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관
2. 도구의 구성
3. 실시
4. 해석
5. TAT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성
2. 도구의 구성
3. 실시
4. 해석
5. TAT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성
본문내용
도덕적, 사회적 이탈행동)
비난 회피의 욕구 : 불명예나 비난을 두려워하여 잘못을 삼감
존경과 복종의 욕구 : 타인에 복종, 명령에 순응 암시나 권위에 협조(복종 : 타인의 소망, 제안, 권고를 받아들임 / 존경 : 찬미와 존경의 표현, 타인업적 인정)
재난 회피의 욕구 : 파괴나 위험, 죽음을 두려워하고 걱정
방어의 욕구 : 공격, 비난, 비평으로부터 자신을 방어
은둔의 욕구 : 외부접촉을 회피, 은둔
불가침의 욕구 : 자존심 손상과 박탈을 방어, 좋은 평판위해 심리적 거리 유지
해독 회피의 욕구 : 불쾌한 감각을 회피함
<4단계> 주인공이 관심을 표현하고 있는 대상을 분석한다.
- 반응 내용 가운데 주인공에게 긍정적, 부정적 감정을 일으키는 사물, 활동, 사람, 관념을 찾아본다.
<5단계> 주인공의 내적 심리 상태를 분석한다.
- 이야기 속에서 주인공이 경험하는 내적심리적 상태가 발생하는 환경 자극과 그것이 해결되는 방식이 분석되어야한다. 심리적 행복 상태, 갈등상태, 비관적 상태로 구별한다.
<6단계> 주인공의 행동이 표현되는 방식을 분석한다.
- 주인공이 환경적 힘에 자극되었거나 자극되고 있을 때 반응하는 행동 방식을 검토한다.
<7단계> 일의 결말을 분석한다.
- 욕구와 압력 관계에 의해 상환의 결말이 행복한가, 불행한가, 성공인가, 실패인가, 문제가 해결 됐는가, 욕구가 충족됐는가에 중점을 둠
5. TAT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성
1) 정신분열증
- 이야기 구조의 와해, 일관된 주제의 결여, 불합리하고 기괴한 요소, 상반되는 내용, 인물들은 감정의 깊이가 결여되어 있으며 고립되어 있거나 철수되어있다.
2) 우울증
- 사고가 위축되어있고 반응과 언어가 느리고 정동이 가라앉아있다. 이야기는 대개 자살하고, 고립감, 거부당함, 무가치함 등에 관한 주제를 포함한다.
3) 경조증
- 언어의 방출에 대한 압력, 사고의 비약, 다행증 등으로 이야기를 대단히 빨리 한다. 내용상 우울, 죄책감, 분노, 무기력 등이 부인되고 유쾌함, 평온함, 좋은 감정 등이 교대로 출현한다.
4) 히스테리성 성격
- 정서적 가변성(공포스럽거나 예쁜 장면들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이 급변하여 나타남), 언어적으로 서술 자료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고, 이야기가 양가적이다. 피상적이고 성적인 내용이 많이 나타난다.
5) 강박 장애
- 이야기가 길고 수정을 많이 한다. 어떤 경우에는 객관적으로 나타는 세부적인 것만 기술하고 이야기를 만들 수 없다고 하기도 한다. 내용도 주로 인물들의 주저와 망설임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고, 주제도 부지런함과 복종, 완벽함이 강조된다.
6) 편집증
- 회피적이고 검사의 목적을 의심한다. 이야기가 자기 개인적인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이야기가 매우 간결하며 의심과 방어적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불신, 교활함, 사악한 외부의 힘 강조, 갑작스런 인물변화 등이 나타난다.
7) 불안 상태
- 이야기가 간결하고, 행동이 극적이며, 강박적이다. 양자택일의 상황이 자주 나타난다. 갈등, 욕구 좌절, 비극 등이 흔히 나타난다.
비난 회피의 욕구 : 불명예나 비난을 두려워하여 잘못을 삼감
존경과 복종의 욕구 : 타인에 복종, 명령에 순응 암시나 권위에 협조(복종 : 타인의 소망, 제안, 권고를 받아들임 / 존경 : 찬미와 존경의 표현, 타인업적 인정)
재난 회피의 욕구 : 파괴나 위험, 죽음을 두려워하고 걱정
방어의 욕구 : 공격, 비난, 비평으로부터 자신을 방어
은둔의 욕구 : 외부접촉을 회피, 은둔
불가침의 욕구 : 자존심 손상과 박탈을 방어, 좋은 평판위해 심리적 거리 유지
해독 회피의 욕구 : 불쾌한 감각을 회피함
<4단계> 주인공이 관심을 표현하고 있는 대상을 분석한다.
- 반응 내용 가운데 주인공에게 긍정적, 부정적 감정을 일으키는 사물, 활동, 사람, 관념을 찾아본다.
<5단계> 주인공의 내적 심리 상태를 분석한다.
- 이야기 속에서 주인공이 경험하는 내적심리적 상태가 발생하는 환경 자극과 그것이 해결되는 방식이 분석되어야한다. 심리적 행복 상태, 갈등상태, 비관적 상태로 구별한다.
<6단계> 주인공의 행동이 표현되는 방식을 분석한다.
- 주인공이 환경적 힘에 자극되었거나 자극되고 있을 때 반응하는 행동 방식을 검토한다.
<7단계> 일의 결말을 분석한다.
- 욕구와 압력 관계에 의해 상환의 결말이 행복한가, 불행한가, 성공인가, 실패인가, 문제가 해결 됐는가, 욕구가 충족됐는가에 중점을 둠
5. TAT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성
1) 정신분열증
- 이야기 구조의 와해, 일관된 주제의 결여, 불합리하고 기괴한 요소, 상반되는 내용, 인물들은 감정의 깊이가 결여되어 있으며 고립되어 있거나 철수되어있다.
2) 우울증
- 사고가 위축되어있고 반응과 언어가 느리고 정동이 가라앉아있다. 이야기는 대개 자살하고, 고립감, 거부당함, 무가치함 등에 관한 주제를 포함한다.
3) 경조증
- 언어의 방출에 대한 압력, 사고의 비약, 다행증 등으로 이야기를 대단히 빨리 한다. 내용상 우울, 죄책감, 분노, 무기력 등이 부인되고 유쾌함, 평온함, 좋은 감정 등이 교대로 출현한다.
4) 히스테리성 성격
- 정서적 가변성(공포스럽거나 예쁜 장면들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이 급변하여 나타남), 언어적으로 서술 자료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고, 이야기가 양가적이다. 피상적이고 성적인 내용이 많이 나타난다.
5) 강박 장애
- 이야기가 길고 수정을 많이 한다. 어떤 경우에는 객관적으로 나타는 세부적인 것만 기술하고 이야기를 만들 수 없다고 하기도 한다. 내용도 주로 인물들의 주저와 망설임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고, 주제도 부지런함과 복종, 완벽함이 강조된다.
6) 편집증
- 회피적이고 검사의 목적을 의심한다. 이야기가 자기 개인적인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이야기가 매우 간결하며 의심과 방어적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불신, 교활함, 사악한 외부의 힘 강조, 갑작스런 인물변화 등이 나타난다.
7) 불안 상태
- 이야기가 간결하고, 행동이 극적이며, 강박적이다. 양자택일의 상황이 자주 나타난다. 갈등, 욕구 좌절, 비극 등이 흔히 나타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