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식생활 관리의 의의 및 목적
제 1절 식생활의 변천사
1. 원시시대의 식생활
2. 고대~근세의 식생활
3. 근대의 식생활
4. 현대의 식생활
5. 한국음식의 특징
6. 양념과 고명
제 1절 식생활의 변천사
1. 원시시대의 식생활
2. 고대~근세의 식생활
3. 근대의 식생활
4. 현대의 식생활
5. 한국음식의 특징
6. 양념과 고명
본문내용
. 전약
12월
그믐
1. 골무병 2. 주악 3. 정과 4. 잡과 5. 식혜 6. 수정과
7. 떡국, 만두 8. 골동반 9. 완자탕 10. 갖은 전골 11. 장김치
6. 양념과 고명
1) 양념
- 음식을 만들 때에 식품이 지닌 고유한 맛을 살리면서 음식마다 특유한 맛을 내는데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양념이라 한다.
- ‘먹어서 몸에 약처럼 이롭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여러 가지를 골고루 넣어 만든다’. 는 뜻이 있다.
<조미료>
- 조미료는 기본적으로 짠맛,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의 다섯 가지 기본 맛을 내는 것들로, 음식에 따라 이 조미료들을 적당히 혼합하여 알맞은 맛을 내는 것이다.
- 한국 음식의 조미료에는 소금, 간장, 고추장, 된장, 식초, 설탕 등이 있다.
- 특히 우리나라 음식은 한 가지 음식에 적어도 대여섯 가지 조미료를 넣어 만들므로 다른 나라 음식들과 비교하여 보면 독특한 맛을 낸다.
<향신료>
- 향신료는 자체가 좋은 향기가 나거나 매운맛, 쓴맛, 고소한 맛 등을 내는 것들이다.
- 식품 자체가 지닌 좋지 않은 냄새를 없애거나 감소시키고, 또한 특유한 향기로 음식의 맛을 더욱 좋게 한다.
- 한국 음식의 향신료에는 생강, 겨자, 후추, 고추, 참기름, 들기름, 깨소금, 파, 마늘 ,천초 등이 있다.
2) 고명
- 음식을 보고 아름답게 느끼어 먹고 싶은 마음을 갖도록 음식의 맛보다 색을 좋게 하기 위해 장식하는 것
- 한국 음식의 색깔은 오행설에 바탕을 두어, 붉은색, 녹색, 노란색, 흰색, 검정색의 오색이 기본
<기본양념과 고명 식품>
기본 오미
식품
오색 고명
식품
짠맛
단맛
신맛
매운맛
쓴 맛
소금, 간장, 된장,고추장
설탕, 꿀, 조청, 엿
식초, 감귤류의 즙
고추, 겨자, 천초, 후추
생강
붉은색
녹색
노란색
흰색
검정색
고추, 대추, 당근
미나리, 호박, 오이, 실파
달걀노른자
달걀흰자
석이버섯, 목이버섯, 표고버섯
- 올바른 식생활의 역할은 우리 몸을 좋은 영양상태가 되도록 유지해 주고 건강한 신체유지와 지적 능력을 발휘하며 여러 가지 긴장이나 자극에도 적절히 대응 할 수 있게 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한다.
- 식생활의 기능으로는 생리적, 정신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기능이 있다.
- 바람직한 식생활관리를 통해 가정의 경제상태, 가족의 기호를 충족시키면서도 위생적이고 균형 잡힌 식사를 가능하게 하여 가족의 건강을 유지하여야 한다.
12월
그믐
1. 골무병 2. 주악 3. 정과 4. 잡과 5. 식혜 6. 수정과
7. 떡국, 만두 8. 골동반 9. 완자탕 10. 갖은 전골 11. 장김치
6. 양념과 고명
1) 양념
- 음식을 만들 때에 식품이 지닌 고유한 맛을 살리면서 음식마다 특유한 맛을 내는데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양념이라 한다.
- ‘먹어서 몸에 약처럼 이롭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여러 가지를 골고루 넣어 만든다’. 는 뜻이 있다.
<조미료>
- 조미료는 기본적으로 짠맛,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의 다섯 가지 기본 맛을 내는 것들로, 음식에 따라 이 조미료들을 적당히 혼합하여 알맞은 맛을 내는 것이다.
- 한국 음식의 조미료에는 소금, 간장, 고추장, 된장, 식초, 설탕 등이 있다.
- 특히 우리나라 음식은 한 가지 음식에 적어도 대여섯 가지 조미료를 넣어 만들므로 다른 나라 음식들과 비교하여 보면 독특한 맛을 낸다.
<향신료>
- 향신료는 자체가 좋은 향기가 나거나 매운맛, 쓴맛, 고소한 맛 등을 내는 것들이다.
- 식품 자체가 지닌 좋지 않은 냄새를 없애거나 감소시키고, 또한 특유한 향기로 음식의 맛을 더욱 좋게 한다.
- 한국 음식의 향신료에는 생강, 겨자, 후추, 고추, 참기름, 들기름, 깨소금, 파, 마늘 ,천초 등이 있다.
2) 고명
- 음식을 보고 아름답게 느끼어 먹고 싶은 마음을 갖도록 음식의 맛보다 색을 좋게 하기 위해 장식하는 것
- 한국 음식의 색깔은 오행설에 바탕을 두어, 붉은색, 녹색, 노란색, 흰색, 검정색의 오색이 기본
<기본양념과 고명 식품>
기본 오미
식품
오색 고명
식품
짠맛
단맛
신맛
매운맛
쓴 맛
소금, 간장, 된장,고추장
설탕, 꿀, 조청, 엿
식초, 감귤류의 즙
고추, 겨자, 천초, 후추
생강
붉은색
녹색
노란색
흰색
검정색
고추, 대추, 당근
미나리, 호박, 오이, 실파
달걀노른자
달걀흰자
석이버섯, 목이버섯, 표고버섯
- 올바른 식생활의 역할은 우리 몸을 좋은 영양상태가 되도록 유지해 주고 건강한 신체유지와 지적 능력을 발휘하며 여러 가지 긴장이나 자극에도 적절히 대응 할 수 있게 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한다.
- 식생활의 기능으로는 생리적, 정신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기능이 있다.
- 바람직한 식생활관리를 통해 가정의 경제상태, 가족의 기호를 충족시키면서도 위생적이고 균형 잡힌 식사를 가능하게 하여 가족의 건강을 유지하여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