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금리스프레드
Ⅱ. 금리중시통화정책
Ⅲ. 은행대출금리
1. 은행대출금리 운용체계
2. 최근 은행의 대출금리 운용현황
1) 프라임레이트의 기준금리 역할 저하
2) 대출금리 결정에 있어 시장금리의 역할 증대
3. 자금의 성격 및 신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금리결정기준 활용
4. 가산금리 결정도 신용등급에 따라 차등화
5. 대출금 중도상환 수수료 부과
Ⅳ. 금리리스크(금리위험)
1. Measurement를 이용하는 방법
1) 개념
2) 갭분석
3) 듀레이션분석
4) Convexity
2. 시나리오분석
1) 시나리오분석의 정의
2) 시나리오분석의 시행절차
3) 금리리스크 측정
4) 금리시나리오의 설정
5) 시나리오분석의 장, 단점
3. VAR
1) VAR의 개요
2) VAR 측정
3) VAR의 장점
4) VAR의 한계
Ⅴ. 금리인하
Ⅵ. 실질금리
참고문헌
Ⅱ. 금리중시통화정책
Ⅲ. 은행대출금리
1. 은행대출금리 운용체계
2. 최근 은행의 대출금리 운용현황
1) 프라임레이트의 기준금리 역할 저하
2) 대출금리 결정에 있어 시장금리의 역할 증대
3. 자금의 성격 및 신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금리결정기준 활용
4. 가산금리 결정도 신용등급에 따라 차등화
5. 대출금 중도상환 수수료 부과
Ⅳ. 금리리스크(금리위험)
1. Measurement를 이용하는 방법
1) 개념
2) 갭분석
3) 듀레이션분석
4) Convexity
2. 시나리오분석
1) 시나리오분석의 정의
2) 시나리오분석의 시행절차
3) 금리리스크 측정
4) 금리시나리오의 설정
5) 시나리오분석의 장, 단점
3. VAR
1) VAR의 개요
2) VAR 측정
3) VAR의 장점
4) VAR의 한계
Ⅴ. 금리인하
Ⅵ. 실질금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써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소비심리를 회복시키는 한편
주택자금 대출금리의 하향안정화를 통해 최근 둔화조짐을 보이고 있는 주택부문의 경기견인력을 유지시키는 효과 기대
□ 다른 한편으로 페더럴펀드금리가 1% 가까운 수준까지 하락함으로써 추가적인 금리인하 여력이 크게 소진된 점은 시장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이번 금리인하가 미국경제의 기조적 흐름을 바꿀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을 갖기 어려운 데 주로 기인
o 또한 미국 금리인하의 영향은 주로 주식시장을 통해 우리 경제에 파급될 것으로 보이는데
그 동안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를 호재로 미국 증시가 상당폭 상승하여 추가 상승 가능성이 크지 않음에 따라
국내주가의 하락을 방지하는 요인은 되겠으나 적극적으로 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는 어려울 전망
Ⅵ. 실질금리
□ 최근 일부에서는 지난해 10월 이후 實質金利가 3배 이상 급등함으로써 기업의 부담이 가중되어 景氣回復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경기회복을 촉진하고 기업 및 금융기관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短期金利를 연 3.8% 수준까지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
― 실질금리를 회사채수익률에서 전년동기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차감하여 산출하고 동 금리가 2.77%에서 2월에는 8.39%로 상승한 것을 근거로 실질금리가 3배 이상 상승하였다고 주장
□ 그러나 한 시점의 名目金利에서 전년동기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차감하여 계산한 실질금리를 기준으로 두 시점의 실질금리를 비교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실질금리가 3배 이상 올라 경기회복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주장은 적절치 못한 것으로 판단됨
◇ 전년동기비 물가상승률은 전년동기의 물가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제 일정 기간동안 물가 수준이 변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비교대상이 되는 전년 동기간중의 물가변동이 심하면 물가상승률이 크게 변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음
― 실제로 소비자물가는 외환위기 직후부터 98년 초까지 급등한 후 최근까지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2월부터 2월까지 소비자물가 수준이 급등한 데 영향을 받아 전년동기 기준 소비자물가상승률은 7.2%에서 0.2%로 7.0%p나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비자물가지수는 각각 118.6 및 118.4로서 기간 중 실제 소비자물가는 0.2% 하락하는 데 그쳤음
― 한편 이 기간중 명목회사채수익률은 10.0%에서 8.6%로 1.4%포인트(수준으로는 14%) 낮아졌기 때문에 동 기간중 실질금리는 오히려 1.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볼 수 있음
실질금리 변동
회사채수익률(%)
소비자물가지수
실질회사채수익률
2011
10.0
118.6
2012
8.6
118.4
변동폭
-1.4%p(A)
-0.2%(B)
-1.2%p(A-B)
⇒ 명목금리에서 전년동기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차감한 금리를 실질금리로 보고 동 금리가 가장 낮았던 때를 비교하여 실질금리가 3배 이상 오른 것으로 보는 것은 사실을 誤導
◇ 앞으로의 투자나 소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적 의미(ex-ante)의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향후의 期待物價上昇率을 차감하여 산출하여야 함
― 그러나 기대물가상승률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전년 동기비 물가상승률을 기대물가상승률의 대용변수로 하여 실질금리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는 지난 1년간의 물가변동 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한 것임
― 따라서 2월의 실질금리로 산출된 8.39%가 의미를 가지려면 동 계산에 이용된 전년동기 대비 물가상승률 0.2%가 앞으로의 기대물가상승률로 타당한지를 검토해보아야 하는데
지난 30년간의 고물가 시대를 지내오면서 형성된 높은 기대물가수준이 단기간에 쉽게 낮아지기 어려운 데다 앞으로 경기회복이 가시화될 경우 물가 상승이 예상되기 때문에 0.2%를 금년중 기대물가상승률로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됨
실제로 금년도 物價目標(3±1%)는 금년 1/4분기중에는 전년동기비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는 점을 감안하여 설정
⇒ 금년중 예상되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할 때 현재의 금리수준이 유지된다 하더라도 금년중 實質金利가 實質經濟成長率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 특히 리스크 프리미엄이 포함되어 있는 회사채수익률 대신 無危險資産인 國庫債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하고 동 금리가 현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연중 실질금리는 실질 경제성장률과 대체로 균형을 이룰 것으로 예상
* 국고채수익률(6.7%)금년중 물가목표 3%(3±1%의 중간수준) = 3.7%(금년도 실질경제성장률 전망치 3.2%)
** 회사채 및 국고채 금리는 경기회복 기대, 동일인 발행 회사채보유 한도제 실시, 투신사 단기공사채형 투자신탁의 장기채 편입 제한 검토 보도 등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최근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한편 명목금리에서 전년동기비 물가상승률을 차감한 실질금리를 기존 차입자들이 과거 1년간 부담한 사후적(ex-post) 개념으로 간주할 수도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특정 시점(예: 특정월)이 아닌 상당한 期間中(over the time horizon)의 평균 개념을 활용해야 함
― 예를 들어 2월의 시점에서 볼 때 1년전 자금을 차입한 사람이 부담하는 실질금리는 2월의 차입금리가 아니라 2월의 차입금리에서 최근 1년동안의 물가변동률을 차감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음
― 다만 경제전체로는 차입이 계속 발생하고 그 시점마다 차입금리와 물가상승률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사후적인 실질금리를 계산하는 경우 명목금리와 물가상승률을 연중 평균치 기준으로 산출하는 것이 타당
참고문헌
박현준(2008), 실질금리의 기간구조와 기대 인플레이션, KAIST
이명활(2001), 금리인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한국개발연구원
이창열(2006), 금리중시 통화정책의 유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장광수(1986), 은행대출금리의 고객별차등화 방안, 전국은행연합회
최남진(2011), 금리스프레드의 변동성이 소비 및 투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허성하(2001), 자산운용에 따른 금리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주택자금 대출금리의 하향안정화를 통해 최근 둔화조짐을 보이고 있는 주택부문의 경기견인력을 유지시키는 효과 기대
□ 다른 한편으로 페더럴펀드금리가 1% 가까운 수준까지 하락함으로써 추가적인 금리인하 여력이 크게 소진된 점은 시장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이번 금리인하가 미국경제의 기조적 흐름을 바꿀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을 갖기 어려운 데 주로 기인
o 또한 미국 금리인하의 영향은 주로 주식시장을 통해 우리 경제에 파급될 것으로 보이는데
그 동안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를 호재로 미국 증시가 상당폭 상승하여 추가 상승 가능성이 크지 않음에 따라
국내주가의 하락을 방지하는 요인은 되겠으나 적극적으로 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는 어려울 전망
Ⅵ. 실질금리
□ 최근 일부에서는 지난해 10월 이후 實質金利가 3배 이상 급등함으로써 기업의 부담이 가중되어 景氣回復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경기회복을 촉진하고 기업 및 금융기관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短期金利를 연 3.8% 수준까지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
― 실질금리를 회사채수익률에서 전년동기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차감하여 산출하고 동 금리가 2.77%에서 2월에는 8.39%로 상승한 것을 근거로 실질금리가 3배 이상 상승하였다고 주장
□ 그러나 한 시점의 名目金利에서 전년동기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차감하여 계산한 실질금리를 기준으로 두 시점의 실질금리를 비교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실질금리가 3배 이상 올라 경기회복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주장은 적절치 못한 것으로 판단됨
◇ 전년동기비 물가상승률은 전년동기의 물가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제 일정 기간동안 물가 수준이 변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비교대상이 되는 전년 동기간중의 물가변동이 심하면 물가상승률이 크게 변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음
― 실제로 소비자물가는 외환위기 직후부터 98년 초까지 급등한 후 최근까지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2월부터 2월까지 소비자물가 수준이 급등한 데 영향을 받아 전년동기 기준 소비자물가상승률은 7.2%에서 0.2%로 7.0%p나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비자물가지수는 각각 118.6 및 118.4로서 기간 중 실제 소비자물가는 0.2% 하락하는 데 그쳤음
― 한편 이 기간중 명목회사채수익률은 10.0%에서 8.6%로 1.4%포인트(수준으로는 14%) 낮아졌기 때문에 동 기간중 실질금리는 오히려 1.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볼 수 있음
실질금리 변동
회사채수익률(%)
소비자물가지수
실질회사채수익률
2011
10.0
118.6
2012
8.6
118.4
변동폭
-1.4%p(A)
-0.2%(B)
-1.2%p(A-B)
⇒ 명목금리에서 전년동기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차감한 금리를 실질금리로 보고 동 금리가 가장 낮았던 때를 비교하여 실질금리가 3배 이상 오른 것으로 보는 것은 사실을 誤導
◇ 앞으로의 투자나 소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적 의미(ex-ante)의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향후의 期待物價上昇率을 차감하여 산출하여야 함
― 그러나 기대물가상승률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전년 동기비 물가상승률을 기대물가상승률의 대용변수로 하여 실질금리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는 지난 1년간의 물가변동 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한 것임
― 따라서 2월의 실질금리로 산출된 8.39%가 의미를 가지려면 동 계산에 이용된 전년동기 대비 물가상승률 0.2%가 앞으로의 기대물가상승률로 타당한지를 검토해보아야 하는데
지난 30년간의 고물가 시대를 지내오면서 형성된 높은 기대물가수준이 단기간에 쉽게 낮아지기 어려운 데다 앞으로 경기회복이 가시화될 경우 물가 상승이 예상되기 때문에 0.2%를 금년중 기대물가상승률로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됨
실제로 금년도 物價目標(3±1%)는 금년 1/4분기중에는 전년동기비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는 점을 감안하여 설정
⇒ 금년중 예상되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할 때 현재의 금리수준이 유지된다 하더라도 금년중 實質金利가 實質經濟成長率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 특히 리스크 프리미엄이 포함되어 있는 회사채수익률 대신 無危險資産인 國庫債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하고 동 금리가 현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연중 실질금리는 실질 경제성장률과 대체로 균형을 이룰 것으로 예상
* 국고채수익률(6.7%)금년중 물가목표 3%(3±1%의 중간수준) = 3.7%(금년도 실질경제성장률 전망치 3.2%)
** 회사채 및 국고채 금리는 경기회복 기대, 동일인 발행 회사채보유 한도제 실시, 투신사 단기공사채형 투자신탁의 장기채 편입 제한 검토 보도 등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최근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한편 명목금리에서 전년동기비 물가상승률을 차감한 실질금리를 기존 차입자들이 과거 1년간 부담한 사후적(ex-post) 개념으로 간주할 수도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특정 시점(예: 특정월)이 아닌 상당한 期間中(over the time horizon)의 평균 개념을 활용해야 함
― 예를 들어 2월의 시점에서 볼 때 1년전 자금을 차입한 사람이 부담하는 실질금리는 2월의 차입금리가 아니라 2월의 차입금리에서 최근 1년동안의 물가변동률을 차감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음
― 다만 경제전체로는 차입이 계속 발생하고 그 시점마다 차입금리와 물가상승률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사후적인 실질금리를 계산하는 경우 명목금리와 물가상승률을 연중 평균치 기준으로 산출하는 것이 타당
참고문헌
박현준(2008), 실질금리의 기간구조와 기대 인플레이션, KAIST
이명활(2001), 금리인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한국개발연구원
이창열(2006), 금리중시 통화정책의 유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장광수(1986), 은행대출금리의 고객별차등화 방안, 전국은행연합회
최남진(2011), 금리스프레드의 변동성이 소비 및 투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허성하(2001), 자산운용에 따른 금리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추천자료
경제학-스왑(개념,발전,금리,통화,변형스왑)
과거 5년 동안 우리나라의 시중이자율(실세금리) 추이를 경제상황과 결부
[물가][물가지수][물가안정][물가변동][물가동향][임금]물가지수, 물가안정, 물가변동, 물가...
[경제학] 미국의 금리인하가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콜금리변화로 인한 현상
환율물가금리간의평가관계
금리위험의 측정과 관리
[환율][환률][수출입][수출][수입][자본이동][주가][금리][금리평가]환율의 표시방법, 환율의...
콜금리 인하가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
이자율과 환율 관계, 정책, 효과, 영향, 국제수지 변화, 통화량, 물가, 주가, 이자율 미치는 ...
현재가치와 미래가치의 차이와 사례를 들어보고 10년후 우리나라의 금리를 예측해 보세요.
[증권회사][증권사][증권]증권회사(증권사) 역사, 규제, 증권회사(증권사) 위험관리(리스크관...
[거시금융정책] 금융감독기능 강화 (은행감독방법, 효과적인 감독체제) 금융감독체계의 개편,...
[신한은행 신용 리스크 관리]신한은행 성장과정,국제결제은행 (BIS),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