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
2. 병렬관계와 비문
1) 성분내의 병렬관계
2) 대등접속문에서의 병렬관계
3) 동일요소의 생략
3. 결론
2. 병렬관계와 비문
1) 성분내의 병렬관계
2) 대등접속문에서의 병렬관계
3) 동일요소의 생략
3. 결론
본문내용
문
글을 씀에 있어서 가장 먼저 유의해야 할 일은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을 만드는 일이다.
음운 -> 형태소 -> 단어 -> 문
문--> 독립관계
어순관계
수식관계
호응관계
병렬관계
* 병렬관계와 비문
병렬관계는 문성분간의 관계가 아니라 문성분 내의 관계라는 점에서 다른 관계와는 다르다.
즉, 하나의 문성분이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이 병렬하여 형성된 것!
병렬하는 두 요소는 선행 또는 후행하는 문성분과 각각 호응이 될 수 있도록 동질적이어야 한다. 이는 대등접속문의 선행절과 후행절의 관계에도 해당된다.
* 성분내의 병렬관계
하나의 문성분이 두 개 이상으로 병렬되어 있는 경우
* 비문 예시
대학은 심오한 진리 탐구와 치밀한 과학 정신을 배양 형성할 도장이다.
목적어로 쓰인 두 개의 구가 동질적이지 못하다.
‘진리탐구를 배양 형성할’ 것은 호응되지 않는다.
⇒ 대학은 심오한 진리를 탐구하고 과학 정신을 배양 형성할 도장이다.
우리들은 즐거워 노래와 춤을 추었다.
‘노래’는 ‘추었다’와 호응되지 않는다.
⇒ 우리들은 즐거워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글을 씀에 있어서 가장 먼저 유의해야 할 일은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을 만드는 일이다.
음운 -> 형태소 -> 단어 -> 문
문--> 독립관계
어순관계
수식관계
호응관계
병렬관계
* 병렬관계와 비문
병렬관계는 문성분간의 관계가 아니라 문성분 내의 관계라는 점에서 다른 관계와는 다르다.
즉, 하나의 문성분이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이 병렬하여 형성된 것!
병렬하는 두 요소는 선행 또는 후행하는 문성분과 각각 호응이 될 수 있도록 동질적이어야 한다. 이는 대등접속문의 선행절과 후행절의 관계에도 해당된다.
* 성분내의 병렬관계
하나의 문성분이 두 개 이상으로 병렬되어 있는 경우
* 비문 예시
대학은 심오한 진리 탐구와 치밀한 과학 정신을 배양 형성할 도장이다.
목적어로 쓰인 두 개의 구가 동질적이지 못하다.
‘진리탐구를 배양 형성할’ 것은 호응되지 않는다.
⇒ 대학은 심오한 진리를 탐구하고 과학 정신을 배양 형성할 도장이다.
우리들은 즐거워 노래와 춤을 추었다.
‘노래’는 ‘추었다’와 호응되지 않는다.
⇒ 우리들은 즐거워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