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강수타령
1. 악곡해설
2. 신민요
3. 경기민요의 특징
4. 장단
5. 음계
6. 한강수타령의 옛 가사
1) 받는 소리
2) 메기는소리
Ⅱ. 신고산타령
Ⅲ. 까투리타령
1. 장끼전의 내용
2. 장끼전의 주제
3. 장끼전의 유래와 명칭
4. 까투리 타령 원문
Ⅳ. 배비장타령
Ⅴ. 새타령
1. 악곡해설
2. 민요와 잡가
1) 민요
2) 잡가
3. 남도민요의 특징
4. 장단
5. 음계
참고문헌
1. 악곡해설
2. 신민요
3. 경기민요의 특징
4. 장단
5. 음계
6. 한강수타령의 옛 가사
1) 받는 소리
2) 메기는소리
Ⅱ. 신고산타령
Ⅲ. 까투리타령
1. 장끼전의 내용
2. 장끼전의 주제
3. 장끼전의 유래와 명칭
4. 까투리 타령 원문
Ⅳ. 배비장타령
Ⅴ. 새타령
1. 악곡해설
2. 민요와 잡가
1) 민요
2) 잡가
3. 남도민요의 특징
4. 장단
5. 음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게 묘사한 노래이다. 새들의 모양을 묘사하는 방법도 한문을 써서 격조있게 표현하기도 하고 새소리를 의성어로 노래하여 듣는 이의 흥취를 자아내기도 한다. 부르는 이에 따라 중중모리로 시작되는 원 새타령으로 바로 들어가기도 하고, 자진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3월 삼짇날 연자 날아들고”로 시작되는 서창(序唱)을 먼저 부르기도 한다.
2. 민요와 잡가
1) 민요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 발생되어 전승, 발전되어온 소박한 노래
2) 잡가
-조선말기에서 20세기 초에 특히 성행하였던 노래의 하나로 전문 예능인 곧 기생, 사당패, 소리꾼과 같은 전문가들이 긴 사설을 기교적 음악어법으로 부르는 노래
3. 남도민요의 특징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는 민요로서 극적이고 굵은 목소리를 눌러서 내는 떠는 소리와 꺾는소리의 시김새가 특징이다. 남도민요에는 새타령, 육자배기, 농부가, 자진농부가. 흥타령, 자진육자배기, 까투리타령, 날개타령, 진도아리랑, 개고리타령, 둥가타령, 강강술래 등이 있다.
4. 장단
-중중모리 장단
5. 음계
-3음음계(미, 라, 시)
새가 날아든다. 왼갖 잡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 만수 문전에 풍년 새
산고곡심 무인처 울림비조 뭇새들이 농춘화담에 짝을 지어 쌍거쌍래 날아든다.
말 잘하는 앵무새 춤 잘 추는 학두루미 솟탱이 쑥국 앵매기 뚜리루 대천에 비우소루기 수삼천 먼 먼길 서황모 청조새 성성제혈 염화지의 귀촉도 불여귀
요서몽을 놀래 깬다.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추호동정 동아든다. 왕배위지 황새
비입심상의 백성가 왕사당전의 저 제비, 양류지담담풍허니 둥둥 떴다 징검이, 낙화고목이 다 썩어난다. 추수장천의 따오기, 쌍마백이 춘풍허니 쌍거쌍래 비둘기, 월분풍에 높이 떠 백리추호 보라매, 범범창파 녹수상의 원불상사 원앙새, 우후정강, 남은 흥을 묻노라 갈매기, 춘삼월미반 독상곡 벌목정정의 때쩌구리, 금자 할미새가 우니 대천에 비우 소로기, 어사부중에 잠들었다 울고 간다 까마귀, 창외문전에 깃들어 작지장강의 까치가 가감실 날아든다. 솟탱이 쑥국 앵매기 뚜리루 대천에 비우 소로기 수리루 루리루리루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저 쑥국새가 울음 운다. 저 쑥국새가 울음 운다. 원산에 앉아 우는 새는 아시랑하게 들리고 근산에 앉아 우는 새는 흠벙지게도 들린다. 이 산으로 가며 쑥국쑥국 저산으로 가며 쑥쑥국 쑥국 에-이-으어 좌우로 울음운다.
저 두견이가 우네 저 두견이가 울러 야우러공산 깊은 밥에 저 두견새 울음 운다. 이 산으로 가며 귀촉도 우- 저 산으로 가며 귀촉도 우-어으 어이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명랑한 새 울음운다 저 황황유가 울음운다. 저 꾀꼬리가 울음 운다. 암데가도 예쁜새 왼갖 소리를 모두 다 하며 바람아 퉁텡 불지마라. 추풍낙엽이 떨어져 명년 삼월이 돌아오면 목동요지가 이 아니냐. 무엇을 물어다 집을 질거나 머리 곱게 빗고 건넌 산 가리요 새 수양 버들가지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수리 루리루 ---이어 어어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저 처량한 새 우네 저 가련한 새 울어 평생의 낭군을 못 잊어 정든 님을 못잊어 이팔 청춘과수가 되어지여 공방 적적 홀로 뚜 공방 적적 홀로 뚜 에이이 어으어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참고문헌
◇ 공미옥(2001), 실전 판소리 장끼타령 연구, 문창어문학회
◇ 배연형(2011), 판소리 새타령의 근대적 변모, 판소리학회
◇ 손인애(2001), 경기민요 한강수타령 연구, 한국고음반연구회
◇ 이노형(2001), <새타령> 연구, 한국어문학회
◇ 임동권(1986), 함경도 민요 “애원성”과 “신고산타령”, 북한연구소
◇ 정충권(2004), <배비장타령> 재고,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 민요와 잡가
1) 민요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 발생되어 전승, 발전되어온 소박한 노래
2) 잡가
-조선말기에서 20세기 초에 특히 성행하였던 노래의 하나로 전문 예능인 곧 기생, 사당패, 소리꾼과 같은 전문가들이 긴 사설을 기교적 음악어법으로 부르는 노래
3. 남도민요의 특징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는 민요로서 극적이고 굵은 목소리를 눌러서 내는 떠는 소리와 꺾는소리의 시김새가 특징이다. 남도민요에는 새타령, 육자배기, 농부가, 자진농부가. 흥타령, 자진육자배기, 까투리타령, 날개타령, 진도아리랑, 개고리타령, 둥가타령, 강강술래 등이 있다.
4. 장단
-중중모리 장단
5. 음계
-3음음계(미, 라, 시)
새가 날아든다. 왼갖 잡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 만수 문전에 풍년 새
산고곡심 무인처 울림비조 뭇새들이 농춘화담에 짝을 지어 쌍거쌍래 날아든다.
말 잘하는 앵무새 춤 잘 추는 학두루미 솟탱이 쑥국 앵매기 뚜리루 대천에 비우소루기 수삼천 먼 먼길 서황모 청조새 성성제혈 염화지의 귀촉도 불여귀
요서몽을 놀래 깬다.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추호동정 동아든다. 왕배위지 황새
비입심상의 백성가 왕사당전의 저 제비, 양류지담담풍허니 둥둥 떴다 징검이, 낙화고목이 다 썩어난다. 추수장천의 따오기, 쌍마백이 춘풍허니 쌍거쌍래 비둘기, 월분풍에 높이 떠 백리추호 보라매, 범범창파 녹수상의 원불상사 원앙새, 우후정강, 남은 흥을 묻노라 갈매기, 춘삼월미반 독상곡 벌목정정의 때쩌구리, 금자 할미새가 우니 대천에 비우 소로기, 어사부중에 잠들었다 울고 간다 까마귀, 창외문전에 깃들어 작지장강의 까치가 가감실 날아든다. 솟탱이 쑥국 앵매기 뚜리루 대천에 비우 소로기 수리루 루리루리루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저 쑥국새가 울음 운다. 저 쑥국새가 울음 운다. 원산에 앉아 우는 새는 아시랑하게 들리고 근산에 앉아 우는 새는 흠벙지게도 들린다. 이 산으로 가며 쑥국쑥국 저산으로 가며 쑥쑥국 쑥국 에-이-으어 좌우로 울음운다.
저 두견이가 우네 저 두견이가 울러 야우러공산 깊은 밥에 저 두견새 울음 운다. 이 산으로 가며 귀촉도 우- 저 산으로 가며 귀촉도 우-어으 어이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명랑한 새 울음운다 저 황황유가 울음운다. 저 꾀꼬리가 울음 운다. 암데가도 예쁜새 왼갖 소리를 모두 다 하며 바람아 퉁텡 불지마라. 추풍낙엽이 떨어져 명년 삼월이 돌아오면 목동요지가 이 아니냐. 무엇을 물어다 집을 질거나 머리 곱게 빗고 건넌 산 가리요 새 수양 버들가지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수리 루리루 ---이어 어어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저 처량한 새 우네 저 가련한 새 울어 평생의 낭군을 못 잊어 정든 님을 못잊어 이팔 청춘과수가 되어지여 공방 적적 홀로 뚜 공방 적적 홀로 뚜 에이이 어으어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참고문헌
◇ 공미옥(2001), 실전 판소리 장끼타령 연구, 문창어문학회
◇ 배연형(2011), 판소리 새타령의 근대적 변모, 판소리학회
◇ 손인애(2001), 경기민요 한강수타령 연구, 한국고음반연구회
◇ 이노형(2001), <새타령> 연구, 한국어문학회
◇ 임동권(1986), 함경도 민요 “애원성”과 “신고산타령”, 북한연구소
◇ 정충권(2004), <배비장타령> 재고,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