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 개념, 약력,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의의, 다리재간,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 다리기술응용,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과 스모, 한국 민속놀이 씨름 방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 개념, 약력,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의의, 다리재간,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 다리기술응용,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과 스모, 한국 민속놀이 씨름 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개념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약력
1. 씨름의 시대별 역사
1) 삼한시대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5) 근대시대
2. 씨름의 기원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의의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다리재간
1. 안낚시(일명 안낚걸리, 안거리, 안우걸이, 안목걸이, 안다리걸이, 앞다리걸기)
2. 바깥다리(일명 밧낚걸이, 바깥낚걸이, 뒷다리걸이, 바깥다리걸기)
3. 들낚시(일명 들어걸이)
4. 안다리후리기(일명 안다리 훅치기)
5. 바깥다리후리기
6. 바로 뒤집기
7. 외로 뒤집기
8. 안걸어젖히기
9. 살걸이
10. 연장걸이
11. 맞걸이
12. 모두걸이
13. 발등걸이
14. 종다리집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다리기술응용
1. 밭다리 걸기→밭다리 후리기
2. 밭다리 후리기→안다리 걸기
3. 오금 걸이→안다리 걸기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과 스모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방법
1. 준비물
2. 인원
3. 방법 및 활동 내용
1) 앉은 씨름
2) 외다리 씨름
3) 줄 씨름
4) 통씨름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대의 중심이 뒤로 기울어지도록 밀어 넘어뜨린다. 이 때 넘어지지 않게 되면 다시 오른발을 뒤로 빼어 서서 준비 자세를 취한다.
밭다리 걸기가 실패로 끝나면 신속하게 왼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상대의 오른발이 왼발 앞으로 나와 있는 순간을 이용하여 오른다리로 상대의 오른다리를 감아 후려 밭다리 후리기로 상대를 넘어뜨린다. 이 기술을 시계 바늘의 반대 방향으로 상대의 중심을 이동시켜 걸고, 특히 상대를 왼쪽으로 회전시킬때 그 탄력을 이용해야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다리를 후리며 감아 올려야 한다.
2. 밭다리 후리기→안다리 걸기
밭다리 후리기는 \"바깥다리 후리기\" 라고도 하며 \"밭다리 걸기\" 와 같은 기술의 하나이다. 상대의 오른다리가 공격자의 왼발 앞으로 접근할 때. 공격자는 왼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달 샅바고리를 잡은 왼손과 허리 샅바를 잡은 오른손으로 상대의 상체를 오른쪽으로 돌린다. 이 때 밭다리 후리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속하게 오른발을 뒤쪽으로 빼었다가 다시 오른다리를 상대의 왼다리 안쪽으로 붙이면서 걸어 젖혀 안다리 걸기로 넘어뜨린다. 안다리 걸기는 씨름 경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다리 기술의 하나로 공격자는 항상 몸의 규형과 중심을 잘 유지하고 고리를 힘차게 잡아당겨야 한다.
3. 오금 걸이→안다리 걸기
오금 걸이는 맞배지기의 싸움에서 힘으로 할 때, 오른다리로 상대의 오른오금을 안쪽으로 걸어 온 힘을 다하여 밀어 젖힌다. 이 때 신속하게 오금 걸이를 했던 오른다리를 상대의 왼다리 안쪽으로 붙이면서 걸어 젖혀 안다리 걸기로 넘어뜨린다.
공격자는 하상 몸의 균형과 중심을 잘 유지하고 고리를 힘차게 잡아당겨야 한다.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과 스모
씨름과 스모의 차이에서는 닮았으되 닮지 않은 두 나라 국민성이 엿보인다. 한국의 씨름은 3판 2승 또는 5판 3승으로 승부를 가르지만 일본의 스모는 한판으로 끝난다.
한번의 실수는 누구나 저지를 수 있다는 너그러움의 씨름과, 패자에게는 군소리가 필요 없다는 담백함의 스모랄까.
게다가 씨름은 백두급, 한라급등 이렇게 체급의 차이가 있지만 이를 인정치 않는 스모에서는 덩치가 크든 작든 강자만이 살아남는다. 스모의 심판은 절대적인 존재이다. 설사 그릇된 판정이 내려지는 한이 있더라도 다소곳이 따른다. 씨름에서는 왕왕 거칠게 어필하는 선수를 발견하는 수가 있다.
오랜 세월 절대자의 한마디에 복종해온 길들여진 민족과, 자기주장이 강한 민족의 차이일수도 있다. 그래서인지 스모 선수들은 이기든 지든 표정의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씨름에서의 승자는 포효하는데 반해서. 본심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사람과 다혈질의 기질 차이다.
의식의 유무도 크게 다르다.
스모는 두 선수가 맞붙는 시간보다 시합 전의 요란한 의식에 훨씬 공을 들인다. 양은 적어도 요모조모 아기자기하게 모양을 내어 \'눈으로 먹는다\' 는 일본음식과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차려야 직성이 풀리는 한국음식의 차이가 스포츠에도 적용된 듯 하다. 본래 씨름판에는 스모의 도효와 같은 경계가 없었다.
자연스럽게 빙 둘러쳐진 구경꾼들의 울타리 넘어서면 제자리로 돌아와 다시 붙었다. 이처럼 승패를 가르는 선의 있고 없음을 두고 섬나라 일본과, 대륙으로 이어진 한국의 지정학적 차이를 거론하는 이들도 있다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방법
1. 준비물
샅바
2. 인원
2명이상
3. 방법 및 활동 내용
1) 앉은 씨름
일정한 크기의 원안에 두 사람이 들어가 앉아 서로 원 밖으로 밀어 내거나 엉덩방아를 찧게 한다.
2) 외다리 씨름
일정한 크기의 원안에 두 사람이 들어가서 앙감질로 서서 몸과 몸을 부딪쳐서 원 밖으로 밀어내거나 넘어뜨린다. 다리를 잡은 손이 떨어지게 해도 된다.
3) 줄 씨름
다리를 어깨너비 정도 벌려 두 사람이 마주 보고 서서 줄을 당겼다 늦추었다 하여 상대의 발이 떨어지도록 하는 경기이다.
4) 통씨름
두 사람이 서로가 상대방의 허리에 맨 샅바를 맞잡고 여러 가지 방법을 써서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경기이다.
참고문헌
- 김성율, 씨름의 의의와 특성, 경남대학교, 1985
- 민상근, 씨름의 원류와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2010
- 이완희, 한국씨름의 체육적 고찰, 청주교육대학교, 1970
- 장지영, 한국 씨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증 분석, 인하대학교, 2007
- 정운화, 한국 민속씨름의 현안진단과 재건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2006
- 정상태, 울산의 전통적 놀이 문화 씨름, 울산발전연구원, 2011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