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무역 국제항공운송실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로벌무역 국제항공운송실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과 같은 기 본적인 증권이다.
(3) 항공회사가 발행하는 항공화물운송장과 혼재업자가 발행하는 항공화물운송장을 구분하기 위해 항공회사가 혼재화물을 커버하기 위해 발행하는 운송장을 Master Air Waybill이라 하며, 혼재업자가 개별 송하인의 화물에 대해서 발행 하는 Air Bill은 House Air Waybill 또는 House Waybill이라고 부른다.
2) 항공화물운송장의 성질
(1) B/L과는 달리 단순한 화물운송장이지 유가증권은 아니다.
(2) 수취식이고 원칙적으로 기명식이며 비유통성(비양도성)이다.
운송인이 항공운송을 하기 위하여 운송품을 수취하였을 때 발행하는 화물수취증 이지만 유가증권은 아니고, 수취식으로서 원칙적으로 기명식이고 비유통성이다.
<표> Air Waybill과 Bill of Lading의 차이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
선하증권(Bill of Lading)
유가증권이 아닌 단순한 화물수취증
비유통성(Non-Negotiable)
기명식
수취식(창고에서 수취하고 AWB발행)
수령증권이 아님
송하인이 작성
유가증권
유통성(Negotiable)
지시식(무기명식)
선적식(본선 선적후 B/L발행)
수령증권
운송인(선사)이 작성
3) 항공화물운송장의 발행
항공화물운송장은 항공운송인의 청구에 따라 송하인이 작성, 제출하는 것이 원칙이지 만 항공사나 항공사의 권한을 위임받은 대리점(또는 항공운송주선업자)에 의하여 발 행되는 것이 통례이다.
4) 항공화물운송장의 기능
① 운송계약서
AWB는 송하인과 항공운송인간의 항공운송계약의 성립을 입증하는 운송계약서
운송장은 12통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全通이 모두 운송계약서는 아니며 송하인용 및 원본이 이에 해당됨
② 화물수취증
항공운송인이 송하인으로부터 화물을 수취한 것을 증명하는 화물 수령증의 성격
③ 요금계산서
화물과 함께 목적지에 보내져 수하인이 운임 및 요금을 계산하는 근거자료로 사용
④ 보험계약증서
송하인이 AWB에 보험금액 및 보험가액을 기재한 화주보험(Air Waybill)을 부보 한 경우에는 AWB의 원본 No.3이 보험계약의 증거가 됨
⑤ 세관신고서
수출입신고서 및 통관자료로서 사용
⑥ 화물운송의 지시서
AWB에 송하인이 화물의 운송, 취급, 인도에 관한 지시를 기재할 수 있음
5) 항공화물운송장의 구성
(1) 원본 3장과 부본 6장으로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항공사에 따라서 부본을 5장 까지 추가할 수 있다. 대한항공의 항공화물운송장은 원본 3장 부본 9장, 합계 12장으 로 구성되며 화물화물운송장의 매수는 항공사의 필요에 따라 정해진다.
(2) 원본과 사본은 그 사용목적이 명시되어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해당되는 원본이 나 부본을 뜯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3) 부본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항공화물운송장 부본을 복 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6) 항공화물운송장의 작성의 일반원칙
1) 항공운송장에 기록되는 문자와 숫자는 라틴문자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고 사용문자는 영어, 불어,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라틴문자외에 다 른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 영어를 병기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작성된 항공운송장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때는 원본과 사본 전체에 대 해서 수정 또는 추가해야 한다. 화물이 수송되는 도중이나 목적지에서 이와 같은 수정이나 추가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잔여분에 대한 수정이나 추가 내용이 반영되어야 한다.
3) 화물운송장을 작성할 때는 Typing을 하고 Block Letter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 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Hand Writing하기도 하는데 어떤 경우이든 원본과 사 본 전체가 명확히 복사되도록 유의하여 작성해야 한다.
※ 항공화물운송장 번호
항공화물운송장 번호는 상단 좌우와 하단 우측에 명기되어 있으며 IATA Carrier 3 Digit Code와 7단위의 일련번호 및 7진법에 의한 Check Digit로 구성된다.
(例) 1 8 0 - 1 2 3 4 5 6 7 5
----- ------------- --
| | |
| | Check Digit(7진법 사용)
| Serial Number
IATA Carrier 3 Digit Code
7. 항공운송관련 국제조약 및 기구
1) 사법관계 국제조약
국제간의 여객, 수화물 및 화물의 운송에 있어서 사법관계를 규정한 것이다.
(1) 바르샤바 조약(Warsaw Convention)
(2) 헤이그 의정서(Hague Protocol)
(3) 몬트리올 협정(Montreal Agreement)
(4) 과다라하라(Guadalajara) 조약
(5) 과테말라(Guatemala) 의정서
(6) 몬트리올 제1제2제3제4 의정서
2) 바르샤바조약(Warsaw Convention) 및 Hague Protocol
(1) 1929년에 Warsaw에서 성립, 1933년 2월 13일 발효되었으며 정식명칭은 The Convention for the Unification of Certain Rules relating to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of Air(국제항공운송에 관한 통일조약)이다.
(2) 우리나라의 경우
1929년의 Warsaw Convention에는 가입하지 않았으나 1955년의 Hague Protocol 에는 가입하였음. 즉, 1963년에 헤이그 의정서에 가입비준하고, 1967년 10월 11일 대통령에 의하여 조약 제259호로 이를 공포하여 이 때부터 효력이 발생함 으로써 개정협약이 적용되어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갖게 되었다.
3) Montreal Agreement
(1) IATA(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 국제항공운송협회)가 미국정부와 직접 교섭은 하지 않고 미국을 출발, 도착, 경유하는 항공회사들의 회의에서 합의한 협정을 Montreal Agreement(몬트리올 협정)라 한다.
(2) Hague 의정서와 Montreal 협정의 책임한도액 차이를 보면 헤이그 의정서는 여객 1인당 US$20,000인데 반해 몬트리올 협정은 US$ 75,000(소송비용 포함)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