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용범위
2. 시험목적
3. 시험용 기구
4. 용기의 검정
5. 시 료
6. 다짐봉을 사용하는 시험 방법(Rodding procedure)
7. 충격을 이용하는 시험방법(지깅시험, Jigging procedure)
8. 삽(Shovel)을 사용하는 방법
9. 시험 결과
10. 참고사항
2. 시험목적
3. 시험용 기구
4. 용기의 검정
5. 시 료
6. 다짐봉을 사용하는 시험 방법(Rodding procedure)
7. 충격을 이용하는 시험방법(지깅시험, Jigging procedure)
8. 삽(Shovel)을 사용하는 방법
9. 시험 결과
10. 참고사항
본문내용
한다.
온도 ℃
단위 용적 중량 ㎏/㎥
온도 ℃
단위 용적 중량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000.00
999.99
999.96
999.93
999.87
999.80
999.73
999.63
999.52
999.40
999.27
999.12
998.97
998.80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998.62
998.43
998.23
998.02
997.80
997.56
997.32
997.07
996.81
996.54
996.26
995.97
995.67
-
10. 참고사항
1) 삽을 사용하는 시험방법은 다지지 않았을 경우로 현장에서 골재중량을 용적으로 환산할 때 쓰며, 다짐대 시험 및 지깅 시험방법은 다졌을 경우이고 공극률을 계산할 때도 이용한다.
2) 시료중의 함수량 측정
골재의 함수량이 1%를 넘을 경우는 시료 중의 함수량을 측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이 함수량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
① 용기에 넣어서 중량을 측정한 시료로부터 4분법 또는 시료채취기를 사용하여 함수량 측정을 위한 시료를 채취한다. 그 양은 대략 다음과 같다.
골재의 종류
시료량
잔골재
500g
굵은골재
최대치수 25㎜이하인 것
1,000g
최대치수 25㎜이상인 것
2,500g
② 채취한 시료의 중량을 정확히 달고 105±5℃에서 일정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실온까지 식힌 다음 다시 무게를 단다.
③ 시료의 함수량이 1%이하라고 생각될 때는 함수량의 측정은 생략해도 좋다.
3) 보고서를 작성할 때는 다음 사항을 기재한다.
① 단위용적중량
② 시험의 다짐방법(다짐대, 지깅, 삽 등)
③ 함수량의 측정 유무.
11. 참고문헌
1) 정일영,한천구,정상진, “건축재료실험”, 형설출판사, 1999. 8.
2) 김무한, “구조재료실험”, 문운당, 2000. 1.
3) 김무한,신현식,김문한, “건축재료학”, 문운당, 2000. 1.
4) 한국산업규격, “열간 압연 강판 및 강대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KS D 3500)”, 1991.
5) 한국산업규격,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KS D 3501)”, 1999. 8.
6) 한국산업규격, “골재의 단위 용적 중량 및 공극률 시험 방법(KS F 2505)”, 1997. 4.
7) 한국건설정보시스템 http://www.cn.co.kr
8) 한국산업규격 http://standard.ksa.or.kr
온도 ℃
단위 용적 중량 ㎏/㎥
온도 ℃
단위 용적 중량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000.00
999.99
999.96
999.93
999.87
999.80
999.73
999.63
999.52
999.40
999.27
999.12
998.97
998.80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998.62
998.43
998.23
998.02
997.80
997.56
997.32
997.07
996.81
996.54
996.26
995.97
995.67
-
10. 참고사항
1) 삽을 사용하는 시험방법은 다지지 않았을 경우로 현장에서 골재중량을 용적으로 환산할 때 쓰며, 다짐대 시험 및 지깅 시험방법은 다졌을 경우이고 공극률을 계산할 때도 이용한다.
2) 시료중의 함수량 측정
골재의 함수량이 1%를 넘을 경우는 시료 중의 함수량을 측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이 함수량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
① 용기에 넣어서 중량을 측정한 시료로부터 4분법 또는 시료채취기를 사용하여 함수량 측정을 위한 시료를 채취한다. 그 양은 대략 다음과 같다.
골재의 종류
시료량
잔골재
500g
굵은골재
최대치수 25㎜이하인 것
1,000g
최대치수 25㎜이상인 것
2,500g
② 채취한 시료의 중량을 정확히 달고 105±5℃에서 일정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실온까지 식힌 다음 다시 무게를 단다.
③ 시료의 함수량이 1%이하라고 생각될 때는 함수량의 측정은 생략해도 좋다.
3) 보고서를 작성할 때는 다음 사항을 기재한다.
① 단위용적중량
② 시험의 다짐방법(다짐대, 지깅, 삽 등)
③ 함수량의 측정 유무.
11. 참고문헌
1) 정일영,한천구,정상진, “건축재료실험”, 형설출판사, 1999. 8.
2) 김무한, “구조재료실험”, 문운당, 2000. 1.
3) 김무한,신현식,김문한, “건축재료학”, 문운당, 2000. 1.
4) 한국산업규격, “열간 압연 강판 및 강대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KS D 3500)”, 1991.
5) 한국산업규격,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KS D 3501)”, 1999. 8.
6) 한국산업규격, “골재의 단위 용적 중량 및 공극률 시험 방법(KS F 2505)”, 1997. 4.
7) 한국건설정보시스템 http://www.cn.co.kr
8) 한국산업규격 http://standard.ksa.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