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굴렁쇠놀이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Ⅱ.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실뜨기놀이
1. 승부방법
2. 놀이규칙
3. 지도 단계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지도효과
5. 자료 및 유의점
Ⅲ.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말타기(말뚝박기)
1. 지도내용
2. 교육적 효과
Ⅳ.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고누놀이
1. 민속 놀이명
2. 지도 목표
3. 지도 과정
1) 1단계 지도
2) 2단계 지도
3) 3단계 지도
Ⅴ.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공기놀이
1. 코끼리공기
2. 바보공기
1) 한 알 집기
2) 두 알, 세 알, 네 알 집기
3) 꺾기
3. 다섯알공기
1) 한 알 집기(초집기)
2) 두 알 집기(두집기)
3) 세 알 집기(세집기)
4) 네 알 집기(막집기)
5) 고추장
6) 꺾기
4. 묘기공기(강가부리)
1) 한 알 집기
2) 두 알 집기
3) 세 알 집기
4) 네 알 집기
5) 꺾기
5. 터널공기
1) 한 알 집기
2) 두 알 집기
3) 세 알 집기
4) 네 알 집기
5) 꺾기
6. 많은 공기
참고문헌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Ⅱ.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실뜨기놀이
1. 승부방법
2. 놀이규칙
3. 지도 단계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지도효과
5. 자료 및 유의점
Ⅲ.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말타기(말뚝박기)
1. 지도내용
2. 교육적 효과
Ⅳ.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고누놀이
1. 민속 놀이명
2. 지도 목표
3. 지도 과정
1) 1단계 지도
2) 2단계 지도
3) 3단계 지도
Ⅴ.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공기놀이
1. 코끼리공기
2. 바보공기
1) 한 알 집기
2) 두 알, 세 알, 네 알 집기
3) 꺾기
3. 다섯알공기
1) 한 알 집기(초집기)
2) 두 알 집기(두집기)
3) 세 알 집기(세집기)
4) 네 알 집기(막집기)
5) 고추장
6) 꺾기
4. 묘기공기(강가부리)
1) 한 알 집기
2) 두 알 집기
3) 세 알 집기
4) 네 알 집기
5) 꺾기
5. 터널공기
1) 한 알 집기
2) 두 알 집기
3) 세 알 집기
4) 네 알 집기
5) 꺾기
6. 많은 공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참고누 : 중심을 같이 하는 4각형을 3개 또는 그 이상 그려 대각선과 가운데를 직선으로 연결한다.
③ 호박고누 : H자의 가운데를 길게 하여 사 이에 을 그려 놓은 형태로 그린다.
*자세한 모양은 민속 놀이 자료집을 참고로 한다.
3) 3단계 지도
(1) 고누두기 연습-각 고누별 움직일 수 있는 길로 가보기, 후퇴하지 않기, 상대방과 차례로 1번씩 움직여 본다. 네줄고누와 참고누는 상대방의 말을 내말 사이에 끼워 잡아먹는다. 호박고누는 상대방의 말을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사람이 이긴다.
(2) 고누 경기하기-가위, 바위, 보를 하여 이긴 사람이 먼저 시작하되 한 번에 1칸씩 움직여 규칙에 따라 상대방의 말을 따먹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승부를 정한다.
Ⅴ.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공기놀이
1. 코끼리공기
가. 손 모양을 코끼리 코처럼 만들고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공깃돌을 집어서 손바닥 안에 넣는다.
나. 두 알 집기는 공깃돌을 두 개, 세 알 집기는 세 개를 포개어 넣는다.
다. 꺾기는 공깃돌을 던져서 손등 위에 올려놓고 다시 위로 잡는다.
라. 꺾기에서 자기가 잡은 알의 개수가 자기 나이가 된다.
2. 바보공기
1) 한 알 집기
공깃돌 한 알을 위로 던진 다음 바닥에 있는 한 알을 얼른 집는다. 위로 던진 공깃돌이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집으면 된다.
2) 두 알, 세 알, 네 알 집기
한 알 집기와 마찬가지로 한 알을 던지고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두 알, 세 알, 네 알을 한 번에 집는다.
3) 꺾기
코끼리 공기와 같다.
3. 다섯알공기
1) 한 알 집기(초집기)
한 알을 위로 던지고 바닥에 있는 공깃돌을 집은 다음 떨어지는 공기를 집는다. 이와 같이 바닥에 있는 돌을 하나씩 모두 집으면 한 알 집기가 끝난다.
2) 두 알 집기(두집기)
이번에는 두 알씩 두 번 집는다.
3) 세 알 집기(세집기)
세 알을 집고 나서 한 알을 집는다.
4) 네 알 집기(막집기)
네 알을 손에 집고 한 알을 위로 올린 다음 바닥에 모아 놓고 떨어지는 한 알을 잡는다. 다음에는 한 알을 위로 올리고 네 알을 한꺼번에 잡는다.
5) 고추장
네 알을 손안에 놓은 상태에서 한 알을 위로 올리고 바닥을 찍으면서 ‘고추장’하고 떨어지는 한 알을 잡는다.
6) 꺾기
코끼리 공기와 같다.
4. 묘기공기(강가부리)
손안에 있는 공깃돌을 모두 올리는 것이 기본 다섯알 공기와 다른 점이다.
1) 한 알 집기
한 알을 집고 손안에 든 두 알을 모두 올려 다음 알을 잡고 다시 세 알을 모두 올려 한 알을 잡고 다시 네 알을 올린 다음 한 알을 집는다.
2) 두 알 집기
한 알 집기와 마찬가지로 두 알을 집고 세 알을 모두 올린 다음 두 알을 집는다.
3) 세 알 집기
세 알을 집고 네 알을 모두 올린 다음 집는다.
4) 네 알 집기
네 알을 땅에 놓고 집는다.
5) 꺾기
기본 다섯알 공기와 같다.
5. 터널공기
왼손을 바닥에 대고 터널을 만든 다음 공기를 그 안에 밀쳐 넣는 것이 기본 다섯알 공기와 다르다.
1) 한 알 집기
한 알씩 터널 안에 네 번 밀어 넣는다. 터널 안에 있는 네 알을 모두 한꺼번에 집는다.
2) 두 알 집기
두 알씩 두 번 밀어 넣은 다음 터널을 열고 모두 집는다.
3) 세 알 집기
세 알과 한 알을 두 차례에 걸쳐 넣고 모두 집는다.
4) 네 알 집기
네 알을 땅에 놓고 한 번에 밀어 넣고 모두 집는다.
5) 꺾기
기본 다섯알 공기와 같다.
6. 많은 공기
공깃돌을 200 - 300알 정도 주워서 땅 위에 쏟아 놓는다. 순서를 정하고 이긴 쪽부터 한 알을 떼어내고 그것을 공중에 던져 올린 뒤 두 알부터 다섯 알까지 마음대로 집어 받아낸다. 도중에 다른 공깃돌을 건드리거나 던져 올린 돌을 못 받으면 죽는다. 공깃돌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하고 나서 많은 공깃돌을 모은 편이 이긴다.
참고문헌
1. 박성진, 굴렁쇠 굴리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2009
2. 신명숙 외 2명,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석치기, 윷놀이, 고누놀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003
3. 실뜨기 탐험대 저, 구계관 역, 머리가 좋아지는 재미있는 실뜨기, 미세기, 2010
4. 이선애, 김종석 외 2명,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한 놀이지도, 창지사, 2013
5. 편집부, [민속]활쏘기와 말타기,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991
6. 편해문, 공기놀이의 전승 모습과 아이들의 공기놀이 현장, 실천민속학회, 2003
③ 호박고누 : H자의 가운데를 길게 하여 사 이에 을 그려 놓은 형태로 그린다.
*자세한 모양은 민속 놀이 자료집을 참고로 한다.
3) 3단계 지도
(1) 고누두기 연습-각 고누별 움직일 수 있는 길로 가보기, 후퇴하지 않기, 상대방과 차례로 1번씩 움직여 본다. 네줄고누와 참고누는 상대방의 말을 내말 사이에 끼워 잡아먹는다. 호박고누는 상대방의 말을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사람이 이긴다.
(2) 고누 경기하기-가위, 바위, 보를 하여 이긴 사람이 먼저 시작하되 한 번에 1칸씩 움직여 규칙에 따라 상대방의 말을 따먹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승부를 정한다.
Ⅴ. 연중놀이(전통놀이, 민속놀이) 사례 공기놀이
1. 코끼리공기
가. 손 모양을 코끼리 코처럼 만들고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공깃돌을 집어서 손바닥 안에 넣는다.
나. 두 알 집기는 공깃돌을 두 개, 세 알 집기는 세 개를 포개어 넣는다.
다. 꺾기는 공깃돌을 던져서 손등 위에 올려놓고 다시 위로 잡는다.
라. 꺾기에서 자기가 잡은 알의 개수가 자기 나이가 된다.
2. 바보공기
1) 한 알 집기
공깃돌 한 알을 위로 던진 다음 바닥에 있는 한 알을 얼른 집는다. 위로 던진 공깃돌이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집으면 된다.
2) 두 알, 세 알, 네 알 집기
한 알 집기와 마찬가지로 한 알을 던지고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두 알, 세 알, 네 알을 한 번에 집는다.
3) 꺾기
코끼리 공기와 같다.
3. 다섯알공기
1) 한 알 집기(초집기)
한 알을 위로 던지고 바닥에 있는 공깃돌을 집은 다음 떨어지는 공기를 집는다. 이와 같이 바닥에 있는 돌을 하나씩 모두 집으면 한 알 집기가 끝난다.
2) 두 알 집기(두집기)
이번에는 두 알씩 두 번 집는다.
3) 세 알 집기(세집기)
세 알을 집고 나서 한 알을 집는다.
4) 네 알 집기(막집기)
네 알을 손에 집고 한 알을 위로 올린 다음 바닥에 모아 놓고 떨어지는 한 알을 잡는다. 다음에는 한 알을 위로 올리고 네 알을 한꺼번에 잡는다.
5) 고추장
네 알을 손안에 놓은 상태에서 한 알을 위로 올리고 바닥을 찍으면서 ‘고추장’하고 떨어지는 한 알을 잡는다.
6) 꺾기
코끼리 공기와 같다.
4. 묘기공기(강가부리)
손안에 있는 공깃돌을 모두 올리는 것이 기본 다섯알 공기와 다른 점이다.
1) 한 알 집기
한 알을 집고 손안에 든 두 알을 모두 올려 다음 알을 잡고 다시 세 알을 모두 올려 한 알을 잡고 다시 네 알을 올린 다음 한 알을 집는다.
2) 두 알 집기
한 알 집기와 마찬가지로 두 알을 집고 세 알을 모두 올린 다음 두 알을 집는다.
3) 세 알 집기
세 알을 집고 네 알을 모두 올린 다음 집는다.
4) 네 알 집기
네 알을 땅에 놓고 집는다.
5) 꺾기
기본 다섯알 공기와 같다.
5. 터널공기
왼손을 바닥에 대고 터널을 만든 다음 공기를 그 안에 밀쳐 넣는 것이 기본 다섯알 공기와 다르다.
1) 한 알 집기
한 알씩 터널 안에 네 번 밀어 넣는다. 터널 안에 있는 네 알을 모두 한꺼번에 집는다.
2) 두 알 집기
두 알씩 두 번 밀어 넣은 다음 터널을 열고 모두 집는다.
3) 세 알 집기
세 알과 한 알을 두 차례에 걸쳐 넣고 모두 집는다.
4) 네 알 집기
네 알을 땅에 놓고 한 번에 밀어 넣고 모두 집는다.
5) 꺾기
기본 다섯알 공기와 같다.
6. 많은 공기
공깃돌을 200 - 300알 정도 주워서 땅 위에 쏟아 놓는다. 순서를 정하고 이긴 쪽부터 한 알을 떼어내고 그것을 공중에 던져 올린 뒤 두 알부터 다섯 알까지 마음대로 집어 받아낸다. 도중에 다른 공깃돌을 건드리거나 던져 올린 돌을 못 받으면 죽는다. 공깃돌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하고 나서 많은 공깃돌을 모은 편이 이긴다.
참고문헌
1. 박성진, 굴렁쇠 굴리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2009
2. 신명숙 외 2명,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석치기, 윷놀이, 고누놀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003
3. 실뜨기 탐험대 저, 구계관 역, 머리가 좋아지는 재미있는 실뜨기, 미세기, 2010
4. 이선애, 김종석 외 2명,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한 놀이지도, 창지사, 2013
5. 편집부, [민속]활쏘기와 말타기,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991
6. 편해문, 공기놀이의 전승 모습과 아이들의 공기놀이 현장, 실천민속학회, 2003
추천자료
민속놀이 교수학습 과정안
강강술래에 관한 고찰... (민속학, 놀이)
고대의 놀이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놀이 문화
한국 유아놀이문화의 현실과 해결
구비문학-민속극론(탈춤,인형극,발탈놀이)
[민속예술]영남지역 탈놀이의 언어매체 분석 및 지역적 특성
[꼭두각시놀음][박첨지놀이][꼭두각시놀음 기원론][박첨지놀이 유래]꼭두각시놀음의 기원론, ...
3)체육-여러 가지 민속 놀이하기(제기차기, 투호놀이)(중안)
[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의 축제적 재구성, 위도띠뱃놀이(띠뱃놀이)...
[고누놀이][고누놀이 정의][고누놀이 기원][고누놀이 종류][고누놀이 방법][고누놀이와 놀이]...
[공기놀이][공기놀이 유래][공기놀이 종류][공기놀이 특징][공기놀이 준비물]공기놀이의 유래...
[연희][거리굿 연희][마을굿 연희][민속극 연희][박첨지놀이 연희]거리굿의 연희, 마을굿의 ...
양주별산대놀이_양주별산대놀이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