 림프절전이 등이 진행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기와 2기 위암에서 6.7%, 3기 위암에서 10.6%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조기위암에서는 한예도 발현되지 않았다. Toyoshima & Akiyama(1992)의 보고에서 c-erbB-2 단백질 과발현 양성군의 5년생존율은 45%, 음성군은 56.5%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Kikuci et al.(1990)는 총 46예의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c-erbB-2 단백질 과발현 양성군과 음성군의 5년생존율이 전체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3기위암 19예만을 볼때 양성군의 5년생존율이 음성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체 환자의 5년생존율은 c-erbB-2 단백질 발현 양성군이 33%, 음성군이 44%로서 양성군이 다소 불량한 예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3기 위암환자 104예만의 5년생존율 역시 양성군이 21%, 음성군이 28%로서 c-erbB-2 단백질의 과발현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c-erbB-2 단백질 과발현과 위암환자의 예후에 관한 연구 보고 역시 매우 다양해서, Yonemura et al.(1991)와 Takamura et al. (1993)은 독립적 예후인자라고 주장한 반면에 Ohguri et al.(1993)은 예후인자로 인정하지 않았다. 저자의 다변량적 분석에서는 c-erbB-2 단백질의 과발현 양성 여부는 위암 환자의 예후인자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예후인자의 분석은 다양한 림상병리학적 변수와 생존기간과의 중선형회귀분석을 개인용컴퓨터 통계팩키지 ‘SAS’의 ‘PROC LIFEREG\'으로 시행하였는데, 이렇게 해서 얻은 결과는 통계팩키지 ‘BMDP’의 ‘Cox의 비례모형 회귀분석’ 으로 산출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허박, 1991). 이와같이 c-erbB-2 단백질의 과발현 양성 여부는 위암 환자의 예후인자로 볼수 없으나, c-erbB-2 단백질 과발현과 위암의 생물학적 악성도와 밀접한 련관성(Kikuchi et al., 1990), 혈청 c-erbB-2 단백질 농도와 조직표본에서의 단백질 과발현과의 련관성(Kaetsu, 1992), 그리고 c-erbB-2 단백질 과발현 환자의 효과적인 doxorubicin치료(Paik, 1992) 등 으로 미루어 볼때 위암 환자의 수술전 혈액검사와 내시경적 조직검사물의 c-erbB-2 단백질 염색으로 c-erbB-2 단백질 과발현 환자의 수술방법은 물론 수술후 보조료법등의 치료방침을 사전에 결정할수 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한 걸음 나아가서 c-erbB-2 단백질을 단클론항체에의한 위암치료의 표적으로 삼을수 있고(Lofts & Gullick, 1992), 이미 \'gene targeting\'이 실험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Uehara, 1993).
참고문헌
▷ 강순호 외 3명(2003), 췌장암의 예후, 대한외과학회
▷ 김윤지 외 8명(2008), 임상 병기에 따른 췌장암의 생존 기간과 예후 인자, 대한소화기학회
▷ 문성두 외 2명(1993), 제4기 위암환자의 예후, 대한암학회
▷ 이미주(2004), 정서장애학교 교육과정 수정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 최경규(1988), 실어증에 대한 임상적 연구 형태와 예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 한기빈 외 7명(2009), 조기위암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 대한위암학회
참고문헌
▷ 강순호 외 3명(2003), 췌장암의 예후, 대한외과학회
▷ 김윤지 외 8명(2008), 임상 병기에 따른 췌장암의 생존 기간과 예후 인자, 대한소화기학회
▷ 문성두 외 2명(1993), 제4기 위암환자의 예후, 대한암학회
▷ 이미주(2004), 정서장애학교 교육과정 수정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 최경규(1988), 실어증에 대한 임상적 연구 형태와 예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 한기빈 외 7명(2009), 조기위암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 대한위암학회
추천자료
환자-의사관계
폐암환자 간호사례 연구
마사지가 암환자의 성격유형별 수술 전 상태불안과 수면에 미치는 영향 논문 요약정리
<위절제술 환자의 고막체온과 체온불편감에 대한 효과...논문요약자료
암환자 가족
폐렴환자 사례연구
암환자 간호
영양학 환자 식단
(간호)당뇨병 환자의 교육용(당뇨환자의 교육을 위한 워드자료, 당뇨질환에 대한 상세한 설명)
[환자사례 간호과정 -CCU 실습] 이형성 협심증 ; 이형협심증 (Variant angina) 케이스
말기환자의 간호 (사례소개, 논쟁의 중점, 현황 및 판례 소개, 각 분야의 입장 소개, 이론의 ...
간호,case study,성인(병동),위의 악성 신생물 (위암) (Malignant neoplasm of body of stomac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