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커뮤니케이션] 시각커뮤니케이션의 기초(중요성,과정)와 시각커뮤니케이션이론(게슈탈트이론,기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각커뮤니케이션] 시각커뮤니케이션의 기초(중요성,과정)와 시각커뮤니케이션이론(게슈탈트이론,기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각커뮤니케이션

Ⅰ. 시각커뮤니케이션의 기초

1.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2. 시각커뮤니케이션의 과정
3. 눈
4. 두뇌

Ⅱ. 시각커뮤니케이션 이론

1. 게슈탈트 이론
1) 이론의 주요 내용
2) 이론의 평가
2. 기호학
1) 소쉬르의 기호학
2) 퍼스의 기호학
3) 이미지 연구와 평가

본문내용

이나 문화적 영향력을 별로 고려하지 않는다. 시각적인식이 너무 발리 발생해서 이미지를 해석하기 위해 기억을 사용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이론은 이미지 해석에서 문화가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함에도 불구하고 그 같은 설명에는 미흡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감각과 지각 과정을 설명하기보다는 이들 과정을 묘사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비판도 받는다.
2) 기호학
기호학은 기호와 기호가 뜻하는 의미의 관계를 연구한다. 언어적 분석을 포함하여 이미지 연구에도 체계적인 틀을 제공한다. 앞서 말했듯이 이미지의 지각 이론을 대표한다. 기호학을 semiology라고 할 때는 소쉬르(Saussure) 또는 유럽 학풍과 연관이 있고, semiotics라고 지칭할 때는 퍼스Peirce 또는 미국 쪽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
(1) 소쉬르의 기호학
먼저 소쉬르의 기호학을 살펴보자. 모든 기호는 기표(단어)와 기의(개념이나 의미)로 구성된다. 단어를 말하는 소리가 기표에 해당된다면 그 소리에 의한 개념이 기의가 된다. 이에 대해서 바르트는 1950년대 중반에 프랑스 신문에 다음과 같은 기고를 했다. "기표와 기의의 1단계에서만 의미화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단계에서 의미 발생이 일어날 수 있다. "1단계의 의미가 겉으로 드러난 것(외연 denotation)이라면, 2단계의 의미는 속에 깊이 감추고 있는 것(내포 connot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바르트는 이 같은 2단계에서의 의미 발생을 신화라고 부른다.
여기서 신화란 사회에 널리 퍼져 있는 지배적인 사상, 즉 지배 이데올로기로 파악된다.
- 2단계의 의미화 -
또한 소쉬르에 의하면 말은 시간이 흐르면서 전개되므로 한 번에 하나의 기호만 발생시키며, 의미를 생성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순서에 의한 의미 발생이다(통합체 syntagm). "나는 먹는 것을 본다"와 "나는 보는 것을 먹는다."가 그러한 사례에 속한다. 또 다른 의미 발생은 여러 기호 가운데 하나의 기호를 선택함으로써 발생한다(계열체 paradigm). 나는 맥주를 마신다가 "나는 와인을 마신에서 맥주와 와인 가운데 무엇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려진다. 이 같은 의미 발생의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해석할 수 있다. 슈퍼마켓의 진열장에 가 보면 상품의 진열은 계열체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라면 선반에 가면 많은 라면이 선택되기를 기다리지 않는 라면과 계란, 파 등이 함께 놓인다면 통합체적 배열이 되겠지만 자신이 입고 있는 옷도 심벌로서 의미를 전달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옷의 의미도 왜 반바지가 아닌 짧은 치마를 입었는지(계열체), 짧은 치마에 하얀 운동화를 신었는지(통합체)에 대해 의미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광고의 이미지도 분석될 수 있다. 화장품 광고에서 왜 야구 선수가 아니고 연예인을 선택했는지(계열체), 그 연예인을 왜 하얀 백사장에 놓았는지(통합체) 등등. 이처럼 광고 이미지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연구로는 주디스 월리 엄슨(Judith Williamson)의 <광고의 해독 Decod Advertisements>이 있다.
이 같은 기호학은 다양한 시각적 문화를 분석하는 데 적용되었다. 패션, 길거리 표지판, 텔레비전 프로그램, 록 음악, 빌딩 등.
(2) 퍼스의 기호학
퍼스의 기호학은 소쉬르의 연구에 덧붙여서 다양한 기호의 종류를 소개한다. 아이콘icon, 인덱스index, 심벌symbol. 아이콘은 기의와 모양이 발은 기호를 의미한다. 지도와 사진이 대표적 사례에 속한다. 그리고 화장실의 남녀를 표시하기 위한 그림, 또는 컴퓨터 화면에 등장하는 휴지통이 해당된다.
아이콘은 원래 그 아이콘을 전혀 보지 못했던 사람에게도 의미가 전달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그런 사례는 거의 없다. 대체로 학습 결과 아이콘이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의성어가 그렇다. '꼬끼오'라는 소리는 우리 국민한테나 통용되는 밝 우는 소리지, 서구인에게는 이 의미가 전달되기 어렵다.
인덱스는 인과 관계에 의해 기표와 기의가 결정되는 기호이다. 상식과 논리에 의해 연결된다. 달에 찍힌 발자국은 인간이 달에 착륙했다는 의미. 맛이 간 목소리는 술 취했다는 인덱스이고, 값비싼 보석은 부의 인덱스가 된다. 이처럼 인덱스를 해석하는 것은 세상에 대한 지식과 연결되어서 사람마다 해석이 다를 수 있다. 갑순이가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을 보고 의사가 해석하는 의미와 일반인이 보는 의미가 다르듯이.
심벌은 모양이나 논리적 연결이 없는 경우를 뜻한다. 따라서 기표와 기의의 의미 관계는 임의적이고 관습적이기 때문에 교육되어야 한다. 그 같은 점에서 사회적 또는 문화적 영향력을 가장 많이 받는 기호이다. 단어, 숫자, 제스처, 깃발, 대부분의 로고가 이에 해당된다.
(3) 이미지 연구와 평가
기호학은 화용론pragmatics, 의미론semantics, 구문론syntactics을 포함한다. 화용론은 기호의 기원이나 사용하는 법, 또는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연구한다. 의미론은 문화에서 기호의 중요성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이에 비해 구문론은 기호의 복합적인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해 기호가 합쳐지는 방식은 실명한다. 이미지를 연구할 때는 기호가 합쳐서 의미를 전달하므로 구문론이 보다 관련이 있다. 이같이 기호가 합쳐져 연결된 연상을 코드라고 하는데, 보통 네 종류가 있다. 환유 코드, 유사 코드, 대체 코드, 압축 코드. 기호학은 무엇보다 시각적 메시지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나아가서 그 같은 구성이 수용자에게 어떤 의미로 해석될 것인지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미지에 대한 통찰력이 제고될 수 있다. 다만 기호학적 접근은 단순화되고 지엽적인 분석에 그쳐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한 지나치게 심층 구조에 초점을 맞춘다는 지적을 받는다. 따라서 표피 구조도 심층 구조 못지않게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설명에 대한 체계적 틀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이미지 분야뿐만 아니라 광고의 언어적 분석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심층 구조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