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난과 빈곤
2. 자기 책임론의 허구와 효과
3. 빈곤의 악순환
4. 맺음말
2. 자기 책임론의 허구와 효과
3. 빈곤의 악순환
4. 맺음말
본문내용
험(실직, 질병, 재해 등)에 대한 안전망이 없는 사회이다. 이런 사회의 구성원들은 하나둘씩 사회 밖으로 쫓겨나서 언젠가는 그 사회 자체가 붕괴될 것이라고 본다. 이 사회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말한 사회적 ‘밑천’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사회적 ‘밑천’이 적은 사람이 10이라는 노력을 했을 때와 사회적 ‘밑천’이 많은 사람이 10이라는 노력을 했을 때 그 결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이렇게 사회적 ‘밑천’이 적은 사람들이 낙오하는 것에 속수무책인 사회는 건강한 사회가 아니다. 건강한 사회는 사회적 ‘밑천’이 적은 사람들의 성장을 돕는 사회이다.
죽을 각오로 노력해라. 많이 듣는 이야기이다. 실패했다는 것은 그만큼 노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기의 책임이다. 하지만 개인의 행복이 없는 사회는 의미가 없지 않을까? 죽을힘을 다해 일한 결과 불행한 사람이 더 늘어날 수 있다. 사회가 빈곤에 빠진 사람들을 등한시할 때 더 많은 돈이 들 것이다. 즉, 사회는 돈 때문에 인간다운 생활을 못하는 사람들을 등한시한 결과 나중에 그들 때문에 더 많은 돈을 들여야 할 것이다. 인간으로 이루어진 사회에서 인간을 무시하는 사회는 잘 될 이유가 없다.
죽을 각오로 노력해라. 많이 듣는 이야기이다. 실패했다는 것은 그만큼 노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기의 책임이다. 하지만 개인의 행복이 없는 사회는 의미가 없지 않을까? 죽을힘을 다해 일한 결과 불행한 사람이 더 늘어날 수 있다. 사회가 빈곤에 빠진 사람들을 등한시할 때 더 많은 돈이 들 것이다. 즉, 사회는 돈 때문에 인간다운 생활을 못하는 사람들을 등한시한 결과 나중에 그들 때문에 더 많은 돈을 들여야 할 것이다. 인간으로 이루어진 사회에서 인간을 무시하는 사회는 잘 될 이유가 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