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설사증의 종류와 치료 전반에 대한 의학적 검토 (의약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설사증의 종류와 치료 전반에 대한 의학적 검토 (의약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만성설사증의 종류와 치료 전반에 대한 의학적 검토 (의약학)

1. 만성설사증의 정의

2. 만성설사증의 종류
1) 염증성 설사 (Inflammatory diarrhea)
2) 삼투성 설사(Osmotic dlarrhea)
3) 분비성 설사 (Secretory diarrhea)

3. 과민성 대장 증새

4. 병력과 이학적 검사

5. 검사 평가 및 진단

6. 치료

본문내용

mosmol/kg H2O)보다 훨씬 낮다면, 수액이 대변에 첨가된 것이다.
수성 설사가 있는 환자에서는 urinary 5-hydroxyindole acetic acid (5-HIAA) 수준 이외에도, 세로토닌, 가스트린, VIP, 칼시토닌, 다른 잠재적 분비촉진물질 등의 혈액 수준을 측정하여야 한다.
굴곡성 S-결장경이나 대장경검사는 현미경적 혹은 교원성 대장염 뿐아니라, 직장이나 S-결장의 융모성 선종(villous adenoma)을 배제시키기 위해서 고려되어져야 한다. 대장내시경검사는 anthraquinone 완화제의 남용으로 인한 melanosis coli도 역시 발견할 수 있다. phenolphthalein 완하제의 섭취 여부는 NaOH나 KOH로 대변을 알칼리화함으로써, 각각 핑크색이나 보라색으로 변하는 것을 보고 발견할 수 있다. 완화제의 남용이 상당히 의심될때는 주의깊게 방을 살펴보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회장의 담즙염 흡수장애가 의심되는 경우에, 75selenahomotaurocholic acid(75SeHCAT) 검사를 일부 진료 센터에서 이용할 수 있다. 75SeHCAT acid는 taurocholic acid와 비슷하여 말단 회장에서 흡수된다; 감마 카메라 스캐닝을 회장 흡수와 증가된 담즙산 소실량의 정량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담즙염-결합 레진인 cholestyramine으로 치료적 시도를 시행할 수 있다.
6. 치료
설사의 특정 원인을 알아내고 치료하는데 모든 노력을 쏟아야하지만, 많은 경우에 특별히 치료할 수 있는 원인을 알수가 없어서 증상 치료만을 사용한다. Psyllium과 다른 친수성 제제들은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 성상을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다른 유용한 지사제들은 장관 운동성을 변화시켜 작용을 한다; 일부는 경한 흡수촉진 혹은 항분비성 활성도 역시 가진다. diphenoxylate과 같은 아편성 지사제와 로페라마이드는 경-중등도의 분비성 설사에 도움이 된다. 더 증상이 심한 환자에서는 코데인이나 냄새를 제거한 아편 정기 등이 더 성공적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항운동성 제제들은 감염성 인자로 인한 설사에서는 금기인데, 그 이유는 정체로 인해 병원체의 조직 침습성이 강화되거나 장에서 그것들을 제거하는 것이 지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심한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그러한 약제들은 중독성 거대결장(toxic megacolon)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금기이다. 소마토스타틴의 긴 작용시간의 합성 상동체인 옥트레오타이드(octreotide)는 호르몬 분비를 특별히 억제시키기 때문에 카르시노이드 증후군과 다른 신경내분비성 종양에서 현저한 항분비 효과를 가진다; 그것은 short bowel syndrome에도 어느정도 효용이 있다.
Clonidine과 alpha2-교감신경 길항제는 아편 중단으로 인한 설사와 당뇨병성 설사에 유용하다. omeprazole과 같은 H+,K+-ATPase 억제제와 H-2 수용체 길항제와 같은 약제들은 Zollinger-Ellison 증후군에서 위의 과다분비에 의해 일어나는 설사에 유용하다. 신경내분비성 종양이나 설명이 되지않는 분비성 설사의 치료에 어느정도 효용이 있는 다른 약제들로는 페노씨아진, 칼슘 길항제 등이 있다.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과 분비 억제제인 인도메싸신은 갑상선의 수질암과 융모성 선종으로 인한 설사에 효용이 있다. H-1, H-2 수용체 길항제의 병용요법은 전신성 비만세포증다증(systemic mastocytosis)으로 인한 설사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Cholestyramine은 회장 담즙염 흡수장애로 인한 설사에 치료 선택제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