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의 필요성과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교조의 필요성과 의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교조의 정의
2. 전교조의 역사
3. 전교조의 생성배경
4. 전교조의 목적
5. 전교조의 필요성

본문내용

가게가 결탁한 곳에서만 교복을 맞추게 하거나,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 급식비 횡령 등의 학교 비리 문제를 감시하고 시정하려고 꾸준한 노력을 하고 있다.
*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곳이 없다.
전교조에서는 입시경쟁만 존재하는 교육을 지향하지 않는다. 학생들 스스로가 자주적이고 독립적으로 여러 활동을 통해 자신의 소질을 계발하는 민주 민족 인간교육인 참교육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온라인을 통한 각 교과나 관심분야 별로 자료를 공유하고, 여름방학 기간을 이용해 참교육 실천대회를 열어 2만여명의 교사들이 각자의 사례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 한 목소리만 존재한다.
고교등급제에 대한 사항에서만 봐도 교총과 전교조, 정부의 입장이 다르다.
교총은 회견에서 학생선발권을 대학 자율에 맡기고 본고사 실시도 대학에 일임하자고 주장했다. 교총은 대학별 본고사 시행을 3년 정도의 준비기간을 거쳐 대학 자율에 맡기자며 지난달 20일부터 10월 2일까지 전국의 중고교 교원 14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별 본고사 도입여부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2%가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송원재 대변인은 본고사 부활 주장은 현행 대입 체제 근간을 흔드는 발상이라며 오히려 대학 선발권 강화를 골자로 하는 2008 대입개선안 자체를 수정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안병영 교육부총리는 열린우리당과의 교육 당정협의에 참석, 본고사가 시행되면 입시경쟁이 걷잡을 수 없이 치열해진다면서 본고사 실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안 부총리는 고교등급제 논란과 관련, 대학이 사회적 책임을 동반하지 않으면 자율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면서 문제가 됐던 3개 대학이 고교등급제를 하지 않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잘 살펴서 이 문제를 전향적으로 해결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10월 13일자>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갈등이라는 것은 피할 수 없다. 한 가지 의견이 존재하고 그것만 옳다고 하는 시각은 위험하고 생각한다. 여러 의견과 대안이 존재하는 중에서 가장 최선의 선택을 하기위해서는 전교조라는 진보적인 생각을 가진 단체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 자료
80년대후반 교육운동사- 정기평 지음- 형성사- p18~P22, P32~38
http://cham.new21.net/images/jgj03.htm(전교조의 역사)
http://www.eduhope.net(전교조 홈페이지)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